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 및 제도에 대한 인식 특성
Characterizing visitors' awareness of trekking safety programs and regulations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5, 2014년, pp.588 - 596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관광개발전공) ,  성찬용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시행 중인 탐방객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에 대한 탐방객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관리 수단의 적정성, 효용성,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성삼재, 중산리, 백무동, 쌍계사탐방로 입구에서 평일과 주말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총 394매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 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안전사고 예방 프로그램 참가 경험 응답률은 23.4%로써 이 프로그램이 탐방객에게 폭넓게 인식되고 있지 못하고 있었으나 안전사고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 중 51.1%는 안전사고 프로그램이 산행시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 유도는 안전사고 예방에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조사대상 탐방객의 72.4%는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았다. 응답자의 72.2%가 이 제도의 다른 국립공원 확대 시행에 공감하고 있었다. 입산시간지정제 인식여부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취약성 분석 결과 입산시간지정제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산행 경력이 길고 산행 기술 수준이 높았으며 사고 대비 준비를 더 많이 하고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산행경력, 산행기술능력, 산행의 준비 정도는 안전시설 설치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산행경력이 많고 산행기술이 높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된 탐방객일수록 현재 설치된 안전시설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drawbacks of a trekking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of the Jirisan National Park using visitor survey data. In total, 394 visitors were surveyed at the entrances to Seongsamjae, Jungsanri, Baekmudong, and Ssanggyesa trails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도입 시행중인 탐방객의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과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탐방객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제도의 적정성, 효용성,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과 입산시간지정제도에 대한 탐방객 인식 파악을 위해 탐방객 통계자료에(KNPS, 2014a) 근거하여 천왕봉 정상 탐방과 대피소 이용, 종주산행이 많이 이루어지는 탐방로의 진출입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탐방로 입구는 성삼재, 중산리, 백무동, 쌍계사 총 4곳으로 지리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약 35.

가설 설정

  •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조사대상 탐방객의 72.4%는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Figure 7)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 았다.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 정보수집 경로를 파악한 결과 국립공원홈페이지라는 응답이 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산시간지정제 인식여부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취약성 분석 결과는? 2%가 이 제도의 다른 국립공원 확대 시행에 공감하고 있었다. 입산시간지정제 인식여부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취약성 분석 결과 입산시간지정제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산행 경력이 길고 산행 기술 수준이 높았으며 사고 대비 준비를 더 많이 하고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산행경력, 산행기술능력, 산행의 준비 정도는 안전시설 설치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산행경력이 많고 산행기술이 높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된 탐방객일수록 현재 설치된 안전시설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공원법에서 국립공원 지정·보전·관리의 목적은 무엇인가? 국립공원은 국제보호지역의 관리기준으로 삼고 있는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 Ⅱ에 해당하므로 관리의 목적은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생태계구조와 환경형성 과정을 지원하며 교육과 휴양을 증진’시켜야 한다(Kim, 2012). 우리나라는 자연공원법에서 국립공원 지정·보전·관리의 목적을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 도모’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공원관리청은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전제로 한 지속가능한 이용을 공원관리의 핵심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국립공원에 대한 관리 대책중에 하나인 입산시간지정제란 무엇인가? 더불어 법에 의한 입산시간제한은 야간·비박 산행으로 이어져 안전사고 발생과, 대피소 주변 비박 등에 따른 자연자원 훼손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원관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문제 해결 대안으로 도입한 이 제도는 장시간 무리한 산행으로 인한 심장돌연사, 탈진 등의 안전사고 예방, 고지대 비박으로 인한 자연훼손 최소화, 산행전 충분한 시간 안내와 계획적인 산행유도, 개인의 체력을 고려한 안전한 산행 유도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계절별, 탐방로별 난이도, 목적지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등으로 고려하여 입산시간(종전 일출, 일몰 기준을 변경)과 통제시간을 정하고 그 시간 이외 탐방을 제한하는 것이다. 또한 국립공원 시행하고 있는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산행전 준비운동, 각종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대피소 예약제 시행으로 안전하고 계획적인 탐방 문화 정착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B.M. and M.K. Bae(2002) The Atmospheric Factors User's Satisfaction in Natural Parks.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1):29-4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vez, D.J.(1996) Mountain Biking: Issues and Actions for USDA Forest Service Management. Research Paper PSWRP-226. Pacific Southwest Station, USDA Forest Service, Albany, California. 

  3. Cho, E.K., M.J. Lee and S.Y. Jan(2007) An Analysis of Visitors Aactivities and the Changes in Recognition after the Oil Spill Accident in Taeanhaean National Park.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3):37-4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W.(2000) Remedial Device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Nature Trail in National Parks in Korea.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1-1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W.(2006) Visitor Usage and Evaluation of Interpretive Media in Chiaksan National Park. Kor. J. of Env. and Eco. 20(1): 9-1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W., K.J. Yoo and D.P. Kim(2006) Visitors' Attitudes about Interpretive Media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 J. of Env. and Eco.20(2): 143-15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 W., S.H. Choi and K.J. Yoo (2009) Visitors' Evaluation of Iinterpretive Media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of Env. and Eco.23(2): 127-13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 W.H., H.J. Yun and S.B. Im(2011)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gil.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74-7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ong, S.K, S.I. Kim, M.S. Doh and Y.H. Hwang(2004) National Park Management Strategies under Social Change.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10-2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Y.A, W.K. Min and N.J. Kim(2011) Analysis of Attractiveness of Eco-Tourism Program in National Park Using IPA - Focusing on the Nature-Ecology and History-Culture Programs -. J. of Tourism Studies 23(1): 147-1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B.H.(2012) Enhanc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otected Areas in Korea. Ph. D.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31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NPS(2014a) http://www.knps.or.kr/front/portal/stats 

  13. KNPS(2014b)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 

  14. Lime, D.W.(1977) When the Wilderness gets croweded..Naturalist 28:1-7. 

  15. Lee , J.H., J.K. Park and H.G. Kwon(2012) An Analysis on the Research and Policy Trends of Korea National Parks' Resources and Visitor Management: A Focus on the Research-Practice Relation. J. of Tourism Science 36(10):215- 2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J.H.(2012) Effectiveness of Ecotourism Interpretation: An Assesment of the Effect of Interpretation on th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among a Korean National Park Visitors. J. of Tourism Science 36(5):177-19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J.H., S.Y. Han and K.Y. Sim(2001)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Management of National park Facilities.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5(2): 61-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cCool, S.F. and N.A. Christensen(1996) Alleviating Congestion in Parks and Recreation Areas through Direct Management of Visitor Behavior. In: D.W. Lime(ed.), Congestion and Crowding in the National Park System: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Research, MAES Misc. Pub. 86-1996. St. Paul, Min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Minnesota Agriculture Experiment S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19. Peterson, G. and D.W. Lime(1979) People and their Behavior: A Challenge for Recreation Management. Journal of Forestry 77:343-346. 

  20. Seo, E.C.., K.W. Sim and J.H. Lee(2002) A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National Park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Visitor Characteristics - Case study of the Gaya National Park -.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1): 63-7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ng, B.H., B.E. Yang and G.G. Lee(2006) AS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for Park Faciliti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rough the Analysis of Expectancy-Result Disconfirmation.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2):44-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Yoo, K.J., T.H. Kwon(2004) Visitors' Perceptions on Ttrail Use in Korean National Parks - Case Studies in Bukhansan and Chiaksan National Park -. Kor. J. of Env. and Eco. 18(4): 437-44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oo, K.J, B.h. Han, J.W. Choi and J.Y Hur(2012) A Study on Community Member perception due to Impact on Development of the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of Env. and Eco. 26(1): 113-12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