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3, 2014년, pp.285 - 292  

정인창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흑마늘을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활성분획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마늘의 열수 추출효율은 40.6%로 생마늘의 4배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고온 숙성과정을 통해 생마늘보다 총 폴리페놀은 4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6배, 총 당 및 환원당은 각각 3.36배 및 6.75배 증가되었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DPPH 음이온에 대한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미약하였으나,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매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은 생마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상실한 반면,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Staphylococcus aureus 및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세균 활성과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 저해,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은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이 향후 항혈전 활성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urse of stud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rom aged black garlic (ABG), heat-treated ripe bulbs of Allium sativum L., the water extracts from raw-garlic (RG) and ABG, and the subsequent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ABG were prepared, and their antioxidant, antimicrob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북 의성산 흑마늘의 유용활성을 평가하고자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분획물의 활성을 평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흑마늘을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활성분획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마늘의 열수 추출효율은 4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Allium sativum L.)은 무엇인가? 마늘(Allium sativum L.)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서부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 일본,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 및 남유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유의 맛과 향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향신료중의 하나이다[1, 4]. 마늘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
마늘은 어떤 영양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나? )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서부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 일본,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 및 남유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유의 맛과 향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향신료중의 하나이다[1, 4]. 마늘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3%, 지방 0.4%, 섬유질 0.92%, 회분 13.4%로 구성되어 영양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다량의 비타민 C, 다양한 유기산 및 황화합물들을 포함하여 항균, 항암 및 고혈압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식품 소재로 잘 알려져 있다[14, 16]. 특히 생마늘의 황화 아릴류(allyl sulfur compounds)들은 항균, 항암, 동맥경화 예방, 지질대사 개선, 면역세포 활성화 및 항산화 활성 등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을 나타내나, 이들의 강한 신미 및 취기는 마늘이 향신료 개념에서 벗어나 건강식품소재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22].
생마늘의 강한 신미 및 취기를 없애기 위해 시도된 것들은? 특히 생마늘의 황화 아릴류(allyl sulfur compounds)들은 항균, 항암, 동맥경화 예방, 지질대사 개선, 면역세포 활성화 및 항산화 활성 등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을 나타내나, 이들의 강한 신미 및 취기는 마늘이 향신료 개념에서 벗어나 건강식품소재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22]. 따라서 마늘의 매운 맛과 자극취를 없애기 위해 다양한 온도와 압력에서의 가열처리[16], 유산균[28] 및 홍국을 이용한 마늘발효[26] 등이 시도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el-Salam BK. 2012.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lack seeds and garlic on alloxan-induced diabetes in albino rat. Allergol. Immunopathol. 40: 336-340. 

  2. Ahn SM, Hong YK, Kwon KS, Sohn HY. 2010.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0: 1640-1647. 

  3. Ahn SM, Ryu HY, Kang DK, Jung IC, Sohn HY. 2009.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Prinus avium 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371-376. 

  4. Aminuddin M, Partadiredja G, Sari DC. 2014. The effect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thanol extract on the estimated total number of purkinje cells and motor coordination of male adolescent wistar rats tre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 Anat. Sci. Int. DOI 10.1007/s12565-014-0233-2. 

  5.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6. Dong M, Yang G, Liu H, Liu X, Lin S, Sun D, et al. 2014. Aged black garlic extract inhibits HT29 colon cancer cell growth via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Biomed. Rep. 2: 250-254. 

  7. Hwang HJ, Kang MS, Kim BK, Jung BM, Kim MH. 2012. The effect of Opuntia humifusa seed extracts on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22: 1680-1687. 

  8. Jeon SY, Beak JH, Joeng EJ, Cha YJ. 2012.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6-122. 

  9. Jeong TS, Kim JH, An SA, Won YD, Lee SH. 2013. Effect of black garlic on antioxidant and amino acids composition in cheonggukjang. Korean J. Food Preserv. 20: 643-649. 

  10. Kang JR, Lee SJ, Kwon HJ, Kwon MH, Sung NJ. 2012. Establishment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black garlic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9: 577-585. 

  11. Kang MJ, Lee SJ, Sung NJ, Shin JH. 2013. The effect of extract powder from fresh and black garlic on main components in serum and organ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23: 432-442. 

  12. Kang MJ, Shin JH. 2012. The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estraint stressed rats. J. Life Sci. 22: 1529-1537. 

  13. Kim JI, Jang HS, Kim JS, Sohn HY.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13-139. 

  14. Kim KJ, Do JR, Kim HK.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ic extracts. Korea J. Food Sci. Technol. 37: 228-232. 

  15. Kwon JE, Baek UH, Jung IC, Sohn HY. 2010.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 garlic, Allium victorialis L. Korea J. Food Sci. Technol. 17: 541-546. 

  16.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17. Lee HS, Kim SH. 2010. Safety evalu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for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stud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13-1219. 

  18. Park C, Park S, Chung YH, Kim GY, Choi YW, Kim BW, et al. 2014. Induction of apoptosis by a hexane extract of aged black garlic in the human leukemic U937 cells. Nutr. Res. Pract. 8: 132-137. 

  19. Purev U, Chung MJ, Oh DH. 2012. Individual differences on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raw and black garlic extract in human primary immune cell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4: 651-660. 

  20. Ryu HY, Ahn SM, Kim JS, Sohn HY. 2010.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3 different medicinal herbs. J. Life Sci. 20: 922-928. 

  21. Seo MJ, Kang BW, Park JU, Kim MJ, Lee HH, Ryu EJ, et al. 2013.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cytokine gen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J. Life Sci. 23: 63-68. 

  22.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1131. 

  23. Shin JH, Lee CW, Oh SJ, Yun J, Kang MR, Han SB, et al. 2014. Hepatoprotective effect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in rodents. Toxicol. Res. 30: 49-54. 

  24. Shin JH, Lee HG, Kang MJ, Lee SJ, Sung N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33-940. 

  25.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eau reagent. Meth. Enzymol. 299: 152-178. 

  26. Sumioka I, Hayama M, Shimokawa Y, Shiraishi S, Tokunaga A. 2006. Lipid-lowering effect of monascus garlic fermented extract (MGFE) in hyperlipidemic subjects. Hiroshima J. Med. Sci. 55: 59-64. 

  27. Sweeney JD, Hoerning LA, Behrens AN, Novak E, Swank RT. 1990. Thrombocytopenia after desmopressin but absence of in-vitro hypersensitivity to ristocetin. Am. J. Clin. Path. 93: 522-525. 

  28. Tak HM, Kim GM, Kim JS, Hwang CR, Kang MJ, Shin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black garlic with probiotics. J. Life Sci. 24: 549-557. 

  29. Valentina U, Facic J, Stampar F. 2007.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30. Wang X, Jiao F, Wang QW, Wang J, Yang K, Hu RR, et al. 2012. Aged black garlic extract induces inhibition of gastric cancer cell growth in-vitro and in vivo. Mol. Med. Rep. 5: 66-72. 

  31. Yang SM, Kang MJ, Kim SH, Shin JH, Sung N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uffins containing black garlic extrac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37-744. 

  32. Yang SM, Shin JH, Kang MJ, Sung N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ham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49-357. 

  33. Yoo JM, Sok DE, Kim MR. 2014. Antiallergic action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in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 mice. J. Med Food 17: 92-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