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 개발
Developing a Home-based Self-management Support Intervention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8 no.2, 2015년, pp.75 - 87  

송희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me-based self-management support intervention (SMSI) for enhanc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Korea.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by following these 4 ste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의 호흡재활 중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대상자의 참여율과 이행률을 높이고 중재의 필수요소를 모두 포함한 표준화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를 개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대상자 스스로 자기관리를 수행하도록 환자의 기능 상태와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되, 기존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중재 참여율과 이행률을 높이고 자가관리 증진을 위한 중재의 핵심요소와 내용들을 포함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해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질병 관리에 필요한 행위 수행을 돕기 위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개발된 중재는 다음과 같이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 된다고 볼 수 있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기존 호흡재활 중재의 제한점을 보완하면서 국내에서 확립되지 않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재활을 위한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이동은 최소화하면서 가정에서 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의 질병관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하는 재가 자가관리 증진 중재를 개발하되, 선행 국내 호흡재활 중재마다 단편적으로 사용된 중재의 내용들을 포괄하면서 Sprit 등(2013)이 제시한 자가관리 증진 중재의 필수요소인 악화 대처계획과 인지행동 전략을 포함하고자 한다. 이들 전략을 포함한 자가관리 중재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되었던 호흡재활의 효과인 기능 상태와 전반적 삶의 질의 향상 이외에도 자기효능감 증진과 자가관리 이행 증진을 통해 호흡재활을 통해 획득된 효과의 장기적 유지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으로 제시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이러한 근거에도 불구하고, 기존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지속적 이행과 효과 유지 부족, 그리고 참여율 저조 및 높은 탈락률이 제한점으로 제시되어 왔다. 즉, 재활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호흡 및 전반적 기능 유지에 필요한 행위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데, 대부분 재활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대상자들의 불이행으로 호흡재활 효과의 지속에 제한이 따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Zwerink et al.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중재 전달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 중재 전달방법으로는 재가 호흡재활 중재를 제공한 국내외 연구들에서 전화와 서면으로 중재의 내용을 교육하거나(Kim, 2002), 교육, 운동훈련 등의 중재 내용을 직접 방문 교육과 감시를 시행하거나(Yun et al., 2002), 교육, 운동훈련 및 행동 요법 등의 중재의 내용을 전화방문(Oh et al., 2003)을 활용하여 중재가 제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비약물 요법의 효과는 무엇인가? , 2013). 특히 비 약물 요법으로는 건강교육, 약물관리 및 호흡운동 등의 내용들을 포함한 호흡재활 중재를 통해 호흡기능, 운동능력, 운동 내구성 및 일반적 건강상태 개선과 이를 통한 삶의 질 개선과 유지 효과가 보고되었다(Holland et al., 2013; Nici & Zuwallack, 2014: Sprui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hmore, J., Russo, R., Peoples, J., Sloan, J., Jackson, B. E., Bae, S., et al. (2013).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elfmanagement activation research trial (COPD-SMART): Design and methods.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35(2), 77-86. http://dx.doi.org/10.1016/j.cct.2013.05.004 

  2. Cooke, M., Moyle, W., Griffiths, S., & Shields, L. (2009). Outcomes of a home-based pulmonary maintenance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COPD: A pilot study. Contemporary Nurse, 34(1), 85-97. 

  3. Effing, T. W., Bourbeau, J., Vercoulen, J., Apter, A. J., Coultas, D., Meek, P., et al. (2012). Self-management programmes for COPD: Moving forwar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9(1), 27-35. http://dx.doi.org/10.1177/1479972311433574 

  4. Ghanem, M., Elaal, E. A., Mehany, M., & Tolba, K. (2010).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Effect on exercise tolerance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Annals of Thoracic Medicine, 5(1), 18-25. http://dx.doi.org/10.4103/1817-1737.58955 

  5. Guo, S., & Bruce, A. (2014). Imporving understanding of and adherence to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OPD: A qualitative inquiry. PLos One, 9, 10, e110835.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1835 

  6. Han, S. J. (2003). The effects of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1008-1017. 

  7. Holland, A. E., Mahal, A., Hill, C. J., Lee, A. L., Burge, A. T., Moore, R., et al. (2013). Benefits and costs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equivalence trial. BMC Pulmonary Medicine, 13, 57. http://dx.doi.org/10.1186/1471-2466-13-57 

  8. Jang, H. J., & Kim, J. Y. (2006).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1(6), 533-546. 

  9. Kim, H. S., & Kang, H. S. (2006). Effects of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43-53. 

  10. Kim, S. H. (2002). The effect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3). Osong: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 Lacasse, Y., Goldstein, R., Lasserson, T. J., & Martin, S. (2006).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4), CD003793.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793.pub2 

  13. Lee, C. K. (2007).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3), 343-352. 

  14. Lee, S. H., & Kim, Y. S. (2006). The effect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53-62. 

  15. Lomundal, B. K., & Steinsbekk, A. (2012). Five-year follow-up of a one-year self-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COPD.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7, 87-93. http://dx.doi.org/10.2147/COPD.S27352 

  16.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6. 

  17. Maltais, F., Bourbeau, J., Shapiro, S., Lacasse, Y., Perrault, H., Baltzan, M., et al. (2008). Effects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9(12), 869-878. 

  18. McFarland, C., Willson, D., Sloan, J., & Coultas, D. (2012).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2 types of in-home rehabilitation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pilot study. Journal of Geriatric Physical Therapy, 35(3), 132-139. http://dx.doi.org/10.1519/JPT.0b013e31824145f5 

  19. Mendes de Oliveira, J. C., Studart Leitao Filho, F. S., Malosa Sampaio, L. M., Negrinho de Oliveira, A. C., Hirata, R. P., Costa, D., et al. (2010). Outpatient vs.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OP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ultidisciplinary Respiratory Medicine, 5(6), 401-408. http://dx.doi.org/10.1186/2049-6958-5-6-401 

  20. Nguyen, H. Q., Gill, D. P., Wolpin, S., Steele, B. G., & Benditt, J. O. (2009). Pilot study of a cell phone-based exercise persistence intervention post-rehabilitation for COPD.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4, 301-313. 

  21. Nici, L., & ZuWallack, R. L. (2014). Pulmonary rehabilitation: Future directions. Clinics in Chest Medicine, 35(2), 439-444. http://dx.doi.org/10.1016/j.ccm.2014.02.015 

  22. Oh, E. G., Kim, S. H., Park, H. O., Bang, S. Y., Lee, C. H., & Kim, S. H. (2003). Effects of a short-term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70-579. 

  23. Song, H. Y., Yong, S. J., & Hur, H. K. (2014). Effectiveness of a brief self-care support intervention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among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Rehabilitation Nursing, 39(3), 147-156. http://dx.doi.org/10.1002/rnj.92 

  24. Spruit, M. A., Singh, S. J., Garvey, C., ZuWallack, R., Nici, L., Rochester, C., et al. (2013).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statement: Key concepts and advances in pulmonary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8(8), e13-64. 

  25. Turner, A., Anderson, J., Wallace, L., & Kennedy-Williams, P. (2014). Evaluation of a self-management programm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ronic Respiratory Disease, 11(3), 163-172. http://dx.doi.org/10.1177/1479972314539979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Retrieved May 1, 2015, from http://www.who.int/respiratory/copd/en/ 

  27. Yoon, H. S. (2013 Feb 7). Health insurance policy preparing for the aging. KDI Monthly economic trends 2013(2) 31-42. Retrieved May 1, 2015, from http://www.kdi.re.kr/report/report_class_e3.jsp?pub_no12943 

  28. Yun, S. H., Na, J. O., Jegal, Y. J., Kim, M. H., Kim, E. S., Sim, T. S., et al. (2002). Development of the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52(6), 597-607. 

  29. Zwerink, M., Brusse-Keizer, M., van der Valk, P. D., Zielhuis, G. A., Monninkhof, E. M., van der Palen, J., et al. (2014).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3, CD002990.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2990.pub3 

  30. Zwerink, M., van der Palen, J., van der Valk, P., Brusse-Keizer, M., & Effing, T. (2013). Relationship between daily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capacity in patients with COPD. Respiratory Medicine, 107(2), 242-248. http://dx.doi.org/10.1016/j.rmed.2012.09.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