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 개발을 위한 의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Wearing Apparel Conditions and Clothing P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a Suit for Disabled Males in Wheelchai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5, 2014년, pp.733 - 742  

이재향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양정은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박광애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박장운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유희천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배수진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existing ready-made clothes and clothing preferences through a survey of 197 wheelchair-bound males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uit that consider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휠체어 장애인들의 기성복화된 정장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의 일환이며, 의복 개선을 위해 의복 착용실태 및 정장 선호 디자인을 조사, 분석하여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심미적, 기능적 정장 개발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휠체어 장애인들의 기성복 의복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추후연구에서는 남성 휠체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의복 디자인과 체형에 맞는 의복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소비자인 남성 휠체어 장애인들이 개발된 의복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대량생산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휠체어 장애인들의 의복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국내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의복 불편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의복 환경의 현 실태를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선행연구의 경우 지체장애인이라는 포괄적인 연구대상에 대해 의복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있었으나, 본 연구는 특정 보장구인 휠체어를 사용하는 남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정장이라는 특정 의복의 불편 및 선호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이는 현 휠체어 장애인 의복 시장을 개선하기 위해서 실질적인 의복 기능성 향상에 기반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남성 휠체어 장애인들의 원활한 사회생활과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정장 개발의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기존 보유 기성복의 불편도와 의복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기존 의복의 불편도 및 희망의복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착의편의성이란 무엇인가? 착의편의성이란 의복을 착의할 경우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를 뜻하며, 탈의편의성은 의복을 탈의할 시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 동작편의성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할 시 동작에 있어서 불편한 정도로 규정한 후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를 통하여 기존 보유 의복의 불편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불편부위에서 상의, 하의에 어떤부분에 있어서 불만이 가장 많은가? 기존 보유 의복 불편사항에서 전반적으로 불편하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하의의 착탈의 부문에서 불편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왔다. 불편부위에서 상의는 재킷길이의 불편빈도가 높았고, 하의는 경우 바지길이, 밑위길이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소매부리에서 해짐이 많이 발생하며, 수선에 대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ang, J. H., Park, G. A., Yang, J. E., & Yoon, E. J. (2003). A study on clothing (slacks) for users of wheelchair. Journal of Human Life Science, 6(6), 243-256. 

  2. Kim, S. H. (1992). A study on the physique and clothing of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For men using a supporting parasi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Lee, H. J. (2005). The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clothes of disabl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4. Lee, J. H. (1990). A study on development of clothing for women confined to wheelchai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Lee, J. H. (2014). A research on clothing environment to develop formal suits, discomfort and design preference of the male disabled in wheelchai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6. Park, K. A. (2004). A study on the analysis of wheelchair using disabled women's body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7. Paek, J. E., & Chun, J. S. (2005). An universal clothing design for the persons with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1(4), 51-61. 

  8. Rhee, J. E.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property and sensitivity of knitted fabrics for disabled people's T-shi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9. Shin, S. M. (2008). Apparel classification for handicapped women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on dres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Survey for disabled status, Korea, December 2011 (No. 2011-82). Seoul: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