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들의 전해질과 이온에 관련된 입자 개념 표현의 일관성 분석
Analysis of Coh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Particulate Concept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8 no.6, 2014년, pp.580 - 589  

윤회정 (경북대학교) ,  이윤하 (대영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맥락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맥락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에서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할 때와 수용액 상태의 서로 다른 전해질이 혼합되어 고체 상태의 앙금을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입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에 검사를 실행하고, 개발한 분류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한 응답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입자 개념을 가지고 각각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화학기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약 57%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수용액 상태의 입자에 대해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였고, 비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한 학생들은 전체의 약 79%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여러 맥락에서 입자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s used to explain specific phenomenon can be influenced by context or coherent regardless of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 of particles in particular contex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xt on concept of particles. A concep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서로 다른 맥락에서 어떤 입자 개념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맥락이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9학년 '전해질과 이온' 단원을 선정하였다.
  • 이를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9학년 '전해질과 이온' 단원을 선정하였다. 이 단원의 목표는 물질이 전해질과 비전해질로 구분됨을 이온화를 통하여 이해하고, 앙금 생성 반응을 통하여 이온 간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12 전해질과 비전해질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전 개념의 종류와 사전 개념의 생성 원인, 과학적 개념 습득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전략의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 학생들이 거시적인 현상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설명이 일관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내용 중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과 관련한 내용을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학생들은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할 때, 수용액 상태에서의 입자를 일관적으로 표현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시적 수준으로 화학 개념을 습득할 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이유는? 화학 개념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거시적(macroscopic), 미시적(microscopic), 상징적(symbolic) 수준에서의 종합적 이해가 필요한데,30 특히 미시적 수준에서의 이해는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입자 개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25 입자와 관련된 학생들의 다양한 사전 개념이 보고되었고, 많은 학생들이 원소, 원자나 분자를 명확히 구분하거나 용해나 확산, 화학반응을 입자적 수준에서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정적인 개념 구조가 가진 특성은? 그 중 하나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개념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입장이다.2,32 이러한 개념 구조는 존재론적, 인식론적인 기본 전제들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변화하지 않으며 일관적이며 설명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Vosniadou와 Brewer33는 지구의 모양을 원반모양으로 설명하는 정신모형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 중, 낮과 밤이 바뀌는 현상을 설명하는 과정에도 같은 모형을 적용하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화학 개념을 습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화학 개념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거시적(macroscopic), 미시적(microscopic), 상징적(symbolic) 수준에서의 종합적 이해가 필요한데,30 특히 미시적 수준에서의 이해는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입자 개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25 입자와 관련된 학생들의 다양한 사전 개념이 보고되었고, 많은 학생들이 원소, 원자나 분자를 명확히 구분하거나 용해나 확산, 화학반응을 입자적 수준에서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adan, E.; Savasci, F.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4(4), 513-544. 

  2. Blown, E. J.; Bryce, T. G. 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6, 28(12), 1411-1462. 

  3. Devetak, I.; Vogrinc, J.; Glazar, S. A.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9, 39(2), 157-179. 

  4. diSessa, A. A. Cognition and Instruction 1993, 10(2-3), 105-225. 

  5. Ebenzer, J. V.; Erickson, G. L. Science Education 1996, 80(2), 181-201. 

  6. Eom, K.; Hwang, I.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006, 10(1), 1-19. 

  7. Glaazr, S. A.; Devetak, I. Acta Chimica Slovenica 2002, 49, 43-53. 

  8. Kabapinar, F.; Leach, J.; Scott, P.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6(5), 635-652. 

  9. Kang, D. H.; Paik, S. H.; Park, K.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4, 48(4), 399-413. 

  10. Lee, J. A.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Explanatory Patterns About Electrolytes and Ion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009. 

  11. Lee, J.; Noh, S.; Paik, J.; Lee, B.; Kang, D.; Kim, J.; Lee, Y.; Hwang, Y.; Ko, H.; Shin, M. Middle School Science 3; Visang Publishers: Seoul, 2012.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Daehan Textbook Publishing: Seoul, Korea, 2007. 

  13. Nakhleh, M. B.; Samarapungavan, A.; Saglam, 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 581-612. 

  14. Nam, C. Y.; Park, K. S.;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9, 53(6), 774-783. 

  15. Paik, S.; Kim, H.; Han, Y.; Kim, 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0, 54(3), 338-349. 

  16. Palmer, D. H. Science Education 1999, 83(6), 639-653. 

  17. Park, J.; Han, S.; Noh, 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0, 30(1), 42-53. 

  18. Pinarbasi, T.; Canpolat, 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3, 80(11), 1328-1332. 

  19. Prieto, T.; Blanco, A.; Rodriguez,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89, 11(4), 451-463. 

  20. Raviola, A.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1, 78(5), 629-631. 

  21. Sanger, M. J.; Greenbowe, T.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5), 521-537. 

  22. Schmidt, H.-J.; Marohn, A.; Harrison, A.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7, 44(2), 258-283. 

  23. Smith, K. J.; Metz, P. A.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6, 73(3), 233-235. 

  24. Taber, K. 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4), 399-417. 

  25. Taber, K. S. Chem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Europe 2001, 2(2), 123-158. 

  26. Taber, K. 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8, 30(8), 1027-1053. 

  27. Taskin, V.; Bernholt, 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4, 36(1), 157-185. 

  28. Teichert, M. A.; Tien, L. T.; Anthony, S.; Rickey, 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8, 30(8), 1095-1114. 

  29. Tien, L. T.; Teichert, M. A.; Rickey, D.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7, 84(1), 175-181. 

  30. Treagust, D. F.; Chittleborough, G.; Mamiala, T. 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3, 25(11), 1353-1368. 

  31. Tytler,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8, 20(8), 901-927. 

  32. Vosniadou, S. On the Nature of Naive Physics. In Reconsidering Conceptual Change: Issues in Theory and Practice; M. Limon, L. Mason,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ston, MA, 2002; pp 61-76. 

  33. Vosniadou, S.; Brewer, W. F. Cognitive Science 1994, 18(1), 123-1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