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면적률 적용을 통한 도시 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 분석 - 서울시 중구를 사례로 -

Analysis of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Urban Wall-Planting Applied by a Biotope Area Ratio - Case of Jung-gu District in Seoul -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5, 2014년, pp.88 - 100  

강태순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고밀도 시가지의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 중 하나는 생태기능의 향상이다. 녹지 확대가 불가능하지만 활용할 수 있는 벽면이 많은 이 지역에서는 벽면녹화가 그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좋은 대체방법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밀도 시가지 내 전체적으로 벽면녹화가 조성되었을 경우, 그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생태면적률로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적 벽면녹화계획 사례가 필요하므로, 먼저 벽면녹화 유형들을 설정하고, 사례 대상지역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벽면녹화 유형은 형태적, 기능적 특성에 따라 4가지로 설정되었다. A type은 단순형과 기능형, B type은 복합형과 기능형, C type은 단순형과 경관형, D type은 복합형과 경관형의 특징을 지닌다. 사례대상지역으로 서울시 중구를 선정하고,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동안 예비조사 1회, 본 조사 2회에 걸쳐 전수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벽면녹화 가능지역은 총 498개소, 총 길이 8,449m, 총 입면적 $23,754.90m^2$이다. 또한 이 대상벽면을 각 유형별로 분류하고 면적산정을 해 본 결과, A type $1,936.65m^2$, B type $5,875.30m^2$, C type $12,487.85m^2$, D type $3,455.10m^2$으로 나타났다. 녹화가능한 벽면의 전체 입면적을 통해 생태면적률 증가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중구 전체지역에 대한 생태면적률을 총생태면적률, 인공지역에 대한 생태면적률을 순생태면적률이라 정의하였다. 총생태면적률은 현재 17.97%, 조성 후엔 0.10%가 증가하게 된다. 순생태면적률은 현재 4.73%, 조성 후엔 0.11%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현재의 순생태면적률 4.73%에 대해 2.28%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평면적 자연녹지복원이 거의 어려운 인공지역 $9,256m^2$입면녹화를 통해 자연녹지로 복원한 면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고밀도 시가지 전체에 조성된 벽면녹화는 그 지역 생태기능 향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입면의 경관적 가치까지 고려해 본다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wall-plantings by applying a biotope area ratio when wall-plantings are constructed in high density areas. For this, this study required a sample of the wall-planting's regional plan. Therefore, types of wall-planting were deter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고밀도 시가지 내에서 벽면녹화의 전체 입면 적이 그 지역에 미치는 생태적 효과를 생태면적률로서 분석하여 최근 고밀도 시가지 지역의 생태성 향상을 위한 녹지확대 대체방안으로서의 벽면녹화 효용성을 조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면녹화 효과분석을 지역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것과 벽면녹화계획을 지역적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찾는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는 생태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관적 측면, 경제적 측면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도시생태성 향상에 대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생태적 측면에서의 지역적 효과를 생태면적률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지역적 효과를 생태적 측면에서만 연구하는 것은 그 결과에 있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그 수치상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지역 내 전체적으로 벽면녹화가 조성되었을 경우, 그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생태면적률로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적 벽면녹화 계획의 사례가 필요하므로, 먼저 벽면녹화의 지역적 계획에서 적용할 벽면녹화 유형들을 제시하고, 사례 대상지역에 적용한 후 대상지역 내 녹화 가능한 모든 벽면의 면적을 통해 증가하게 될 생태면적률 증가분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고밀도 시가지 내에서 벽면녹화의 전체 입면 적이 그 지역에 미치는 생태적 효과를 생태면적률로서 분석하여 최근 고밀도 시가지 지역의 생태성 향상을 위한 녹지확대 대체방안으로서의 벽면녹화 효용성을 조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면녹화 효과분석을 지역적으로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것과 벽면녹화계획을 지역적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찾는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The cost evaluation part of characteristic is described generic points at the present installation and detailed maintenance cost was exclud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녹화 방법 중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한 대체방법은? 이를 위해서는 녹지확대가 필요하며, 지면의 부족으로 인한 그 대체방법으로서 다양한 인공지반녹화 관련 기술들이 연구․시행되고 있다. 그 중 벽면녹화는 도시녹화 방법 중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한 대체방법(Ministry of Environment, 1998)이다. 소규모 식재공간만으로도 벽면의 종적이용을 통하여 절대적인 식물의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녹지공간 확보와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고(Lee and Kim, 2000), 도심지에서 벽면들이 녹화됨으로써 조류 외에도 거미, 진딧물, 딱정벌레 등과 같은 소동물에게 다양한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어(Lee et al.
고밀도 시가지의 생태기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은? 현재 고밀도 시가지의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 중 하나는 생태기능 향상이다. 이를 위해서는 녹지확대가 필요하며, 지면의 부족으로 인한 그 대체방법으로서 다양한 인공지반녹화 관련 기술들이 연구․시행되고 있다. 그 중 벽면녹화는 도시녹화 방법 중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한 대체방법(Ministry of Environment, 1998)이다.
벽면녹화의 장점은? 그 중 벽면녹화는 도시녹화 방법 중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한 대체방법(Ministry of Environment, 1998)이다. 소규모 식재공간만으로도 벽면의 종적이용을 통하여 절대적인 식물의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녹지공간 확보와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고(Lee and Kim, 2000), 도심지에서 벽면들이 녹화됨으로써 조류 외에도 거미, 진딧물, 딱정벌레 등과 같은 소동물에게 다양한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어(Lee et al., 2000), 지상의 녹지와 옥상녹화 공간에서 살고 있는 생물의 움직임을 연결하는 도시생태 네트워크화에 효과적이다(Cho trans.,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C. K. trans.(2012) The Green Wall Manual for Environmental City. Landscape Architecture Publishing Co. 

  2. Gabriel Perez, Lidia Rincon, Anna Vila, Josep M. Gonzalez and Luisa F. Cabeza(2011) Green vertical systems for buildings as passive systems for energy savings. Applied Energy 88(12): 4854-4859. 

  3. Han, S. H. and S. H. Kim(2006) A study for improving in greening system and method to revitalize wall-plant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2): 59-71. 

  4. Han, S. H., S. H. Kim and K. S. Song(2008) A study on the visual satisfaction of a panel-type facade plant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 53-59. 

  5. Jang, D. H., H. S. Kim and B. K. Kang(2010) A basic study on improvement for biotops area ratio through the post evaluation plan for outdoor space of apartment housing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6): 91-96. 

  6. Jang, D. H., H. S. Kim, K. H. Lee and S. Y. Moon(2005) A study of the supplementation plan for the technical method and the regulation on the green wall system in the biotope area r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Korea 60th Anniversary Collections of Conference Presentation Paper 25(1): 107-110. 

  7. Kim, H. D. and K. Y. Kim(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green walls on a building's room temperature reduction. Journal of the Korea Science 16: 181-192. 

  8. Kim, H. S., S. Y. Moon, D. H. Jang and K. H. Lee(2006)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urface type and it's weight in biotope-area-factor.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2(5): 175-182. 

  9. Lee, E. H. and Y. A. Kim(2000) A surve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nd the state of facade greenery of residential buildings in metropolitan - A case study of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1): 181-190. 

  10. Lee, E. H., H. K. Chang and Y. H. Jin(2000) Investigation of arthropod communities of facade greenery zon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4): 74-83. 

  11. Lee, H. W., K. Y. Kim and B. R. Jin(2011) A study of biotop area rate change according to campus building green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vironment 6(1): 95-104. 

  12. Lee, K. J., S. H. Hong, I. T. Choi and B. H. Han(2007) A study on the adaptation method of biotope area factor by land-use type in the built-up a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40-47. 

  13. Lee, S. M. and W. K. Sim(1994) A study on the wall pla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With special references to Seou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1): 121-134. 

  14. Marc Ottele, Katia Perini, A. L. A. Fraaij, E. M. Haas and R. Raiteri (2011) Comparative life cycle analysis for green facades and living wall systems. Energy and Buildings 43(12): 3419-3429. 

  15. Ministry of Environment(1998) The Green Wall Guideline of Urban Architec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2010) A Study on Invigorating Way of the Biotope Area Ratio Adoption and Policy Forum of Nature Environ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17. Ministry of Environment(2011) The Amendment of the Biotipe Area Ratio Guideline. 

  18. Ministry of Land(2012) Design Guideline for Architecture Greening. 

  19. Park, M. H. and H. D. Kim(2011) An observatory study on the effect of the greening of a wall on the reduction of urban temperatur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5(1): 114-129. 

  20. Ro, S. M.(2004) Growth of Vine Plants and Techniques Development for Afforestation of the Surface of Wall. Ph. M. Thesis, Seoul municipal University, Korea. 

  21. Seok, H. T., J. H. Yang and J. W. Jung(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greenery cover in education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8(6): 40-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