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정체성 맥락의 공공디자인 통합체계 연구 - 충북광역도시권의 경관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gral System of Public Design in the Context of Local Identity - Focusing on the Landscape Plan and Color Plan of Chungbuk Metropolitan Area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3 no.5 = no.106, 2014년, pp.104 - 111  

송영민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uts its purpose on presenting an integral system of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s, public design and colors, in practicing urban design in the context of local identity. An integral design of public design that successfully plans and executes local identity, and changes recogni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기본계획의 주요내용을 보면, 지역의 자연경관 및 문화경관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 정책방향 및 기본구상, 실행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계획의 목표와 경관권역, 축, 거점 등의 경관관리 단위를 설정하여 지역정체성을 형성하는 경관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위계획인 도시기본계획과 정합성을 가져야 하며, 경관기본계획의 내용이 도시기본계획과 다를 경우에는 상위법인 도시기본계획의 내용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 첫째, 지역정체성의 요인과 맥락의 의미를 살펴보고, 도시의 경관과 색채가 지역정체성의 맥락에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임을 설명하였다. 둘째,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경관계획과 색채계획의 상관관계를 도시디자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셋째, 광역지자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도시디자인 관련 계획들이 지역정체성의 맥락을 유지, 강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도시디자인을 총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역지자체의 경관기본계획을 토대로 접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서 광역지자체의 경관기본계획과 공공디자인기본계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해당 기초지자체의 경관기본계획과 공공디자인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그리고 경관 색채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조사한다.
  •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디자인에서, 지역정체성의 맥락이 상호연계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역 및 기초지자체별 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색채계획이 부합되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도시디자인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정체성 맥락의 도시디자인을 시행함에 있어서, 충북광역도시권의 도시디자인을 대표하는 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색채계획과 관련한 통합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공공디자인의 기본계획에 있어서 각 분야와 관리 주체 사이에서 지역정체성의 불일치를 개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지역정체성 맥락의 유기적인 관계성과 함께 광역권과 연계된 경관계획, 공공디자인계획, 색채계획에 있어서 통합의 가능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경관과 밀착된 공공디자인의 통합체계 방안에 대한 실천과제를 말하고자 한다.
  • 이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공공디자인의 기본계획에 있어서 각 분야와 관리 주체 사이에서 지역정체성의 불일치를 개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통합관점에서 공공디자인을 접근하기 위하여 지역정체성의 목표가 계획, 실현되는 도시디자인의 연계방법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 그런 다음, 해당 기초지자체의 경관기본계획과 공공디자인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그리고 경관 색채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조사한다. 이것으로 지역정체성 맥락의 도시디자인 체계를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의 경관기본계획과 공공디자인계획, 그리고 경관색채계획을 상호교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 색채 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에서는 ‘충주시 상위 관련계획과의 통합적 연관 및 위계를 확립하기 위한 정합성을 유지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도시디자인계획을 중심으로 광역권의 충청북도로부터 청주시와 충주시가 어떠한 기준과 방식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전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디자인에서, 지역정체성의 맥락이 상호연계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역 및 기초지자체별 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색채계획이 부합되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도시디자인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정체성 맥락의 유기적인 관계성과 함께 광역권과 연계된 경관계획, 공공디자인계획, 색채계획에 있어서 통합의 가능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경관과 밀착된 공공디자인의 통합체계 방안에 대한 실천과제를 말하고자 한다. 공공디자인 수행과정에서 광역권과 지역권에서 개발, 시행하는 공공디자인의 통합가능성을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의 도시디자인계획 사례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통합관점이 도출되었다.
  • 경관색채의 맥락에서 충청북도는 식생, 풍토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추출된 색을 고려하여 색채가 선정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청주시는 식재부문에서 사계절 변화하는 자연물의 색을 밀도있게 다루었고, 충주시는 경관요소별 색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녹지 및 주변환경과 조화되는 색채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것은? 도시디자인은 기능적 수요뿐 아니라 지역의 독창성과 주변 경관과의 조화, 도시의 색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공공공간, 공공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시각매체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연계되고, 법규 및 시행주체, 그리고 계획 분야별 논의에 있어서 상호 긴밀한 협의체계가 필요하다. 도시의 이미지구축 및 도시경쟁력의 맥락에서 각 분야별 연계와 통합의 문제가 다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지역정체성이란? 지역정체성은 지역의 지리적, 시간적, 공간적 동일성에 의해 형성된 그 지역만의 고유한 특성으로,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차이의 개념이다. 지역 간 차이는 지역의 자연적, 문화적 조건에 따른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리적 배경과 전통, 역사, 관습과 생활양식 등 지역을 구성하는 제반요소들의 집합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의 색이 지역의 역사적 시간과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이유는? 이는 색채가 지역의 역사적 시간과 지리적 특성에 의한 경관과 연속됨을 의미한다. 색채는 지역의 기후, 풍토, 지형, 계절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왔고, 이것이 도시경관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축.마치나미경관연구회, 도시건축의 경관창조, 조용준 외 역, 기문당, 1998 

  2. 박돈서, 도시의 색.건축의 색, 기문당, 1999 

  3. Brent C. Brolin, 맥락적 건축, 박두연 역, 세진사, 1996 

  4. 요시다신고, 경관색채의 이론과 실천, 이석현 역, 미세움, 2008 

  5. 요시다신고, 도시의 색을 만들자, 이석현 역, 미세움, 2008 

  6. 장 필립 랑클로.도미니크 랑클로, 환경.건축.그리고 색, 이승희.김정락.이선정 역, 미진사, 2009 

  7. Joy Monice Malnar and Frank Vodvarka, Sensory Design, Univ. of Minnesota Press, 2004 

  8. 송영민,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환경 디자인의 방향 연구,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5호, 2012 

  9.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10. 청주시청 http://www.cjcity.net 

  11. 충주시청 http://www.cj100.net 

  12. 충청북도 http://www.cb21.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