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역서(曆書)편찬 천문관원의 교육과 선발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0 no.3, 2015년, pp.789 - 800  

최고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민병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이용삼 (충북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the royal administration in charge of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Calendars (曆),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測候), and Timekeeping (刻漏). Of those affairs, the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관상감의 역할은?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은 천문(天文), 지리(地理), 점산(占算), 측후(測候), 각루(刻漏)의 업무를 담당하였다(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997). 그 중 역서(曆書)편찬은 관상감의 여러 업무들 중 가장 대규모적이고 중요한 업무였다(Hu, 2000).
천문학 분야에서 역법계산을 담당했던 수술관에게 요구되는 과정은? 특히 천문학 부서 이외에도 명과학, 지리학 관원들은 역서에서 추길(諏吉)과 풍수(風水)에 관련된 업무를 위해 일부 참여했다. 역서에 기록된 관원들 중 천문학 분야에서 역법계산을 담당했던 수술관(修述官)과 인쇄과정을 감독했던 감인관(監印官)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과거시험인 음양과(陰陽科)를 통해 선발되는데, 이후 필수적인 자격과 과정들을 반드시 거쳐야 했다. 그러므로 조선후기의 역서업무는 관상감의 다른 기술직에 비해 전문성이 강조되었으므로 선발규정이 점점 까다로워졌다(Jeong, 2002).
천문학분야에서 역관이 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 조사에서 활용한 자료는? 특히 19세기 이후의 모습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시기는 그동안 관상감 연구를 위해 활용되었던 기존의 자료들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기록들이 남아 있다. 이를 위해 『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를 중심으로 참고하였다(Shin, 1971). 이 이력서에는 관상감 관원들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역관들의 교육과 선발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G. E., 2010, A Study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for 1864-1945, Msc.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 Hu, Y. S., 2000,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Works of the Astronomical Section of Gwan-sang-gam in the late Choson Dynasty - Focusing on the perio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Jo, S. G., 1998, A Study on the functions transition of the Seoungwan (書雲觀) in the early Choson Dynasty, Msc. thesis, Yonsei University 

  4. Jeong S. H., 2002, The Prints and Circulation of Calendars in the late Choson,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23, 117 

  5. Korea Astronomy and Space Institute (KASI), 2013,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formation - Database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http://astro.kasi.re.kr/Almanac/ 

  6.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997, Gyeongguk daejeon (a photographic editio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pp.77 

  7. Lee, E. S., 1985, Fundamental Analysis of the Astronomical Calendar, Jeongeumsa (Seoul), pp.348-353 

  8. Lee, K. -W, 2008, 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98-105 

  9. Lee M. U., Hu, Y. S., Park, K. S., 2003, Annals of the Seoungwan (Seong J. D., Seoungwanji, 書雲觀志, 1818), Somyeong press (Seoul), pp.15-111 

  10. Lee, S. M., 1990, Complete Compliation of Jabgwa Roster in the Choson Dynast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 pp.146-175 

  11. Shin, J. H.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71, Korean Empire Officials Curriculum Vitae (大韓帝國官員履歷書), Tamgudang (Seoul), pp.24-8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