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항 내, 외에서 식물플랑크톤 위해종의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risky phytoplankton species at inner and outer sites around Incheon seapor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958 - 6965  

권오윤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강정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항에서 선박평형수 배출수에 기인한 외래종을 고려한 항만환경 관리수준 설정을 위해 식물플랑크톤의 잠재적 위해종 출현 특성과 관련된 환경영향 요인을 2007년 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인천항 내측 및 외측에서 계절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바 있는 식물플랑크톤 62종이 관찰되었고, 그 중에 적조원인종 13종과 독소생산종 7종의 잠재적 위해종이 관찰되었다. 잠재적 위해종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인천항 외측에서 더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봄과 겨울철에는 적조원인종인 Skeletonema spp., Thalassiosira nordenskioldii, Paralia sulcata가 항만 내측 (평균 72.4%) 및 외측(평균 77.6%)에서 모두 우점 하였고, 수소이온부유물질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여름철에는 인천항 내측에서 적조원인종(Skeletonema spp.) 및 독소생산종(Alexandrium catanella, A. tamarense, Dinophysis acuminata, Pseudo-nitzschia spp.)이 혼합 우점 (평균 74.2%) 하였으나, 외측에서는 Skeletonema spp.와 P. sulcata가 우점 (평균 67.2%)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독소생산종 들은 용존 무기질산염, 규산염, 인산염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 농도는 봄과 여름 및 가을철에 인천항 외측에서 각각 평균 $3.05{\mu}g/L$, $1.49{\mu}g/L$, $5.46{\mu}g/L$로 내측보다 3-5배 높은 농도가 높았고, 겨울철에는 내측 (평균 $0.94{\mu}g/L$) 및 외측 (평균 $0.95{\mu}g/L$) 간 농도 차이가 없었다. 요약하면, 인천항 외측은 다양한 적조원인종이 우점하며 엽록소-a 농도가 높았으나, 항만 내측은 여름철 독소생산종의 출현 종수가 높게 나타났고, 외측에 비해 엽록소-a 농도가 낮았다. 각 위해종들의 대 발생 가능성은 영양염, 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부유물질의 농도와 비례한 것으로 나타나, 항만 내, 외측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잠재적 위해종 관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occurring pattern of potential risky species and the related abiotic factors for port-specific environmental management considering the control of ballast water-induced foreign species at Incheon seaport. From a total of 62 species observed during the study, 13 red-tide and 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외래 유입 생물들은 그 해역의 고유 생태계의 교란 뿐 아니라 적조 및 다양한 독소를 생산하여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항 내, 외측 환경에서 식물플랑크톤 위해종의 분포 특성을 비교및 파악하여, 향후 이들에 의한 공간 및 계절적인 잠재적 위해성 정보에 따른 항만환경 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 평형수가 선박에 저장되는 목적은? 그 중 항구는 수많은 선박이 드나들며 대량의 화물이 선적 및 하역되는 곳으로 연안에서 일어나는 오염 문제 뿐만 아니라 선박에서 배출되는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곳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선박 평형수는 화물 적재량이 적을때 선박 안전성 유지와 조종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선박에 저장되어 있다. 선박평형수를 통해 수송된 다양한 해양생물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대부분 사멸하나, 이를 극복하고 살아남은 일부 생물은 강한 번식력으로 항만의 고유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3,4].
선박평형수로 수송된 해양생물의 생존에 영향을 주는 것은? 선박평형수를 통해 수송된 다양한 해양생물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대부분 사멸하나, 이를 극복하고 살아남은 일부 생물은 강한 번식력으로 항만의 고유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3,4]. 이러한 생물들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대표적 요인들은 항만 수역의 물리 및 이화학적 환경이다. 특히 선박평형수를 통한 유입 및 확산이 잘 알려져 있는 생물군 중 플랑크톤이 적조발생과 고유생태계교란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분포특성과 연관된 기초 환경 연구가 특히 미흡하다[5,6].
연안 해역에서는 어떤 오염 문제가 발생하는가? 연안 해역은 인간 활동에 의한 여러 오염물질의 유입이 활발하게 나타나는 곳으로 적조(red-tide)와 부영양화(eutrophication) 현상 같은 다양한 오염 문제가 발생한다[1,2]. 그 중 항구는 수많은 선박이 드나들며 대량의 화물이 선적 및 하역되는 곳으로 연안에서 일어나는 오염 문제 뿐만 아니라 선박에서 배출되는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 J. Smayda, "Novel and nuisance phytoplankton bloom in the sea: evidence for a global epidemic", p. 29-40, In: Toxic marine phytoplankton, ed. by E. Graneli, B. Sundstrom, L. Elder, D. M. Anderson. Elsevier, New York, 1990. 

  2. G. M. Hallegraeff, "Harmful algal blooms: a global overview", p. 25-49, In: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ed. by G. M. Hallegraeff, D. M. Anderson, A. Cembella, UNESCO Publishing, Paris. 2003. 

  3. G. M. Hallegraeff, "Transport of toxic dinoflagellates via ship's ballast water: bioeconomic risk assessment and efficacy of possible ballast water management strategies", Mar. Ecol. Prog. Ser., 168, 297-309, 1998. DOI: http://dx.doi.org/10.3354/meps168297 

  4. T. J. Smayda, "Reflection on the ballast water dispersal harmful algae bloom paradigm". Harmful algae, 6, 601-62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hal.2007.02.003 

  5. J.-H. Kang,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carrying capacity of the potentially risky species Noctiluca scintillans at Korean Seaports", Ocean and Polar Res., 32, 449-462, 2010. DOI: http://dx.doi.org/10.4217/OPR.2010.32.4.449 

  6. O. Y. Kwon, J.-H. Kang, "Distribution of potential risky species on phytoplankton at ports in Korea", J. Korea Academia-industrial. 14, 506-510, 200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506 

  7. J. E. Cloern, R. Dufford,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principles applied in San Francisco Bay", Mar. Ecol. Prog. Ser., 285, 11-28, 2005. DOI: http://dx.doi.org/10.3354/meps285011 

  8. G. M. Hallegraeff, S. Fraga, "Bloom dynamics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with emphasis on Tasmanian and Spanish coastal waters", p. 261-287, In: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s, ed. by D. M. Anderson, A. D. Cembella, G. M. Hallegraeff, Springer-Verlag, Berlin, 1998. 

  9. E. L. Lilly, D. M. Kulis, P. Gentien, D. M. Anderson,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toxins in France linked to a human-introduced strain of Alexandrium catenella from the western Pacific: evidence from DNA and toxin analysis", J. Plankton Res., 24, 443-452, 2002. DOI: http://dx.doi.org/10.1093/plankt/24.5.443 

  10. M. Edwards, A. W. G. John, D. G. Johns, P. C. Reid, "Case history and persistence of the non-indignous diatom Coscinodiscus wailesii in the north-east Atlantic", J. Mar. Biol., 81, 207-211, 2001. 

  11. G. T. Boalch, D. S. Harbour, "Unusual diatom off the coast of south-west England and it's effect on fishing", Nature, 269, 687-688, 1977. DOI: http://dx.doi.org/10.1038/269687a0 

  12. D. M. Anderson, "Toxic algal blooms and red tides: a global perspective" p. 11-16, In: Red tide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ed. by T. Okaich, D. M. Anderson, T. Nemoto, Elsevier, New york, 1989. 

  13. J.-S. Yoo, J. H. Lee, I.-K. Lee,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f Incheon dock ecosystem, Korea", Korean J. Ecol., 20(1), 61-68, 1997. 

  14. T. R. Parsons, Y. Maita, G. M. Lalli,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984. 

  15. J. W. Nybakken, M. D. Bertness, "Marine Biology",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2005. 

  16. I.-K. Lee, J. H. Lee, S. A. Yoo, "Annual fluctu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in Incheon dock, Korea", Korean J. Biol., 9, 88-103, 1991. 

  17. N. N. Rabalais, R. E. Tumer, R. J. Diaz, D. Justic, "Global change and eutrophication of coastal waters", J. Mar. Sci., 66, 1528-1537, 2009. 

  18. J.-S. Yoo, J. H. Lee, Y. H. Kim, I.-K. Lee,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losed marine ecosystem, Inchon Dock", Korean J. Bot., 35(4), 323-332, 1992. 

  19. J. C. Goldman, P. M. Gilbert, "Kinetics of inorganic nitrogen uptake by phytoplankton", p. 233-274. In: Nitrogen in the marine environment, ed. by G. C. Douglas, A. B. Deborach, R. M. Margaret, J. C. Carpenter, Academic Press, New York, 2008. 

  20. M. A. Brzezinski, D. R. Phillips, F. P. Chavez, G. E. Friederich, R. C. Dugdale, "Silica production in the Monterey, California, upwelling system", Limnol. Oceanogr. 42, 1694-1705, 1997. DOI: http://dx.doi.org/10.4319/lo.1997.42.8.1694 

  21. C.-D. Alejandra, G. M. X. Anelu, "Seasonal dynamics of picoplankton in shelf waters of the southern bay of Biscay", Aquat. Microb. Ecol., 42, 159-174, 2006. DOI: http://dx.doi.org/10.3354/ame042159 

  22. G. A. Tarran, M. A. Zubkov, M. A. Sleigh, P. H. Burkill,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standing stocks in the NE Atlantic in June and July of 1996", Deep-Sea Res. II, 48, 963-985, 2001. 

  23. T. Ault, R. Velzeboer, R. Zammit, "Influence of nutrient availability on phytoplankton growth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Port Adelaide River, Australia: bioassay assessment of potential nutrient limitation", Hydrobiol. 429, 89-103, 2000. DOI: http://dx.doi.org/10.1023/A:1004024630413 

  24. K. H. Ann, J. Yoo, J. N. Kwon, C. S. Jung, "The clarification of spatial-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from southern Korea coastal waters in 2004", Korean J. Environ. biol., 15, 539-562, 2006. 

  25. J. H. Lee, J. S. Byun, "Annual dynamics of phytoplankton diatoms in Incheon dock", Korean J. Phycol., 6, 69-82, 1991. 

  26. M. S. Han, J. K. Jeon, Y. O. Kim, "Occurrence of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a causative organism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in Chinhae bay, Korea", J. Plankton Res., 14, 1581-1592, 1992. DOI: http://dx.doi.org/10.1093/plankt/14.11.1581 

  27. H. H. Shin, Y. H. Yoon, H. Kawami, M. Iwataki, K. Matsuoka, "The first appeara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Gonyaulacales, Dinophyceae) responsible for the PSP contaminations in Gamak bay, Korea", Algae, 23, 251-255, 2008. DOI: http://dx.doi.org/10.4490/ALGAE.2008.23.4.2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