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0, 2014년, pp.477 - 484  

문원희 (대전보건대학교 보건의료정보과) ,  육근돌 (대전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실험연구이다. 항균효과의 대조 항생제로서 Ampicillin $10{\mu}g$(BB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Kirby-Bauer의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CLSI에서 제시한 판독기준에 따라 감수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연구결과, 생마늘은 추출법과 관계없이 Ampicillin $10{\mu}g$에 비해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흑마늘은 제조법과 추출방법과 관계없이 4종의 균주에서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CLSI의 감수성 판독기준에 따르면 S. aureus와 E. coli에 Ampicillin $10{\mu}g$은 강력한 항균효과를 발현한 반면, 모든 균주들이 흑마늘 추출물에는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다만, 15일의 자연숙성발효한 흑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에서 성장저지환이 각각 8 mm와 7 mm로 나타나 항균효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향후 마늘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흑마늘의 다양한 추출법을 활용한 항균효과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and black garlic against pathogenic bacteria.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ntibacterial effects of garlic, Ampicillin $10{\mu}g$ (BBL) was used as control antibiotics.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마늘 및 가정 내 흔히 사용하고 있는 두 가지 제조방법에 의해 발효숙성한 흑마늘에 대한 항균효과를 비교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 모형은 다음의 [Fig.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정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가숙성발효법을 활용하여 흑마늘을 직접 제조하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마늘추출물을 활용한 천연식품보존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한 실험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정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가숙성발효법을 활용하여 흑마늘을 직접 제조하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마늘추출물을 활용한 천연 식품보존제 개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험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중요한 생리활성에는 어떤 것이 알려져 있나? 마늘은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 성분인 allicin,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scordinine, 항암 및 혈전의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ajoene 등이 대표적인 특수성분이다. 마늘의 중요한 생리활성으로는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면역증강, 혈액응고 억제, 간기능 회복, 혈당 감소 효과,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개선, 뇌기능 향상 등이 알려져 있다[5,6,7,8]. 그동안 여러 학문분야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검증되어온 마늘의 항균효과에도 불구하고 천연항생제나 천연식품보존제로서의 마늘 상용화가 실현되지 못한 이유는 마늘이 지니고 있는 자극적인 매운 맛과 냄새에 기인한다.
마늘의 특수 성분에는 무엇이 있나? 항균효과를 지닌 천연물질들에 대한 연구 중 특히 마늘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마늘은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 성분인 allicin,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scordinine, 항암 및 혈전의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ajoene 등이 대표적인 특수성분이다. 마늘의 중요한 생리활성으로는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면역증강, 혈액응고 억제, 간기능 회복, 혈당 감소 효과,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개선, 뇌기능 향상 등이 알려져 있다[5,6,7,8].
MRSA와 VRE의 감염 환자 급증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이유는? 최근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와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의 감염 환자 급증은 매우 위협적이고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슈퍼박테리아로 불리우는 MRSA와 VRE은 일반 항생제로 제균이 어렵고 plasmid 등을 통해 다른 균주들에게 내성을 전달함으로써, 치료제 선택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항생제의 내성 문제는 국민의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로서 사회적 관심과 우려의 목소리는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 W. Lee, S. K. Son, G. R. Lee, G. H. Kim, Y. H. Kim,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ol. 34, No. 2, pp. 167-178, 2011. 

  2. B. D. Davis, R. Dulbecco, H. N. Eisen, H. S. Ginsberg, editors. Microbiology. 4th ed. Philadelphia: Lippncott, pp.539-550, 1990. 

  3. H. M. Johnson, J. K. Russell, C. H. Pontzer. Superantigens on human disease. Scientific American, pp.92-101, 1992. 

  4. P. Marrack, J. Kappler. The staphylococcal enterotoxins and their relatives. Science Vol. 248, pp. 705-711, 1983. 

  5. K. Song, J. A. Milner. The influence of heating on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garlic. Journal of Nutrition, Vol. 131, pp. 1054-1057, 2001. 

  6. H. Nakagawa, K. Tsuta, K. Kiuchi, H. Senzaki, K. Tanaka, K. Hioki, A. Tsubura.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o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Carcinogenesis, Vol. 22, pp. 891-897, 2001. 

  7. H. K. Kim, H. J. Kwak, K. H. Kim.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 11, pp. 500-506, 2002. 

  8. K. H. Kyung.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ol. 21, pp. 145-152, 2006. 

  9. C. W. Son, M. R. Jeon, M. H. Kim, M. R. Kim.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garlic paste added calcium.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 24, pp. 876-881, 2008. 

  10. E. Machizuki, T. Yamamoto, S. Suzuki, H. Nakazawa. Electrophoretic identification of garlic and garlic products.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Vol. 79, pp. 1466-1470, 1996. 

  11. D. J. Choi, S. J. Lee, M. J. Kang, H. S. Cho, N. J. Sung, J. H. Sh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7, pp. 465-471, 2008. 

  12. B. R. You, H. R. Kim, M. J. Kim, M. R. Kim,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Journal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ition, Vol. 40, No. 3, pp. 366-371, 2011. 

  13.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s; approved standard-eleventh edition, 2012. 

  14. I. S. Yoon, Sensitivity test on the food poisoning bacteria of the garlic extract.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9, No. 2, pp. 339-349, 2009. 

  15. C. K. Chung, O. K. Park, I. J. Yoo, K. M. Park, C. U. Choi,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curry spic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22, pp. 716-719, 1990. 

  16. H. R. Jang, Antibiotic effect for acne germ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ium sativum L. peel extract MS Thesis, Seo Kyeong University. 

  17. B. W. Lee, D. H. Shin,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23, No. 2, pp. 200-204, 1991. 

  18. H. S. Cha,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depend on aging period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19. O. C. Kwon, K. S. Woo, T. M. Kim, D. J. Kim, J. T. Hong, H. S. Jeo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3, pp. 331-33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