$\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7527, 7528, 7529 혼합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비만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of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7527, 7528, and 7529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484 - 1490  

김대환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  최미란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  홍지은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  이재용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  이순임 (한올바이오파마 주식회사 개발팀) ,  정수환 (한올바이오파마 주식회사 개발팀) ,  김은지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 투여로 비만 및 고지혈증을 유도한 동물에서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 혼합물이 비만 및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흰쥐에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L. plantarum 혼합물을 $0.6{\sim}2.4{\times}10^9CFU/day$를 경구 투여하였고 동물을 희생하여 혈청 및 간조직 내의 지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L. plantarum 혼합물 투여에 의해 체중증가량, 간과 부고환 지방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비만과 관련 있는 호르몬인 혈청 렙틴의 함량이 L. plantarum 혼합물 투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L. plantarum 혼합물 투여가 혈청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함량 및 혈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L. plantarum 혼합물 투여가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 내의 총 지질 함량, 중성지방 함량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L. plantarum 혼합물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가 혼합된 L. plantarum 혼합물이 체지방 감소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본 연구는 L. plantarum 혼합물을 비만 및 고지혈증 개선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ixture of three strains,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7527, 7528, and 7529 (L. plantarum mixture),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Sprague-Dawley rats fed a high-fat diet. Rats were fed a high-fat diet and subjected to oral gavage with ve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 투여로 비만 및 고지혈증을 유도한 동물에서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 혼합물이 비만 및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흰쥐에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L.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 투여로 비만 및 고지혈증을 유도한 동물에서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가 동일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L. plantarum 혼합물)이 비만 및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의 섭취의 일반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발효식품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오래전부터 섭취되어 온 GRAS(Generally Recognizied As Safe)로 안전하며, 산업적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5). 일반적으로 유산균의 섭취는 장내 미생물들이 음식물의 소화, 흡수, 분해와 배설 등을 돕는 유익균의 증가를 유도하여 소화작용을 도와 소화기계 질환에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6). 최근에는 면역조절(7), 항염(8) 및 항암(9) 등 다양한 유산균의 효능이 알려지고 있다.
Lactobacillus plantarum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plantarum)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L. plantarum 투여가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14-16)과 고지혈증(5,17,18)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Bosch 등(19)은 in vitro 실험을 통해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가 콜레스테롤을 감소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고, 3 종류를 혼합시 bile salt hydrolase 생성이 더 많아짐을 보고하였다. Fuentes 등(20)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나타내는 사람에게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가 동일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1.2×109 colony-forming units(CFU) 용량으로 12주 투여한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사람들에게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보고하였다. Fuentes 등(20)의 인체적용 연구는 L. plantarum CECT 7527, 7528과 7529 혼합물의 고지혈증 개선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나 단일 투여 용량에 대해 연구되었고 혈액 내 지질 함량만이 평가되었으므로 이를 고지혈증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 섭취 증가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7%로 나타났다(1). 지방 섭취 증가는 체내 당질 및 지질 대사에 이상을 초래하여 비만 및 고지혈증을 유발하고, 이는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등 심혈관・순환기 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2). 현재 세계적으로 비만 및 고지혈증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많은 치료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제의 장기 복용에 의한 약효 감소 및 부작용이 대두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Korea. p 44-47. 

  2. Lee JH. 1992. Treatment of obesity. Korean J Obes 1: 21-24. 

  3. Yum KS. 2001. Orlistat (XenicalR). Korean J Obes 10: 25-36. 

  4. Zhang L, McCabe T, Condra JH, Ni YG, Peterson LB, Wang W, Stack AM, Wang F, Pandit S, Hammond H, Wood D, Lewis D, Rosa R, Mendoza V, Cumiskey AM, Johns DG, Hansen BC, Shen X, Geoghagen N, Jensen K, Zhu L, Wietecha K, Wisniewski D, Huang L, Zhao JZ, Ernst R, Hampton R, Haytko P, Ansbro F, Chilewski S, Chin J, Mitnaul LJ, Pellacani A, Sparrow CP, An Z, Strohl W, Hubbard B, Plump AS, Blom D, Sitlani A. 2012. An anti- PCSK9 antibody reduces LDL-cholesterol on top of a statin and suppresses hepatocyte SREBP-regulated genes. Int J Biol Sci 8: 310-327. 

  5. Cha SD, Yu JW, Kim TW, Cho HS, Lee DH. 2012.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 on lipid metabolism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24-330. 

  6. Rolfe RD. 2000. The role of probiotic cultures in the control of gastrointestinal health. J Nutr 130: 396S-402S. 

  7. Adolfsson O, Meydani SN, Russell RM. 2004. Yogurt and gut function. Am J Clin Nutr 80: 245-256. 

  8. Kwon HK, Lee CG, So JS, Chae CS, Hwang JS, Sahoo A, Nam JH, Rhee JH, Hwang KC, Im SY. 2010. Generation of regulatory dendritic cells and $CD4^+Foxp3^+$ T cells by probiotics administration suppresses immune disorders. Proc Natl Acad Sci USA 107: 2159-2164. 

  9. de Moreno de LeBlanc A, Matar C, Perdigon G. 2007. The application of probiotics in cancer. Br J Nutr 98: S105-S110. 

  10. Arora T, Anastasovska J, Gibson G, Tuohy K, Sharma RK, Bell J, Frost G. 2012.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NCDC 13 supplementation on the progression of obesity in diet-induced obese mice. Br J Nutr 108: 1382-1389. 

  11. Bhathena J, Martoni C, Kulamarva A, Urbanska AM, Malhotra M, Prakash S. 2009. Orally delivered microencapsulated live probiotic formulation lowers serum lipids in hypercholesterolemic hamsters. J Med Food 12: 310-319. 

  12. Kim DW, Yang DH, Ki SY, Kim KS, Chung MG, Kang SM. 2009.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yphilize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69-74. 

  13. Lim MY, Chen TW. 2000. Reduc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culture broth. J Food Drug Anal 8: 113-118. 

  14. Takemura N, Okubo T, Sonoyama K. 2010.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No. 14 reduces adipocyte size in mice fed high-fat diet. Exp Biol Med 235: 849-856. 

  15. Lee K, Paek K, Lee HY, Park JH, Lee Y. 2007. Antiobesity effect of trans-10,cis-12-conjugated linole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PL62 on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Microbiol 103: 1140-1146. 

  16. Park JE, Oh SH, Cha YS. 2013. Lactobacillus plantarum LG42 isolated from gajami sik-hae decreases body and fat pad weights in diet-induced obese mice. J Appl Microbiol 116: 145-156. 

  17. Kumar R, Grover S, Batish VK. 2011. Hypocholesterolaemic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two putative probiotic bile salt hydrolase-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n Sprague-Dawley rats. Br J Nutr 105: 561-573. 

  18. Salaj R, Stofilova J, Soltesova A, Hertelyva Z, Hijova E, Bertkova I, Strojny L, Kruzliak P, Bomba A. 2013. The effects of two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on rat lipid metabolism receiving a high fat diet. Sci World J 2013: 135142. 

  19. Bosch M, Fuentes MC, Audivert S, Bonachera MA, Peiro S, Cune J. 2014.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7527, 7528 and 7529: probiotic acndidates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J Sci Food Agric 94: 803-809. 

  20. Fuentes MC, Lajo T, Carrion JM, Cune J. 2013. Cholesterollowing efficacy of Lactobacillus plantarum CECT 7527, 7528 and 7529 in hypercholesterolaemic adults. Br J Nutr 109: 1866-1872. 

  21. Park YS. 2010. Antioxidant effects and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Acanthopanacis cortex water extract in rats fed high fat die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37-45. 

  22.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3. Sakai T, Taki T, Nakamoto A, Shuto E, Tshtsumi R, Toshimitsu T, Makino S, Ikegami S. 2013. Lactobacillus plantarum OLL2712 regulates glucose metabolism in C57BL/6 mice fed a high-fat diet. J Nutr Sci Vitaminol 59: 144-147. 

  24. Ruxton C. 2012. Prebiotic effects on health and weight management. Agro Food Ind Hi-Tech 23: 30-32. 

  25. Handjieva-Daelenska T, Boyajieva N. 2009. The effect of high-fat diet on plasma ghrelin and leptin levels in rats. J Physiol Biochem 65: 157-164. 

  26. Buettner R, Parhofer KG, Woenckhaus M, Wrede CE, Kunz-Schughart LA, Scholmerich J, Bollheimer LC. 2006. Defining high-fat-diet rat models: metabolic and molecular effects of different fat types. J Mol Endocrinol 36: 485-501. 

  27. Gregoire FM, Zhang Q, Smith SJ, Tong C, Ross D, Lopez H, West DB. 2002. Diet-induced obesity and hepatic gene expression alterations in C57BL/6J and ICAM-1-deficient mic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2: E703-E713. 

  28. Avram AS, Avram MM, James WD. 2005. Subcutaneous fat in normal and diseased status: 2. Anatomy and phusiology of white and brown adipose tissue. J Am Acad Dermatol 53: 671-683. 

  29. Handjieva-Daelenska T, Boyajieva N. 2007. Changes in the metabolic parameters in experimental nutritional model of obesity. Compt Rend Acad Bulg Sci 60: 701-704. 

  30. Lee JS, Lee MK, Ha TY, Bok SH, Park HM, Jeong KS, Woo MN, Do GM, Yeo JY, Choi MS. 2006. Supplementation of whole persimmon leaf improves lipid profiles and suppresses body weight gain in rat fed high-fat diet. Food Chem Toxicol 44: 1875-1883. 

  31. Jang JY, Choi HY. 2003.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ligosaccharide on the blood lipids, abdominal adipose tissues and leptin levels in the obese rats. Korean J Nutr 29: 274-279. 

  32. Rosenfield L. 1989.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Med 113: 1101-1110. 

  33. Yun YP, Kang WS, Lee MY. 1996.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J Food Hyg Safety 11: 77-82. 

  34. Schaefer EJ. 1995. Lipoproteins, nutrition, aging, and atherosclerosis. Am J Clin Nutr 61: 726-740. 

  35. Lee SI, Lee YK, Kim SD, Lee IA, Choi J, Suh JW. 2013.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iji) o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tion-related enzymes activity of mice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43-1053. 

  36. Havel PJ, Kasim KS, Mueller W, Johnson PR, Gingerich RL, Stem JS. 1996. Relationship of plasma leptin to plasma insulin and adiposity i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women: effects of dietary fat content and sustained weight loss. J Clin Endocrinol Metab 81: 4406-4413. 

  37. Lin S, Thomas T, Storlien L, Huang X. 2000. Development of high-fat-induced obesity and leptin resistance in C57BL/ 6J mic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4: 639-6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