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매실의 비가열 전처리 및 건조매실의 특성
Non-thermal treatment of Prunus mume frui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ehydrated produc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5, 2014년, pp.652 - 660  

강지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남호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경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확 후 매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0.5% citric acid와 0.1% Tween 20 단일 및 병합 처리 후 $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6, 2.22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7일 동안 유지되었다. 매실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색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매실의 저장성 증진 및 다양한 매실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탈수제를 이용한 건조 후 건조 매실의 품질 변화를 열품건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탈수제 처리 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높은 복원율을 나타냈고,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열풍건조 보다 많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건조 매실의 색도에 있어서도 탈수제 처리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질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적인 가공 전처리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탈수제 처리가 건조 매실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ainta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Prunus mume fruit before it is processed, it was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0.5% citric acid and 0.1% Tween 20, and stored at $4{\pm}1^{\circ}C$ for seven days. The combined treatment reduced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popul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단일 처리 및 병합 처리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와 세척 처리 후 저장 중 품질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매실의 가공 전 비가열 전처리 기술을 확립하고, 또한 매실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한 건조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분자압축탈수 방법을 이용한 건조와 열풍건조를 비교함으로써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매실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Any means in the same column (A-B) or row (a-e)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 2)Any means in the same column (A-E) or row (a-d)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 2)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D)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과 같은 신선 과채류의 비가열 처리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법 중 유기산의 미생물 제어 방법은? 매실과 같은 신선 과채류의 경우 가열 처리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염소, 이산화염소수, 유기산, 전해수, UV-C 조사 등의 비가열 처리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5-8). 특히 유기산은 FDA에서 허가된 식품첨가물로써 과채류 표면의 pH를 낮추어 미생물 생장을 제어하는 효과로 과일 및 채소의 미생물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9,10). 또한, 비가열 처리 방법으로써 과채류의 미생물 제거를 위해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11).
매실이란? 매실(Prunus mume)은 유리당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고 citric acid, malic acid 등의 유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1), 항당뇨, 항산화, 항고혈압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2,3). 이러한 매실은 주로 매실주나 매실음료 등 다양하게 가공되는데(4), 가공 전까지 저장기간이 짧고 세척 등 전처리 없이 유통되기 때문에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확 후 빠른 후숙으로 인하여 장기 저장 및 유통이 힘들어 미생물 생육 저해를 위한 전처리 기술과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매실의 미생물 생육 저해를 위한 전처리 기술과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매실(Prunus mume)은 유리당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고 citric acid, malic acid 등의 유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1), 항당뇨, 항산화, 항고혈압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2,3). 이러한 매실은 주로 매실주나 매실음료 등 다양하게 가공되는데(4), 가공 전까지 저장기간이 짧고 세척 등 전처리 없이 유통되기 때문에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확 후 빠른 후숙으로 인하여 장기 저장 및 유통이 힘들어 미생물 생육 저해를 위한 전처리 기술과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Park LY, Chae MH, Lee SH (2007)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Prunus mume and Prunus mume liqueur byproduct. J Fd Hyg Safety, 22, 77-81 

  2. Ko BS, Park SK, Choi SB, Jun DW, Jang JS, Park SM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Prunus mu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51-957 

  3. Lee OK, Lee HJ, Shin YS, Ahn YG, Jo HJ, Shin HC, Kang HA (2007)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ruit flesh of Prunus mume Siebold & Zuccarn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43-147 

  4. Park SI, Hong KH (2003) Effects of Japanese ap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on baking properties of white breads. Korean J Food Culture, 18, 506-514 

  5. Beuchat LR, Adler BB, Lang MM (2004) Efficacy of chlorine and peroxyacetic acid sanitizer in killing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and romaine lettuce using simulated commercial processing conditions. J Food Prot, 67, 1238-1242 

  6. Kim YJ, Kim MH, Song KB (2009)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for inactivating pre-existing microorganism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prouts. Food Control, 20, 1002-1005 

  7. Guentzel JL, Liang Lam K, Callan MA, Emmons SA, Dunham VL (2008) Reduction of bacteria on spinach, lettuce, and surfaces in food service areas using neutral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Food Microbiol, 25, 36-41 

  8. Obande MA, Tucker GA, Shama G (2011) Effect of preharvest UV-C treatment of tomatoes (Aolanum lycopersicon Mill.) on ripening and pathogen resistance. Postharvest Biol Tec, 62, 188-192 

  9. Kondo N, Murata M, Isshiki K (2006) Efficiency of sodium hypochlorite, fumaric acid, and mild heat in killing native microflor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DT104, and Staphylococcus aureus attached to fresh-cut lettuce. J Food Prot, 67, 721-31 

  10. Sagong HG, Lee SY, Chang PS, Heu SG, Ryu SR, Choi YJ, Kang DH (2011) Combined effect of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organic fresh lettuce. Int J Food Microbiol, 145, 287-292 

  11. Bastos MSR, Soares NFF, Andrade NJ, Arruda AC, Alves RE (2005) The effect of the association of sanitizers and surfactant in the microbiota of the cantaloupe (Cucumis melo L.) melon surface. Food Control, 16, 369-373 

  12. Sagong HG, Cheon HY, Kim SO, Lee SY, Park KH, Chung MS, Choi YJ, Kang DH (2013) Combined effects of ultrasound and surfactants to reduce Bacillus cereus spores on lettuce and carrots. Int J Food Microbiol, 160, 367-372 

  13. Simal S, Femenia A, Llull P, Rossello C (2000) Dehydration of aloe vera: simulation of drying curve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J Food Eng, 43, 109-14 

  14. Chun HH, Kim MS, Chung KS, Won M, Song KB (2012) Dehydration of blueberries using maltodextrin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blueberries. Hort Environ Biotechnol, 53, 565-570 

  15. Kim NH, Jo WS, Song KB (2013) Dehydration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 using red algae extract as a hypertonic agent. Korean J Food Preserv, 20, 248-288 

  16. Wang SM, Yu DJ, Song KB (2011) Physicochemical property of pumpkin slices dehydrated with red algae extrac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 921-925 

  17. Chun HH, Kang JH, Song KB (2013)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and cold storage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of blueberr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6, 309-315 

  18. Usenik V, Fabcic J, Stampar F (2008)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19. Rumbaoa RGO, Cornago DF, Geronimo IM (2009)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Philippin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varieties. Food Chem, 113, 1133-1138 

  20.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21. Akbas MY, Olmez H (2007)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lettuce by dip wash treatments with organic acids. Lett Appl Microbiol, 44, 619-624 

  22. Sagong HG, Lee SY, Chang PS, Heu SG, Ryu SR, Choi YJ, Kang DH (2011) Combined effect of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organic fresh lettuce. Int J Food Microbiol, 145, 287-292 

  23. Li Y, Wu C (2013) Enhanced inactiv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from blueberries by combinations of sodium dodecyl sulfate with organic acids or hydrogen peroxide. Food Res Int, 54, 1553-1559 

  24. Bastos MSR, Soares NFF, Andrade NJ, Arruda AC, Alves RE (2005) The effect of the association of sanitizers and surfactant in the microbiota of the cantaloupe (Cucumis melo L.) melon surface. Food Control, 16, 369-373 

  25. Lee SA, Kim KH, Kim MS, Park NK, Yook HS (2008)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maesil (Prunus mume) treated with low levels of gamma ray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89-996 

  26. Jung GT, Ju IO, Choi SR, You DH, Noh JJ (2013)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Korean J Food Preserv, 20, 330-335 

  27. Kim JM, Shin MS (2011)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 43, 341-347 

  28. Lee JO, Lee SA, Kim MS, Hwang HR, Kim KH, Chun JP, Yook HS (2008) The effects of low-dose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ed aprico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34-941 

  29. Kang JH, Park JY, Oh DH, Song KB (2012)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or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in chico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32-1638 

  30. Kim JY, Kim HJ, Lim GO, Jang SA, Song KB (2010)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ultraviolet-C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lamengo"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8-145 

  31. Kim MS, Kang JH, Chung KS, Won M, Song KB (2013) Effects of dehydrating ag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plum (Prunus salicina L.) slices. J Appl Biol Chem, 56, 19-22 

  32. Jayaraman KS, Gupta DD, Rao N (1990) Effect of pretreatment with salt and sucrose on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dehydrated cauliflower. Int J Food Sci Tech, 25, 47-60 

  33. Schwartz SJ, Lorenzo TV (1991) Chlorophyll stability during continuous aseptic processing and storage. J Food Sci, 56, 1059-1062 

  34. Barreiro JA, Milano M, Sandoval AJ (1997) Kinetics of colour change of double concentrated tomato paste during thermal treatment. J Food Eng, 33, 359-371 

  35. Vega-Galvez A, Di Scala K, Rodriguez K, Lemus-Mondaca R, Miranda M, Lopez J, Perez-Won M (2009) Effect of air-dry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capacity, colour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ar. Hungarian). Food Chem, 117, 647-653 

  36. Miranda M, Vega-Glavez A, Lopez J, Parada G, Sanders M, Aranda M, Uribe E, Di Scala K (2010) Impact of air-drying temperature on nutritional properties,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quinoa seeds (Chenopodium quinoa Willd). Ind Crop Prod, 32, 258-263 

  37. Mohd Zainol MK, Abdul-Hamid A, Abu Bakar F, Pak Dek S (2009) Effect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the degradation of selected flavonoids in Centella asiatica. Int Food Res J, 16, 531-537 

  38. Therdthai N, Zhou W (2009) Characterization of microwave vacuum drying and hot air drying of mint leaves (Mentha cordifolia Opiz ex Fresen). J Food Eng, 91, 482-489 

  39. Vega-Galvez A, Lemus-Mondaca R, Bilbao-Sainz C, Fito P, Andres A (2008) Effect of air dry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rehydrated dried red bell pepper (var. Lamuyo). J Food Eng, 85, 4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