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신 유행색 가방 구매행동 - 구매동기, 구매유형,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
Purchasing Behavior of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 Focusing on Purchase Motives, Purchase Type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6 no.5, 2014년, pp.719 - 729  

김은주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민지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for purchase motives in regards to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as well as ascertained the structural relations of purchasing behavior in regards to purchase motives, purchase typ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ther purpose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u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기존연구들에서는 색상의 기능에 대해 심미성, 상징성, 인식성 요인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더불어 색상에 관련한 패션상품의 구매행동에 대해 선행연구들에서는 실용성, 어울림, 유행성 요인을 중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식성, 상징성, 실용성 심미성, 유행성, 어울림의 요인을 포함시켜 연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신 유행색 가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50대 국내여성을 대상으로 최신 유행색 가방을 구매하는 동기의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계획구매, 비계획 구매유형에 따라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마케터들이 최신 유행색을 이용하여 계획구매자와 비계획구매자에게 좀 더 효율적인 상품기획을 함으로써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재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비계획구매는 구매계획 여부를 결정할 시점에서는 인식되지 않았던 욕구의 만족을 위한 제품구매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복구매유형을 사전의 구매계획 유무에 따라 계획구매와 비계획구매로 분류한 Cha(2001), Ko(1993), Kim(2000)의 선행연구에 따라 구매계획의 여부를 기준으로 계획구매와 비계획구매로 나누어 구매유형을 살펴보기로 하였다.
  • 색채를 판매촉진전략 즉, 광고와 프로모션과 상품구색, VMD 요소에 적극적으로 조화시켜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한다면, 최종적으로 기업의 자산구축, 매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미성과 어울림을 중시하는 계획구매 유형의 소비자들의 만족과 재구매 의도를 높이기 위해 상점 내에서는 최신 유행색 가방의 적절한 배색을 통해 구매욕구를 상승시킬 코디네이션을 제안하도록 한다. 따라서 마케터들은 본 연구를 통해 패션상품의 최신 유행색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구매동기와 구매유형을 분석하는데에 색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접목한다면 마케팅 전략수립 시 효과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경제적, 시간적 노력이 절약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최신 유행색 가방 구매동기의 요인을 알아보고, 구매유형, 만족도, 재구매 의도에 이르는 구매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신 유행색 가방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50대 국내여성을 대상으로 최신 유행색 가방을 구매하는 동기의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계획구매, 비계획 구매유형에 따라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마케터들이 최신 유행색을 이용하여 계획구매자와 비계획구매자에게 좀 더 효율적인 상품기획을 함으로써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재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최신 유행색은 빠른 회전주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가보다는 저렴한 가격정책으로 구매주기를 늘려 구매빈도를 높이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 가격정책 조절의 전략은 계획구매 유형의 만족도를 높여 재구매 의도에 이르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행예측색은 어디에 의해 발표되나? 일반적으로 ‘유행색’이라고 부르는 것은 유행의 개념과 같이 조작된 유행에서 탄생한 유행 예측색과 자연발생적으로 한 시즌에 많은 사람들이 착용하는 색으로 나뉜다(Shin, 2001). 유행예측색은 1963년에 발족된 국제적 규모의 협의기관인 국제유행색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for Fashion and Textile Colours)에 의해 연 2회 유행색인 인터컬러(inter color)를 발표하고 있다. 국내의 유행색은 CFT(Korea Color & Fashion Trend Center)라는 기관에서 관리·주도하고 있고 국내 소비자들의 특징에 맞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패션업체에서 이를 기반으로 상품을 디자인 및 제작, 판매하고 있다.
색의 역할은? 미국컬러리서치 연구소(ICR)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람은 상대방이나 환경, 사물 등을 처음 접할 때 90초 이내에 무의식적으로 판단을 내리는데, 그러한 평가 혹은 판단의 60~92%가 색에 의존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색은 단순히 미학적인 측면 외에 일차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서 상징적인 기호의 역할을 하고 있다(as cited in Lee, 2011)는 것이다. 특히 비계획적 구매를 하는 소비자에게 상품색의 시각적인 자극은 즉흥적으로 구매를 유발하게 된다.
액세서리 제품군에서 고채도의 유행색에 대한 요구가 앞으로도 증가 및 지속될 전망이며 이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는 이유는? 최근 패션업체에서는 상품기획 시 최신 유행색을 중심으로 이전보다 훨씬 다양한 색상으로 상품구색을 하고 있으며, 특히 가방업계에서는 해외 고가 브랜드 뿐만 아니라 국내 브랜드 매장에서도 다양한 최신 유행색상을 기준으로 제품을 디스플레이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고 있다. 최신 유행색 가방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끄는 이유로는 채도가 높은 다양한 색은 주목성이 높아서 시선을 집중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패셔너블한 스타일링이 가능하기(Kim, 2013) 때문이다. 따라서 가방 같은 액세서리 제품군에서는 고채도의 유행색에 대한 요구가 앞으로도 증가 및 지속될 전망이며 이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k, S. W. (1990). A study 'The color preference of womenkind's clot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 Bellizzi, J. A., Crowley, A. E., & Hasty, R. W. (1983). The effect of color in store design. Journal of Retailing, 59(1), 21-45. 

  3. Bang, S. K. (2003). A study on fashion accessor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 Focusing on women's shoes and handba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Birren, F. (1956). Selling color to people: a book on how to sell color in commercial products and advertising to the American public. New York: University Books. 

  5. Cha, J. (2001). Planned and unplanned apparel purchase typology and related variab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ung, S. J. (2013).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on their clothing satisfaction and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84-94. doi: 10.5805/SFTI.2013.15.1.084 

  7. Chang, M. S. (2011). A study on selection criteria for purchasing designer shoe brand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2), 71-85. 

  8. Cho, Y. R. (2011). The effect of gemstone colors on the purchasing intentions in the Korean jewelry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9. Choi, J. W., & Chang, M. S. (2010).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28-641. 

  10. Choi, M. S., & Kim, K. H. (2005). A study on symbolic color shown from the luxury brand products : Based on luxury brand hand bag. Journal of the Design Rese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8(2), 7-13. 

  11. David, D. K., & Wilton, P. C. (199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 exten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May), 201-212. 

  12. Elliot, A. J., Maier, M. A., Moller, A. C., Friedman, R., & Meinhardt, J. (2007). Color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The effect of red on performance attainmen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6(1), 154-168. 

  13. Han, S. S. (2005).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counterfe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4. Hausman, A. (2000). A multi-method investigation of consumer motivation in impuls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5), 403-415. 

  15. Iyer, E. S. (1989). Unplanned purchasing: Knowledge of shopping environment and time pressure. Journal of Retailing, 65(1), 40-57. 

  16. Jang, G. Y. (2010). A color planning on working clothing for machinery automobile shipbuilding companies considered function & effect of col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17. Je, E. S. (2011). Study on the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utdoor wear benefi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12. 

  18. Jin, H. J., & Rhee, E. Y. (2009).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unplanned purchases of clothing based on need recognition and cognitive eff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601-1610. 

  19. Kim, H. J. (2007). A study of self-justification mechanisms on consumers' impulsive purch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im, H. S. (2002). Color analysis for data control of make-up color tre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4(2), 107-110. 

  21. Kim, J. S., Lee, H. S., Kim, K. E., & Han, N. R. (2006). A study on impression of wearers and a preferenced color from fashion col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Human Ecology, 19(1), 15-28. 

  22. Kim, J. W. (2000).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3. Kim, M. R. (2005). The effect on consumer behavior to purchase clothing through VMD components and consumer's attitude in fashion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Kim, S. H. (2013, June 24). This summer's smart energy, 'colorful bag styling'. XportsMedia. Retrieved Agust 4, 2014, from http://www.xportsnews.com/?acarticle_view&entry_id351012. 

  25. Ko, S. Y. (1993). Study on the impulse buying of clothing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Koh, K. H., & Na, Y. J. (2008). Investigation on the purchasing criteria and discomfort of school backpack for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179-1189. 

  27. Koo, I. S. (2008). A study on the wearing pattern and design preference of handbag for career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4), 1-14. 

  28. Lee, J. (2011). The influence of color communication on customers' purchasing intentions-Based on cars. Industrial Economic Research, 24(6), 3957-3969. 

  29. Lee, M. H. (2008). Knitwear purchase motives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8(8), 158-169. 

  30. Lee, M. H., & Kim, M. Y. (2003). Th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 by influential factors-Focusing on fashion involvement, age, body size, and bodycathex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27(2), 188-199. 

  31. Morgan, R. M., &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July), 20-38. 

  32. Moon, S. K. (2001).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of a color of goods & purchasing. Research Bulletin of Package Culture Design, 10, 183-198. 

  33. Oliver, R. 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57(Fall), 25-48. 

  34. Park, G. J., & Yoo, T. S. (2009).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product attributes, produc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schoolbags-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6), 16-28. 

  35. Park, H. H., Ku, Y. S., & Koo, D. M. (2006).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 on fashio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Focused on casual wear purchas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14(3), 81-106. 

  36. Park, J. H., & Lee, S. J. (2002). The effects of twenties women's fashion color reception on clothing purch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5), 1-13. 

  37. Ru, S. Y. (2003). The effect VMD by the department store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8. Shin, M. H. (2011). The influence of fast fashion value on commitment and repurchase intention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6), 3505-3523. 

  39. Shin, N. Y. (2013). Shopping motives,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preference of teenage internet consumers for fashion access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0. Shin, Y. H. (2001).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lifestyle changes and fashion color Coordination-with women's fashion in the 9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41. Yeo, E. J., & Rhee, U. S. (1996). A study of post-purchase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satisfaction, brand attitude,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6), 1027-1038. 

  42. Yi, Y. J. (2000). Overall consideration about consumer satisfaction studies.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11(2), 13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