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instructors. The subjects were 750 visiting instructors from 14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6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Data were analyz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m, 2003)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경우 역시 관련 경력이 많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결과(K. Shin, 2013; J. Jun, 2013; S. Cho, 2005)가 공존하는 실정이므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경우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확인을 하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는 자녀생활서비스 및 부모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담당업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Cho, 2005)가 공존하는 실정이므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경우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확인을 하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는 자녀생활서비스 및 부모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기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담당업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다문화 효능감을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교육지도사의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전수 조사라는 특성으로 인해 현재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다문화 효능감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효능감의 구체적 하위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경력과 담당업무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와 다문화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6개 광역시, 9개 도 및 시군구 등 전국 140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생활서비스 방문교육지도사 750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그러나 아직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다문화 효능감을 파악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에 대한 직무만족도 역시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의 방문교육지도사들 전체를 대상으로 이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대한 Kim(2010)의 연구와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인식에 대한 Lee(2011)의 연구도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한국어교육서비스와 부모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교육지도사만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자녀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교육지도사들의 직무만족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실제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의 방문교육지도사들 전체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다문화 효능감을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교육지도사의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전수 조사라는 특성으로 인해 현재 자녀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문화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만족과 다문화 효능감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어떠한가? 직무만족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Tiffin and McCormik(1965)는 직무에서 유래하는 욕구충족의 정도를 직무만족이라고 정의하고, 조직 구성원들이 심리적 ·물리적 환경에서 ‘직무에 만족한다’라고 말할 수 있는 종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Lock(1976)에 의하면 직무만족이란 개인의 직업 또는 직업경험의 평가에서 나오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의미하며, Lee(1982)은 직무만족을 직무환경이 조직 성원에게 갖게 하는 관심, 열의, 호의, 기쁨 등과 같은 감정적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Park(1996)은 직무만족을 직무수행 과정 혹은 직무수행 결과에서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이며, 조직에서의 욕구나 기대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의식이라고 하였다. Moorman(1993)은 직무만족을 정서적 직무만족과 인지적 직무만족으로 구분하였는데, 정서적 직무만족은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 전반에 대해 정서적으로 즐거움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며, 인지적 직무만족은 보수, 근로시간, 연금 등과 같이 직무와 관련된 제반 근무조건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직무만족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Lock(1976)는 직무, 보수, 승진, 감독, 인간관계의 다섯 측면을 직무만족의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는 다문화 가족을 지원하는 동시에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벌이는 사회적공공일자리 사업 중 하나로 다문화가족을 방문하여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방문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 양성하는 것이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09).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경제적인 어려움과 지리적 접근성의 문제로 집합교육에 참여하기 어려운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을 대상으로 이들 가족을 직접 방문하여 한국어교육서비스, 아동양육 지원서비스, 임신 및 출산 지원 서비스, 자녀한글교육 지원서비스, 자녀교육, 가족상담, 지역사회 연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K. Kim, 2010).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됐음을 알 수 있는 근거는? 한국사회가 단일민족으로 구성되던 과거에서 벗어나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실제 2007년에 14만 2천가구이던 다문화 가족은 5년 뒤에 53%나 증가해 26만 8천 가구에 이르렀다(Statistics Korea, 2013). 최근 교육부는 2014년에 다문화가족 학생은 7만명이 넘을 것이며 이는 전체 학생 수 대비 1%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발표했다(Ministry of Education, 2014). 이렇듯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정부는 여러 가지 정책을 발표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ditions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3, 1-18. 

  2. Bae, J. H., & Kwon, M. G.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4), 155-172. 

  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 Bandura, A., & Schunk, D. H.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86-598. 

  5. Bently, R. R., & Rempel, A. M. (1970). Manual for the Purdue Teacher Opinionaire. IN: University Bookstore. 

  6. Chae, J.-Y. (2013).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9(6), 223-241. 

  7. Chae, Y. R. (2008). A study on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n Welfa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12(3), 165-190. 

  8. Cho, K. J. (2005).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ded Pre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Korea. 

  9. Cho, S. Y. (2004). Teacher's Work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in Child Care Cent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6, 23-44. 

  10. Cho, S. Y. (2005).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359-373. 

  11.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Reading. 

  12. Guyton, E. M., & Wesche, M. V. (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ulticultural Perspective, 7(4), 21-29. 

  13. Han, S. S., & Im, M. H. (2003). A study on identifying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 207-240. 

  14. Jorde-Bloom, P. (1988). Measuring work attitude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15. Jun, J. W. (2013). 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efficiency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areer among Kindergarten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6. Kang, Y. S. (2006). A Study on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upon Self-Efficacy of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Policy, 12, 123-148. 

  17. Kim. K. H. (2010).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3), 165-181. 

  18. Klassen, R. M., Tze, V. M. C., Betts, S. M., & Gordon, K. A. (2011).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3(1), 21-43. 

  19. Labone, E. (2004). Teacher efficacy: Maturing the construct through research in alternative paradigm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341-359. 

  20. Lee, G. L., & Kim, Y. O.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itivity, understanding,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2(3), 197-223. 

  21. Lee, K. S. (2011).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ection of Home Visiting Educa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ungji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M. H., & Hong, S. O. (2009). The Percep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Literae Humaniores, 14(2), 259-289. 

  23. Lee, S. M., & Song, J. Y. (2008).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in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5(3), 185-214. 

  24. Lee, S. N. (2007). A study of the efficacy of educare center's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21. 

  25. Lee, W. J. (1982).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s job performance in Korean middle schools. Doctorate Thesis, Korea University. 

  26.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pp. 1297-1349). Chicago, IL: Rand McNally. 

  27. Ministry of Education (2014). Retrieved from www.moe.go.kr 

  2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09). Visiting service helping multicultural family's settling down. Retrieved from http://enews.mogef.go.kr/view/board/bbs/view.jsp. 

  29. Moorman, R. H. (1993). The influence of cognitive and affective ba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uman Relations, 6, 759-776. 

  30. Park, M. J. (1996). The comparison study on the quality of program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 according to type of day 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1. Park, M. K. (2013). Constructing the meaning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3), 349-375. 

  32. Park, S. Y., & Kim, S. K. (1995). The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on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5, 227-244. 

  33. Park, Y. S., Kim, E. C., & Park, E. S. (2009).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Longitudinal stud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s'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3(3), 309-320. 

  34. Seo, E. H., & Lee, M. S. (200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7(3), 155-170. 

  35. Shin, K.-S. (2013).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by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and Care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6. Statistics Korea (2013). Retrieved from www.kostat.go.kr 

  37. Tiffin, J., & McCormik, E. J. (1965).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8. Wheatley, K. F. (2005). The case for reconceptualizing teacher 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747-7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