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정감각 자극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stibular 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the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5, 2014년, pp.365 - 371  

정혜연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ining in vestibular sensory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of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10) or the control group (n=1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4 하지만 이러한 감각정보들에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의 신체에 대해 잘못 인식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35,3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감각정보 중에 하나인 전정감각 자극훈련을 적용 하였을 때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하지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정감각 자극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적절한 운동 반응으로서의 균형과 보행능력의 효과를 나타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정감각 자극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출혈이나, 뇌경색 등 여러 원인에 의해서 장애가 생기는 질병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에 의해 뇌졸중 환자의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병변 부위에 따라 복합적인 결손을 가져오는 질환이다.1,2 뇌졸중 환자들은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앉기, 서기, 걷기 등에서의 능력이 저하되고 이는 보행 및 일상생활 능력을 제한하고 삶의 질이 낮아지며3,4, 감각지각, 운동기능 장애로 인하여 균형이상, 낙상의 위험증가, 운동성 제한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뇌졸중 환자는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뇌졸중은 뇌출혈이나, 뇌경색 등 여러 원인에 의해서 장애가 생기는 질병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에 의해 뇌졸중 환자의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병변 부위에 따라 복합적인 결손을 가져오는 질환이다.1,2 뇌졸중 환자들은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앉기, 서기, 걷기 등에서의 능력이 저하되고 이는 보행 및 일상생활 능력을 제한하고 삶의 질이 낮아지며3,4, 감각지각, 운동기능 장애로 인하여 균형이상, 낙상의 위험증가, 운동성 제한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5,6
어떤 방법을 통해 전정감각을 자극하는가? 14 전정감각 자극은 전정감각-시각-고유수용감각 시스템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혼란스러움을 해소하고 부조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5 소아의 경우에는 해먹, 신경발달 촉진 볼, 평형보드, 제트모빌, 트램플린 등을 사용하고16,17, 성인의 경우에는 눈의 초점이나 머리움직임 등을 통해 전정계를 자극한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Lee MS, Lee JH, Park SK et al. The effect of ankle joint taping applied to patients with hemiplegia on their gait velocity and joint angles.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57-62. 

  2. Jung JH, Kim JH. Correlation between bilateral reciprocal leg press test and The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4):180-6. 

  3. Jung MS, Park JW.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test and fear of falling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1):23-8. 

  4.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 

  5. Song BK.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hand function, postural control and ADLs within sensorimotor deficits after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5):291-9. 

  6. Kim MG, Kim JH, Park JW.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r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43-50. 

  7. Maurer C, Schweigrat G, Mergner T. Pronounced over estimation of support surface tilt during stance. Exp Brain Res. 2006;168(12):4150. 

  8.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1984;182:165-71. 

  9. Kim JH. Relationship between gait symmetry and functional balance, walking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1):1-8. 

  10. Bonan IV, Colle FM, Guichard JP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 balance on dynamic postur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68-73. 

  11. Ayres AJ.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test score constellations. part II of a final project report. sensory integration international, 1986. 

  12. Rhee CK. Vestibular rehabilitation. Korean Academy of Audiology. 2010;6(1):1-9. 

  13. Yelnik AP, Kassouha A, Bonan IV et al. Post Korean Academy of Audiology ural visual dependence after recent stroke: Assessment by optokinetic stimulation. Gait Posture. 2006;24(3):262-9. 

  14. Ayres, Jean A.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Seoul, koonja, 2006:115. 

  15. Nashner LM, Black FO, Wall C.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 and visual conditions during stance: patients with vestibular deficits. J Neurosci. 1982;2(5):536-44. 

  16. Noh SL. A restructured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ation training program for cerebral palsied gait function and its effec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9. 

  17. Park MO. The effects of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on balance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18. Herdman SJ. Exercise strategies in vestibular disorder. Ear Nose throat J. 1990;68(12):961-4. 

  19. Hirsch MA, Toole T, Maitland CG et al.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and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person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09-17. 

  20. Niewboer A, Kwakkel G, Rochester L et al. Cueing training in the home improves gait-related mobility in Parkinson's disease: the rescue trial. J Neurosurg. 2007;78(2):134-40. 

  21. Szturm T, Ireland DJ, Lessing-Tymer M. Comparison of different exercise programs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 J Vestib Res. 1994;4(6): 461-9. 

  22. Lim JH, Park JS, Cho WS. The effect of mechanical horsebackriding training velocity on vestibular functions and static postural balance in healthy adults. 2013;25(5):288-96. 

  23. Hwang SS. The Effects of vestibular stimulation on balance and fundamental psychological process of children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ysfunction.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8. 

  24. Lee GH.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on postural control and sensory organiza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kinesiology. 2013;15(4):129-40. 

  25. Yu HY. The effect of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ory program on the posture balanc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3. 

  26. Beninato M, Portney LG, Sulivan PE.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clinical assessment tools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9;89(8):816-25. 

  27. Kim JH.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dynamic standing balance symmetry and walking function in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73-81. 

  28. Arnold BL, Schmitz RJ. Examination of balance measures produced by the biodex stability system. J Athl Train. 1998;33(4):323-7. 

  29.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0.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5. 

  31. An SH, Sea HD, Chung YJ.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50(2):289-306. 

  32. Kang TW, Oh DW. Literature review of walking performance tests for people with post-stroke hemiparesis. Kor J Neural Rehabil. 2013;3(2):28-43. 

  33. Bonan IV, Marquer A, Eskiizmirliler S et al. Sensory reweighting in controls and stroke patients. Clin Neurophysiol. 2013;124(4):713-22. 

  34. Nashner LM. Adapting reflexes controlling the human posture. Exp Brain Res. 1976;26(1):59-72. 

  35. Perennou DA, Amblard B, Laassel EM et al. Understanding the pusher behavior of some stroke patients spatial deficits: a pli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570-5. 

  36. Jung JH, K JH. Correlation between bilateral reciprocal leg press test and the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4):180-6. 

  37. Badke MB, Miedaner JA, Shea TA et al. Effects of vestibular and balance rehabilitation on sensory organization and dizziness handicap. Ann Otol Rhinol Laryngol Suppl. 2005;114(1):48-54. 

  38. Kwon HM. The effect of balance control and vestibular function by an aquatic rotation control and the obstacle avoidance underwater with hemiplegia patients.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39. Smania N, Picelli A, Gandolfi M et al. Rehabilitation of sensorimotor integration deficits in balance impairment of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Neurosci. 2009;29(5):313-9. 

  40. Han BI, Song HS, Kim JS.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review of indications, mechanisms, and key exercise. J Korean Soc Phy Ther. 2011;7(4):18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