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중량을 이용한 워밍업 점프가 사후 점프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aded Warm-up Jumps on the Following Performance of Vertical Jump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5 no.2, 2015년, pp.167 - 174  

김현균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  김영관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조행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aded vertical jumps on the following vertical jumps and to find how long the transient effect of warm-ups would continue. Methods : Twelve healthy college mal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2명의 체육전공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이적 준비운동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과중량을 이용한 수직점프(몸무게의 5%, 몸무게의 10%)가 사후 점프 수행력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점프 높이와 각운동학 변인들을 살펴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과중량을 이용한 특이적 준비운동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각기 다른 중량(몸무게의 5%, 몸무게의 10%)으로 특이적 준비운동을 실시하였고 사후 수직점프 수행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이적 준비운동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직점프 동작을 선정하였고 피험자 몸무게로 표준화한 무게 자켓(weight vest)을 이용하여 사전 과중량 수직점프 준비운동이 사후 점프 수행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그 결과를 통해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지면반력은 지면반력기 2대에서 나온 값을 합하여 하나로 만들고 그 값을 이용하여 수직 점프 높이 계산에 활용하였다. 대항운동 시작시점과 이륙시점은 수직 지면반력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과 지면반력이 10 N 이하가 되는 점으로 설정하였다.
  • 첫째 과중량 수직점프에서 자켓 무게를 달리하였을 때(몸무게 5%와 10%의 자켓) 사후 점프 수행에 다르게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점프 높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관절 각운동학 변인과 관절 협응 변화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셋째, 과중량 점프 효과는 준비운동 후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없어질 것이다.
  • 둘째, 점프 높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관절 각운동학 변인과 관절 협응 변화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셋째, 과중량 점프 효과는 준비운동 후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없어질 것이다.
  •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첫째 과중량 수직점프에서 자켓 무게를 달리하였을 때(몸무게 5%와 10%의 자켓) 사후 점프 수행에 다르게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점프 높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관절 각운동학 변인과 관절 협응 변화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비운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운동 전 실시하는 준비운동(warm-up)의 운동생리학적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준비운동의 효과로 체온이 상승하고 주동근의 유연성을 향상되어 관절 가동범위를 증가시키며 골격근의 손상을 예방한다(Nosaka, Sakamoto, Newton, & Sacco, 2004; Shellock, & Prentice, 1985; Zakas, Grammatikopoulou, Zakas, Zahariadis, & Vamvakoudis, 2006). 또한 신체를 운동에 적합한 상태로 이끌어 본 운동에서 운동능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Park & Sun, 1997). 준비운동을 통해 39℃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Hedrick, 1992), 이는 혈색소가 산소를 수용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활동하는 근육에 많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Astrand, 1960).
준비운동을 통해 39℃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신체를 운동에 적합한 상태로 이끌어 본 운동에서 운동능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Park & Sun, 1997). 준비운동을 통해 39℃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Hedrick, 1992), 이는 혈색소가 산소를 수용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활동하는 근육에 많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Astrand, 1960). 그 외에도 운동수행에 관련된 관절 부위 혈액을 증가시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Sim, 1984).
본 연구에서 특이적 준비운동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첫째, 5% 과중량 점프는 사후 점프 수행력을 향상시켰으나 10% 과중량 점프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과중량 특이적 준비운동을 할 때는 체중 5% 근처의 적절한 부하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수직점프 결과 차이를 설명하는 각운동학 변인은 고관절각의 최대각속도뿐 이었다. 이는 상체에 부착한 과중량으로 인해 가장 인접한 고관절의 활성화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셋째, 과중량 점프 때문에 발생한 일시적인 사후 점프 수행력 향상은 워밍업 후 4분이 경과하면서 사라졌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중량을 이용한 특이적 준비운동은 유한한 시간범위내에서 점프 수행 능력에 도움을 주겠지만 필요 이상의 중량 부하를 이용한 특이적 준비운동은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자는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특이적 준비 운동의 특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strand, P. O. (1960). Aerobic work capacity in men and women with special reference to age. Acta Physiologic Scandinavica, 49(169), 1-92. 

  2. Bishop, D. (2003). Warm up II: performance changes following active warm up and how to structure the warm up. Sports Medicine, 33(7), 483-498. 

  3. Bobbert, M. F., & van Ingen Schenau, G. J. (1988). Coordination in vertical jumping. Journal of Biomechanics, 21(3), 249-262. 

  4. Bosco, C., Luhtanen, P., & Komi, P. V. (1983). A simple method for measurement of mechanical power in jump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50, 273-282. 

  5. Bucher, C. A. (1975). Effect of four week deep water run training on running performanc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9, 694-699. 

  6. Burkett, L. N., Phillips, W. T., & Ziuraitis, J. (2005). The best warm-up for the vertical jump in college-age athletic 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9(3), 673-676. 

  7. Chon, J. G. (1997). The effects of weighted rope skipping training on the physiological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6(1), 1-11. 

  8. Cilli, M., Gelen, E., Yildiz, S., Saglam, T., & Camur M. H. (2015). Acute effects of a resisted dynamic warm-up protocol on jumping performance. Biology of Sport, 31, 277-282. 

  9. Driss, T., Vandewalle, H. Y., Quievre, J., Miller, C., & Monod, H. (2001). Effects of external loading on power output in a squat jump on a force platform: A comparison between strength and power athletes and sedentary individuals. Journal of Sports Sciences, 19, 99-105. 

  10. Donti, O., Tsolakis, C., & Bogdanis, G. C. (2014). Effects of baseline levels of flexibility and vertical jump ability on performance following different volumes of static stretching and potentiating exercises in elite gymnastis.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13, 105-113. 

  11. Hedrick, A. (1992). Physiological responses to warm-up. Journal of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14(5), 25-27. 

  12. Jang, M. J. (1997). Sport Medical Science. Seoul; Daehan Media Publishing Company. 

  13. Janssen, I., Sheppard, J. M., Dingley, A. A., Chapman, D. W., & Spratford, W. (2012).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kinetics when landing from unloaded and loaded jumps.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28(6), 687-693. 

  14. Kim, T. Y., Choi, M. S., Huh, J. H., & Ahn, K. H. (1999). Effects of respiratory variables of recovery on warm-up intensity levels in supramaximal exercise. Journal of Korea Athletic Science Meeting, 8(1), 493-501. 

  15. Kim, Y. K. (2013). The effect of different warm-up procedures on bat speed in baseball.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3(2), 91-97. 

  16. Koh, Y. C., Kim, K. H., Hwang, S. W., Kim, C. Y., Cho, S. W., & Cho, J. H. (2013). Effects of warm-up on landing strategy during drop-landing.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1, 759-766. 

  17. Kim, W. H., Kim, K. H., & Kim, D. Y. (2004). The effects of warming up and cooling down in swimming on lactate density in blood and heart rate. Korea Sport Research, 15(1), 1157-1168. 

  18. Lee, S. D., Ko, W. J., & Yoo, S. H. (2010). The effect of warm-up on exercise injuries in soccer club members.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6(1), 99-108. 

  19. Lim, H. Y. (2013). An Effect of Self Initiated Basic Fitness Exercise and Preparation and Finishing Exerci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upon the Prevention of Dance Inj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 Nosaka, K., Sakamoto, K., Newton, M., & Sacco, P. (2004). Influence of pre-exercise muscle temperature on responses to eccentric exercise.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9(2), 132-137. 

  21. Otsuji, T., Abe, M., & Kinoshita, H. (2002). After-effects of using a weighted bat on subsequent swing velocity and batters' perceptions of swing velocity and heavines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4, 119-126. 

  22. Park, S. J., & Sun, W. S. (1997). Fitness Q and A. Seoul; Hongkyung Publishing Company. 

  23. Reiman, M. P., Peintner, A. M., Boehner, A. L., Cameron, C. N., Murphy, J. R., & Carter, J. W. (2010). Effects of dynamic warm-up with and without a weighted vest on lower extremity power performance of high school male athlet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4(12), 3387-3395. 

  24. Sale, D. G. (2002). Postactivation potnetiation: Role in human performanc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30, 138-143. 

  25. Sale, D. G. (2004). Postactivation potentiation: Role in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 386-387. 

  26. Shellock, F. G., & Prentice, W. E. (1985). Warming-up and stretching for improved physical performance and prevention of sport-related injuries. Sports Medicine Journal, 2(4), 267-278. 

  27. Sim, Y. M. (1984). The Theory of the Training and Actuality. Seoul;Dongsuh Publishing Company. 

  28. Son, S. G., Kim, M. A., & Kim, Y. B. (1997). The Sport, Exercise, and Sports Preparing 21st Century. Seoul; HongKyung Publishing Company. 

  29. Thompsen, A. G., Kackley, T., Palumbo, M. A., & Faigenbaum, A. D. (2007). Acute effects of different warm-up protocols with and without a weighted vest on jumping performance in athletic wo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1(1), 52-56. 

  30. Tillin, N. A., & Bishop, D. (2009). Factors modulating post-activation potentiation and its effects on performance of subsequent activities. Sports Medicine, 39, 147-166. 

  31. Zakas, A., Grammatikopoulou, M. G., Zakas, N., Zahariadis, P., & Vamvakoudis, E. (2006). The effect or active warm-up and stretching on the flexibility of adolescent soccer player.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6(1), 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