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적인 바와 클립 유지형 피개의치의 경우, 인상채득 및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어 바가 nonpassive fit하게 제작될 수 있다. 최근에 나온 기성품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SFI-Bar (Stress Free on Implant Bar) system (Cendres+Metaux, Biel/Bienne, Switzerland)은 튜브바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밀링방식이나 캐스팅방식에서 겪을 수 있는 작업상의 많은 어려움과 긴 작업 시간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임플란트 주위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줄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골흡수가 심한 상악 무치악 환자에게 최근에 나온 stress free implant bar인 SFI-Bar system을 사용한 피개 의치로 수복하였다.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제작시 수동적 적합을 얻을 수 있어 임플란트에 스트레스를 덜 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nventional bar- and clip-retained overdentures, all errors during impression making and cast fabrication result in non-passive fit of bars. SFI bar is prefabricated and assembled in the patient's mouth without the use of soldering, laser welding or conventional bonding techniques, thus reduc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임플란트를 식립 후 즉시 하중을 가하는 경우 수동적 적합이 필수적인데, 이 시스템의 경우 기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구강내에서 임플란트 fixture에 기성품으로 연결할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이 좋은 경우에는 즉시 하중을 가할 수도 있어 환자의 내원횟수 및 비용감소와 술자의 chair time 감소효과를 볼 수 있다.12 따라서 본 증례는 상악의 심한 치조골 위축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복잡한 골이식수술이 예상되어 최대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했다.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 제작시 수동적 적합을 얻을수있어 임플란트에 스트레스를 덜 가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CT를 분석하여 상악은 치조골 위축이 심하여 비골 거상술과 GBR(guided bone regeneration)을 동반하여 #11, 13, 21, 23 부위에 4.0 ×10 mm US II 임플란트(Osstem, Busan, Korea)를 식립했고, 하악은 #34, 44 부위에 4.0 ×10 mm US II 임플란트(Osstem, Busan, Korea) 를, #35, 36, 45, 46 부위에 5 ×8.5 mm US II 임플란트(Osstem, Busan, Korea)를 식립했다(Fig. 4).
  • 7). Female part를 바에 연결하고 그 아래 공간을 자가중합형 아클릴릭 레진(Pattern Resin LS; GC Corp, Tokyo, Japan)으로 블록아웃한 후 총의치에 자가중합형 의치상 레진을 이용하여 female part를 직접법으로 연결했다. 중심교합 확인 및 측방운동시 양측성 균형교합이 되는것을확인했다(Fig.
  • 상악금속구조물을 제작하고, 악간관계기록을 위해 기록상과 교합제를 제작했다. 동공간선과 캠퍼 평면에 일치되게 하고, 생리적인 안정위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을 결정한 후, 적절한 안모형태가 되게 교합제를 조정했다. 중심위를 교합인기재(Regisil Rigid, Dentsply, Konstanz, Germany)로 채득하고 안궁 이전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했다(Fig.
  • 상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실록산 인상 재(Exadenture, GC Corporation, Tokyo, Japan)로 기능인상을 채득했고, 하악은 고정성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 인상재(Honigum Mono & Light, DMG, Hamburg, Germany)로 최종 인상채득하여 주모형을 제작했다. 상악금속구조물을 제작하고, 악간관계기록을 위해 기록상과 교합제를 제작했다. 동공간선과 캠퍼 평면에 일치되게 하고, 생리적인 안정위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을 결정한 후, 적절한 안모형태가 되게 교합제를 조정했다.
  • 치료계획시 고려한 사항은 상악의 심한 치조골 상실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크라운의 길이가 길어지고 적절한 상순 지지를 얻을 수 없어 비심미적인 결과가 예상되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계획했고, 상하악간관계가 충분하고 상악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스플린팅이 필요해 바 어태치먼트를 선택했다. 상악의 심한 치조골 위축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복잡한 골이식수술이 예상되어 최대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했다. 제조사에 따르면 SFI bar는 telescopic design의 볼조인트로 연결되기 때문에 임플란트에 측방력이 가해지지않고(Fig.
  • 상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실록산 인상 재(Exadenture, GC Corporation, Tokyo, Japan)로 기능인상을 채득했고, 하악은 고정성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 인상재(Honigum Mono & Light, DMG, Hamburg, Germany)로 최종 인상채득하여 주모형을 제작했다.
  • 교합인기재(Regisil Rigid, Dentsply, Konstanz, Germany)로 중심위를 채득하여 임시의치를 제작했다. 상하악임플란트식립을 위해 방사선스텐트(radiographic stent)를 제작하여 CT(computed tomography) 사진을찍었다. CT를 분석하여 상악은 치조골 위축이 심하여 비골 거상술과 GBR(guided bone regeneration)을 동반하여 #11, 13, 21, 23 부위에 4.
  • Paul, MN, USA) 시멘트로 합착했다. 의치 온성 후 유지 및 안정, 교합을 체크 후 기공실 재부착 과정을 거쳤다. 주모형상에서 임플란트에 어댑터를 연결하여 임플란트 사이의 거리에 맞게 바의 길이를 조정했다(Fig.
  • 상,하악 치아 발치후 #33, 43은 금속도재관을 위한 치아 삭제 후 치아공간이 좁아 5본 고정성 국소의치로 임시치아를 제작하여 장착하고, 임시의치 제작을 위해 알지네이트(Cavex Impressional, Cavex Holland BV, Haarlem, Netherlands)로 상하악인상채득했다. 작업 모형에 교합제를 제작하여 구강내 장착 후 동공간선과 캠퍼 평면(비익-이주선)에 일치되게 하고, 생리적인 안정위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을 결정한 후, 적절한 안모 형태가 되게 교합제를 조정했다. 교합인기재(Regisil Rigid, Dentsply, Konstanz, Germany)로 중심위를 채득하여 임시의치를 제작했다.
  • 치료계획은 심한 치주염으로 인해 예후가 좋지 않은 상악 잔존 치아를 전악 발치하고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계획했고, 하악은 #33, 43을 제외한 나머지 치아를 모두 발치한 후 #33에서 #43번까지 고정성 국소의치와 #34, 35, 36, 44, 45, 46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하여 고정성보철물로 수복하기로 계획했다. 치료계획시 고려한 사항은 상악의 심한 치조골 상실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크라운의 길이가 길어지고 적절한 상순 지지를 얻을 수 없어 비심미적인 결과가 예상되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계획했고, 상하악간관계가 충분하고 상악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스플린팅이 필요해 바 어태치먼트를 선택했다. 상악의 심한 치조골 위축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복잡한 골이식수술이 예상되어 최대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SFI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했다.
  • 2). 치료계획은 심한 치주염으로 인해 예후가 좋지 않은 상악 잔존 치아를 전악 발치하고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계획했고, 하악은 #33, 43을 제외한 나머지 치아를 모두 발치한 후 #33에서 #43번까지 고정성 국소의치와 #34, 35, 36, 44, 45, 46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하여 고정성보철물로 수복하기로 계획했다. 치료계획시 고려한 사항은 상악의 심한 치조골 상실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크라운의 길이가 길어지고 적절한 상순 지지를 얻을 수 없어 비심미적인 결과가 예상되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계획했고, 상하악간관계가 충분하고 상악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스플린팅이 필요해 바 어태치먼트를 선택했다.

대상 데이터

  • 작업 모형에 교합제를 제작하여 구강내 장착 후 동공간선과 캠퍼 평면(비익-이주선)에 일치되게 하고, 생리적인 안정위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을 결정한 후, 적절한 안모 형태가 되게 교합제를 조정했다. 교합인기재(Regisil Rigid, Dentsply, Konstanz, Germany)로 중심위를 채득하여 임시의치를 제작했다. 상하악임플란트식립을 위해 방사선스텐트(radiographic stent)를 제작하여 CT(computed tomography) 사진을찍었다.
  • SFI Bar는 기공실을 거치지 않고 치과의사가 진료실에서 바를 직접 구강내에 연결하여 제작하는 직접법과 기공실에서 마스터 모델상에 제작하는 간접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증례는 상악무치악환자에 대해 4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SFI bar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 상악에 임플란트 식립한 후 6개월이 지나서 개인트레이 제작을 위해 알지네이트(Cavex Impressional, Cavex Holland BV, Haarlem, Netherlands)로 상하악 인상채득했다. 상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실록산 인상 재(Exadenture, GC Corporation, Tokyo, Japan)로 기능인상을 채득했고, 하악은 고정성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플란트 코핑 연결 후 폴리비닐 인상재(Honigum Mono & Light, DMG, Hamburg, Germany)로 최종 인상채득하여 주모형을 제작했다.
  • 동공간선과 캠퍼 평면에 일치되게 하고, 생리적인 안정위를 사용하여 수직고경을 결정한 후, 적절한 안모형태가 되게 교합제를 조정했다. 중심위를 교합인기재(Regisil Rigid, Dentsply, Konstanz, Germany)로 채득하고 안궁 이전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했다(Fig. 5).
  • 하악은 #33에서 #43번까지 치아공간이 부족해 5본 고정성 국소의치로 금속도재관을제작하고, #34i, 35i, 36i, 44i, 45i, 46i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full contour zirconia 크라운으로 제작했다. 상악의 납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시적하고 치아 배열 상태를 확인한 후 교합조정을 거쳐 하악 고정성 보철물은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RelyX luting cement, 3M ESPE, St.
  • 환자는 44세 남자 환자로 당뇨병으로 최근 1 - 2년 사이에 치아가 많이 빠져서 치료받고 싶다는 주소로 본원 보철과로 내원하였다. 초진 내원시 방사선 사진과 구강검사를 시행한 결과 다수치아상실, 상악치조골의 심한위축, 심한 치주염 상태를 보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바 주조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어태치먼트 종류에는 볼, 자석, 바 어태치먼트가 있는데 이중에서 바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이 가장 우수한것으로 보고되고있다.2,3 반면 전통적인 바 주조방법의 단점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인상채득 및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기공실에서 기공 과정의 단계가 적고 쉬울수록 오차가 생길가능성이 줄어들며, 임플란트와 보철물이 수동적 적합을 얻어 실패의 위험이 적어지게 된다.
기공 과정의 단꼐가 적고 쉬울수록 어떤 이점이 생기는가? 2,3 반면 전통적인 바 주조방법의 단점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인상채득 및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기공실에서 기공 과정의 단계가 적고 쉬울수록 오차가 생길가능성이 줄어들며, 임플란트와 보철물이 수동적 적합을 얻어 실패의 위험이 적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 기공실을 거치지 않고 치과의사가 진료실에서 바를 직접 구강내에 연결하여 피개의치를 제작하면 더욱 좋을것 이다.
적은 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및 어태치먼트를 연결해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이 해결하려는 의치 치료의 문제는 무엇인가? 상하악 무치악 환자들의 치료는 전통적으로 상하악 총의치이나, 총의치의 저작효율은자연치아를 가진사람에 비해 4 - 5배로 적다. 또한 총의치를 오랜 기간 사용한 환자에서 심한 치조골 소실 및 골 재형성을 보이며, 의치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1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은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어태치먼트를 연결해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의치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서 무치악 환자들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oundoulakis JH, Eckert SE, Lindquist CC, Jeffcoat MK. Th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as an alternative to the complete mandibular denture. J Am Dent Assoc 2003;134:1455-8. 

  2. Petropoulos VC, Smith W, Kousvelari E. Comparison of retention and release periods for implant overdenture attachm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12:176-85. 

  3. van Kampen F, Cune M, van der Bilt A, Bosman F. Retention and postinsertion maintenance of bar-clip, ball and magnet attachments i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an in vivo comparison after 3 months of func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3;14:720-6. 

  4. Feine JS, Carlsson GE, Awad MA, Chehade A, Duncan WJ, Gizani S, Head T, Heydecke G, Lund JP, MacEntee M, Mericske-Stern R, Mojon P, Morais JA, Naert I, Payne AG, Penrod J, Stoker GT, Tawse-Smith A, Taylor TD, Thomason JM, Thomson WM, Wismeijer D. The McGill consensus statement on overdentures.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as first choice standard of care for edentulous patients. Gerodontology 2002;19:3-4. 

  5. Burns DR, Unger JW, Coffey JP, Waldrop TC, Elswick RK Jr. Randomized, prosp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prosthodontic modalitie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J Prosthet Dent 2011;106:12-22. 

  6. Thomason JM, Kelly SA, Bendkowski A, Ellis JS. Two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a review of the literature supporting the McGill and York consensus statements. J Dent 2012;40:22-34. 

  7. Stoker G, van Waas R, Wismeijer D. Long-term outcomes of three types of implant-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s in smokers. Clin Oral Implants Res 2012;23:925-9. 

  8. Martinez-Lage-Azorin JF, Segura-Andres G, Faus-Lopez J, Agustin-Panadero R. Rehabilitation with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in total edentulous patients: A review. J Clin Exp Dent 2013;5:e267-72. 

  9. Stoumpis C, Kohal RJ. To splint or not to splint oral implants in th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therap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 Oral Rehabil 2011;38:857-69. 

  10. Carr AB, Stewart RB. Full-arch implant framework casting accuracy: preliminary in vitro observation for in vivo testing. J Prosthodont 1993;2:2-8. 

  11. Romero GG, Engelmeier R, Powers JM, Canterbury AA. Accuracy of three corrective techniques for implant bar fabrication. J Prosthet Dent 2000;84:602-7. 

  12. Kim HY, Kim RJ, Qadeer S, Jeong CM, Shin SW, Huh JB. Immediate loading on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with SFI Bar $^{(R)}$ overdenture. J Adv Prosthodont 2011;3:47-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