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중앙 집중식 이동성 관리 방식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이동성 앵커에 모든 데이터 및 제어가 집중되므로 단일 오류 문제, 병목 구간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 단말의 이동성을 분산된 이동성 앵커들에 의해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들이 연구 중이다. 현재 제안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들은 이동성 앵커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나 전술망에서는 이동성 앵커의 이동, 정비, 장애등으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앵커 장애 발생 시에도 핸드오버가 가능한 새로운 전술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그널링 비용 및 핸드오버 지연시간의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ventional centralized mobility management schemes, it can lead to single points of failure, occurrence of a bottleneck, since all data and control are concentrated on the mobility anchor which is located in home network. In the current research of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it is d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술 환경에서는 앵커들이 이동, 정비, 장애등의 이유로 서비스를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의 장애 시에도 핸드오버가 가능한 전술 환경을 위한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전술 망에 적합한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은 이동성 수행 시 앵커의 장애로 인해 바인딩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신규 접속 앵커에서 이동 단말의 패킷을 통해 상대 노드의 주소를 추출하여 직접 업데이트를 진행함으로써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제안중인 분산 이동성 관리 방안들을 전술망에 적용 시 성능 제한 요인을 살펴보고, 앵커 장애 발생 시에도 핸드오버가 가능한 전술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의 정량적인 분석은 단말의 이동 시 핸드오버 절차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에 따른 비용을 계산하였으며, Jaehwoon[12]이 수행한 분석 방법을 인용하였다. PMIP기반의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요소 간 차등적인 기능을 가정하고 있으나, T-DMM의 성능 분석을 위해 이동성 앵커간의 거리 및 프로세싱 비용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모델에서의 각 변수들의 정의는 표 1과 같다.
  • 그림 9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DMM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로써, MN 및 CN은 T-DMM 도메인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메인 내 이동성 앵커들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분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의 정량적인 분석은 단말의 이동 시 핸드오버 절차에 대한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에 따른 비용을 계산하였으며, Jaehwoon[12]이 수행한 분석 방법을 인용하였다.
  • 전체 메시지 교환 방식은 신규 앵커 T-MAG2가 동일 그룹 내의 모든 T-MAG들에게 PBU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모든 T-MAG들은 동일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PBU 메시지를 수신한 T-MAG들은 모두 BCE를 생성하고 PBA 메시지를 신규 앵커에게 전달하여 터널링을 설정한다.
  • 핸드오버 지연은 단말이 이동하여 새로운 MAR에 접속할 때부터 CN으로부터 처음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로 가정한다[16,17]. 그림 10은 일반적인 DMM,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DMM 방식 및 성능 비교를 위한 전체 메시지 교환 방식에 대한 단계별 지연 시간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고, 표 2에서는다이어그램 상에 표현된 변수들의 정의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중앙 집중식 이동성 관리 방식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가? 기존의 중앙 집중식 이동성 관리 방식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이동성 앵커에 모든 데이터 및 제어가 집중되므로 단일 오류 문제, 병목 구간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 단말의 이동성을 분산된 이동성 앵커들에 의해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들이 연구 중이다.
MIP(Mobile IP)[1], PMIP(Proxy Mobile IP)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표준으로 제시된 MIP(Mobile IP)[1], PMIP(Proxy Mobile IP)[2]은 중앙 집중형 이동성 관리 기법으로써 HA(Home Agent)/LMA((Local Mobility Anchor)와 같은 중앙 집중형 장비에 의존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패킷들이 먼저 HA/LMA로 전달된 후 터널링을 통해 현재 접속 위치로 보내지므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트래픽 집중화로 최적 경로 선택이 불가능하여 전송 지연이 증가할 수 있으며, HA/LMA 고장 발생 시 관리되는 모든 단말들의 통신이 불가능하다[3,4]. 따라서 최근 DMM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G(Working Group)에서는 이동성 관리를 분산형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DMM 기법들이 논의되고 있으며 표준화가 완료되면 전술 환경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플로우 기반 핸드오버 기법이란 무엇인가? 플로우 기반 핸드오버 기법은 이동 단말이 새로운 앵커에 접속할 때 HA와 바인딩 정보 갱신 시간동안 빠른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이다. 일시적인 터널링 기능을 제공하는 FFHMIPv6(Flow-based Fast Handover Mobile IPv6)[6], 경로 최적화 기능이 추가된 NFFHMIPv6(New FFHMIPv6)[7], QoS(Quality of Service)별 핸드오버 방식을 달리하는 MFAN(Mobile Flow-Aware Network)[8] 등이 제안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 Perkins, D. Johnson, and J. 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IETF, RFC 6275, July 2011. from http://www.ietf.org 

  2. S. Gundavelli, K. Leung, V. Devarapalli, K. Chowdhury, and B. Patil, Proxy mobile IPv6, IETF, RFC 5213, Aug. 2008. from http:// www.ietf.org 

  3. A. Chan, H. Yokota, J. Xie, P. Seite, and D. Liu, "Distributed and dynamic mobility management in mobile internet: Current approa ches and issues," J. Commun., vol. 6, no. 1, pp. 4-15, Feb. 2011. 

  4. Y. Kim, Y. Han, M. Kim, S. Y. Park, S. J. Moon, H. H. Lee, and D. K. Choi,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LET/SAE networks," J. KICS, vol. 38B, no. 11, pp. 879-894, Nov. 2013. 

  5. Y. Kim, S. Lee, J. Jung, S. Lee, and Y. Kim, "Network mobility support for tactical network," Annu. Conf. KIMST 2011, pp. 507- 510, 2011. 

  6. M. Sulander, T. Hamalaine, A. Viinikainen, and J. Puttonen, "Flow-based fast handover method for mobilie IPv6 network," in Proc. 59th IEEE Semi Annu. Veh. Technol. Conf. (VTC'S04), pp. 2447-2451, May 2004. 

  7. C. Jin and Z. Xi-Huang, "A new flow-based fast handoff method for mobile IPv6 network with route optimization," Comput. Commun., vol. 30, no. 18, pp. 3870-3880, Oct. 2007. 

  8. T Yim, T. M. Nguyen, K. Hong, and J. Park, "Mobile flow-aware networks for mobility and QoS support in the IP-based wireless networks," J. Wirel. Netw., vol. 20, no. 6, pp. 1639-1652, Feb. 2014. 

  9. C. J. Bernardos and J. C. Zuniga, PMIPv6- based distributed anchoring, IETF Internet- Draft, draft-bernardos-dmm-distributed-anchoring- 04, May 2014. from http://www.ietf.org 

  10. F. Giust, A. De La Oliva, C. J. Bernardos, and R. P. F. Da Costa, "A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solution for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2011 14th Int. Symp. Wirel. Pers. Multimedia Commun.(WPMC), pp. 1-5, Oct. 2011. 

  11. P. Seite, P. Bertine, and J. H. Lee, Distributed mobility anchoring, IETF Internet-Draft, draftseite- dmm-dma-07, February 2014. from http:// www.ietf.org 

  12. J. Lee and Y. Kim, PMIPv6-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IETF Internet-Draft, draft-jaehwoon-dmm-pmipv6-02, May 2014. form http://www.ietf.org 

  13. W. Seo, J. Choi, J.-C. Nam, I.-S. Park, and Y.-Z. Cho, "PMIPv6 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using multiple LMA," in Proc. KICS 2011, pp. 188-189, Nov. 2011. 

  14. B. J. Sook, W. J. Hyun, S. K. Ho, and S. Y. Tae, "A study on fully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FHPMIPv6," in Proc. KICS 2013, pp. 707-708, Nov. 2013. 

  15. J. I. Kim and S. J. Koh,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in proxy mobile IPv6 using hash function," IEEE 2013 Int. Conf. Inf. Netw. (ICOIN), Jan. 2013. 

  16. J.-H. Lee, J.-M. Bonnin, I. You, and T.-M. Chung, "Comparative handover performance analysis of IPv6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0, no. 3, pp. 1077-1088, Mar. 2013. 

  17. J.-H. Lee, Z. Yan, and I. You, "Enhancing QoS of mobile devices by a New handover process in PMIPv6 networks," Wirel. Pers. Commun., vol. 61, no. 4, pp. 591-602, Dec.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