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수 연안에서 자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fisheries in coastal water of Yeosu,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0 no.4, 2014년, pp.633 - 642  

오성재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한경호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고수진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이성훈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신임수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thly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by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collected fishes were 1,529 individuals (183,840g) of the total, identified into 6 ord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소극적인 방법이기는 하지만 한 해역에 일정기간동안 설치되어 있는 자망에 어획된 어획물을 통하여 여수 돌산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Shin, 2001)과 여수 돌산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Jeong, 2004), 여수 돌산 연안 소형기선저인망에서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Lee, 2004)과 비교⋅고찰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라남도 여수의 지리적 특징은? 전라남도 여수는 우리나라 남해 중앙부에 위치하여, 남해 연안 해역 중에서도 계절에 따라 대마난류, 중국 대륙 연안수, 한국 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의 영향을 받으며, 연안수의 세력에 영향을 받는 곳으로 어족 번식 상 최적의 해양환경을 갖추고 있는 천해의 어장이다(Kim, 1997).
여수 주변해역의 어류 중 가장 우점한 어종은 무엇인가? 연구결과 조사해역의 어류 중 가장 우점한 어종은 쥐노래미로 나타났으며, 쥐노래미는 경제성 어종으로 가치가 높고. 그 외 수온, 염분 및 계절의 변화특성에 의해 분포되어지는 어류들이 여수 연안에 많이 분포함에 따라 이해역이 산란장, 색이장 및 보육장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라남도 여수는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최근 해안의 지형이 인위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 으며, 최근 빠른 도시화 및 연안부근에 관광시설 건설 등 급진적으로 산업화에 의해 하천수, 공업폐수 등 오염물질 다량유입과 석유화학 공단에 출입하는 국내⋅외 대형 유조 선박들의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연안오염이 차츰 증가하여 생태계가 파괴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이 소멸됨으로써 연안 정착성 어종과 외해성 어종의 출현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Oh,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eong HH. 2004.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both sides fyke net in the Dolsan, Yeosu. Master Thesis, Chonnam Univ, Korea, p. 36. 

  2. Kim DS. 1997. Meterologic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J Kor Soc Fish Tech 29(2), 94-108. 

  3. Kim IO, Park CD, Cho SG, Kim HY and Cha BJ. 2010. Mesh selectivit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nylon gill 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ern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6(4), 281-291. (doi: 10.3796/KSFT.2011.47.4.290) 

  4. Kim KT. 2011.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ape net in the Dolsan, Yeosu. Master Thesis, Chonnam Univ, Korea, p.47. 

  5. Lee DG. 2004.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by small scale trawl in Dolsan, Yeosu. Master Thesis, Chonnam Univ, Korea, p.38. 

  6. Lee TW. 1989.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J Kor Fish Soc 22(1), 1-8. 

  7. Lee TW. 1991.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 Optimal sample size. J Kor Fish Soc 24(4), 248-254. 

  8. Lee TW. 1993.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III. Spati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J Kor Fish Soc 5(5), 438-445. 

  9.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eonsu bay 1. Demersal fish. J Kor Fish Soc 29(1), 71-83. 

  10. Lee TW and Kim GC. 1992.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I.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J Kor Fish Soc 25(2), 103-114. 

  11. Lee TW and Hwang SW. 1995. The demersal fish of Asan bay IV.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from 1990 to 1993. J Kor Fish Soc 28(1), 67-79. 

  12. Masuda H, Amaoka K, Araga C, Uyeno T and Yoshino T.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p.437. 

  13. Nakabo T, Aizawa M, Anomura Y, Akihito, Ikeda Y, Sakamoto K, Shimada K, Senoum H, Hatookka K, Hayashi M, Hosoya K, Yamada U and Yoshin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a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p.1162. 

  1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998. Ecology and fishery of main fish species in littoral sea. Yeamoonsa, Korea, p.304. 

  15.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p. 550. 

  16. Oh YS. 2006.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fish pot a gill net in the Samchunpo, Korea. Master Thesis, Chonnam Univ, Korea. p.33. 

  17. Pianka ER. 1973. The structure of lizard communities. Ann Rev Ecol Syst., 4, 53-74. 

  18. Pielou EM.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et Biol 13, 131-144. 

  19. Shannon CE and Wien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Urban, p.125. 

  20.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1-688. 

  21. Shin SS. 2001.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the Dolsan, Yeosu. Master Thesis, Chonnam Univ, Korea. p. 35. 

  22.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7. List of animals in Korea (excluding insects), Academy book Seoul, Korea, p.489. 

  23. Yoo JM, Lee EK and Kim S. 1999.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Yeosu. J Kor Fish Soc 32(3), 295-3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