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 잎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4, 2014년, pp.183 - 192  

박은애 (연성대학교 호텔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더덕 잎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따라서 더덕 잎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더덕 잎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69.12%, 조단백질 19.14%, 조지방 1.42% 및 조회분 10.32%이었고 더덕 잎 100 g의 함유 열량은 288.36 kcal로 분석되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906.41 mg, 7,551.56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인,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유리당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전체 유리당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덕 잎의 조사포닌 함량은 97.51 mg/g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 잎의 총 페놀 함량은 1.87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61 m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64.32%의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 잎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 잎을 식품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조리 된 식품으로써의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as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더덕 잎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따라서 더덕 잎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분석 및 항산화능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더덕 잎 100 g(wet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5.
  • 예로부터 고급 식재료로서 구이, 절임, 부침 등으로 이용하였으며, Saponin, Inulin, Phytoderin, Leoithin, Pentosan 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된 더덕은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합되는 자원으로서 최근 들어 넥타, 술, 차, 드링크 등의 가공제품이 개발되는 등 건강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Hong WS et al 2006). 하지만, 더덕의 과육 및 껍질에 대한 영양성분 및 항산화 연구(Kim NY et al 2010; Kim SS et al 2009)는 진행이 되고 있지만, 더덕 잎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로 그동안 농가에서 폐기물로 처리되어 왔던 더덕 잎의 영양성분 및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여 향후 더덕 잎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성인병의 발병의 중요한 원인은? 경제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의 생활은 예전에 비해 풍요로워졌지만 환경의 오염, 생활의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식습관의 변화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생활습관병을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Han SM 2001; Yim JE et al 1998; Moon SJ 1996). 특히 동물성 지방의 과다한 섭취로 인한 혈액내의 고 콜레스테롤과 고 중성지방이 만성 성인병의 발병에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근래에 well-being 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아지면서 올바른 지방섭취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지방섭취가 여러 가지 만성퇴행성 성인병 질환발생이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덕 잎의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분석된 더덕 잎의 일반성분 함량을 [Table 1] 에 정리하였다. 더덕 잎 100 g(wet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5.83%, 탄수화물 65.09%, 조단백 18.02%, 조지방 1.34%, 조회분 9.72%가 함유되어 있으며, 더덕 잎 100 g의 총 열량은 288.36 kcal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더덕 잎의 주된 성분은 대부분의 식물체의 구성성분인 탄수화물인 반면 더덕 잎의 일반성분 중에서 조지방의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더덕 잎의 성분 분석은 전무한 실정이며, 자연산 산더덕과 재배 더덕의 일반성분을 분석한(Kim HJ 1985) 결과와 비교하며 보면 본 실험의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뿌리에 더 많은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습관병을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경제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의 생활은 예전에 비해 풍요로워졌지만 환경의 오염, 생활의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식습관의 변화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생활습관병을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Han SM 2001; Yim JE et al 1998; Moon SJ 1996). 특히 동물성 지방의 과다한 섭취로 인한 혈액내의 고 콜레스테롤과 고 중성지방이 만성 성인병의 발병에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O.A.C., 1984a.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878. 

  2. Choi KS, Lee H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326-322. 

  3.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5):361-377. 

  4. Fitzpatrick DF, Hirschfield SL, Coffey RG (1993)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ing activity of wine and other grape products. Am J Physiol 265(2): H774-H778. 

  5. Gutfinger T(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11): 966-967. 

  6. Han BH, Lee EB, Woo WS (1981). Screening of saponins in the plants. Korean J Pharmacogn 12(2): 88-93. 

  7. Han SM (2001).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t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M.Sc., Dissertation. Dept, of Human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1-10 

  8. Han HK, Lim SJ (1998). Effect of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Commelina ommuris on blood glucose level and energy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Soc Food Sci 14(5): 577-583. 

  9. Hong JS, Kim YH, Lee KR, Kim MK, Cho CI, Park KH, Choi YH, Lee JB (1998). Composition of organic aci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 100-105. 

  10. Hong WS, Lee JS, Kim EJ, Choi YS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donopsis lancedata Dishes and development of Codonopsis lancedata Dish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 181-192. 

  11.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 624-630. 

  12. Kim PJ (2002). Study on the diet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M.Sc., Dissertation.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Dong Eui University. 1-2 

  13. Kim CH, Chung MH (1975).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Condopsis lanceolata. Natural Product Sciences 6(1): 43-47. 

  14. Kim NY, Chae HS, Lee IS, Kim DS, Seo KT, Park SJ (2010).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627-1633. 

  15. Kim CH, Kwon MC, Han JG, Na CS, Kwak HG, Choi GP, Park UY, Lee HY (2008). Skin-Whitening and UV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on ui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4): 255-260 

  16. Kim HJ (1985). Proximate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17(1):22-24 

  17. Kim SH (2009). Cholesterol lowering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9-30. 

  18.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432-436. 

  19. Lee KH, Shin KE, Rha YA, Choi SK (2013). A study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Pickles(JJangachi). Korean J Culinary Res 19(2): 65-75. 

  20.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2): 79-85. 

  21.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ropharmacology 71(1-2): 109-114 

  22. Moon SJ (1996). Korean disease pattern and nutrition. Korean J Nutr 29: 381-383. 

  23. Na GM, Han HS, Te Sh, Kim HK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5): 499-505. 

  24. Park SJ (2014).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Nakai. Korean J Culinary Res 20(1): 133-142. 

  25. Park SJ, Rha YA (2014). Component analysis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Korean J Culinary Res 19(5): 136-145. 

  26.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1981).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1): 4-7. 

  27. Sato M, Ramarathan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1): 37-41. 

  28. Waters Associates (1983). Official method of amino acid analysis. In Amino acid system of operators manual of the Waters Associates. Milford, MA, USA. 37. 

  29. Yim JE, Choue RW, Kim YS (1998). Effect of dietary counceling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 treatment on serum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patients. Korean J Lipidology 8(1):61-7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