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 조직배양묘의 생물반응기 배양 시 Polyethylene Glycol 처리에 따른 기내 생육억제 효과 및 순화율 향상
Growth Inhibition of In Vitro Plantlets and Improvement of Survival Rate of Acclimated Plant of Strawberry according to Polyethylene Glycol during Bioreactor Cultur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6, 2015년, pp.877 - 882  

김혜진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이종남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김기덕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임학태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전공) ,  용영록 (강릉원주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딸기 조직배양묘의 대량증식 시 순화 생존율 향상을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PEG 6000)을 농도별, 처리시기별로 실험하였고 기내생육조사는 배양 6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PEG처리구의 생장량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억제 효과가 급격히 나타났다. PEG $5g{\cdot}L^{-1}$처리 시 초장은 대조구의 7.9cm보다 매우 짧아졌고, 특히 생체중은 1.60g으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PEG $5g{\cdot}L^{-1}$의 배양1주차에서 4주차까지의 처리시 초장이 3.0-3.9cm 범위로 대조구보다 매우 짧았으나, 배양5주차 처리의 초장은 5.3cm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EG $5g{\cdot}L^{-1}$의 처리시기별 순화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배양4주 처리에 5.4%, 배양5주차 처리에 8.7% 향상되었다. 따라서 생물반응기를 통해 대량증식된 딸기 조직배양묘의 순화율 향상을 위해 PEG는 $5g{\cdot}L^{-1}$의 농도로 배양 5주차에 처리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reatment of polyethylene glycol (PEG) in order to increase of survival rate of acclimated plants of strawberry's in vitro plantlets through bioreactor culture. We used PEG with molecular weight 6000 (PEG 6000)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PEG is non-treatment, 5, 10,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딸기 조직배양묘의 생물반응기 배양 시배지에 고분자량의 PEG(PEG, mw.6000)를 첨가함으로써 식물체의 수분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시들음을 방지하고, 그에 알맞은 PEG 농도 및 처리시기를 구명하여 순화 생존율을 높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lyethylene glycol의 기능은? Polyethylene glycol(PEG)은 식물의 삼투압 조절에 적합하다고 최초로 발표(Largerwerff et al., 1961)된 이래, Blum (2013)과 Macar et al.(2009)도 PEG가 식물의 삼투압을 유도하는 가장 적절한 물질이며, 또한 부동성(不凍性) 및 무독성 (無毒性)으로 생물학적 실험에 적당하다고 발표하였다. 특히 여러 종류의 PEG 중 수분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생리적 실험에는 분자량이 큰 PEG(mw.
생물배양기 배양기술로 딸기를 재배했을 때의 문제점은? 그러나 생물반응기 배양 시 배지가 액체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 자란 유식물체의 잎과 줄기 발달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지상부 생육에 비해 지하부 생육이 다소 불량하여 순화 시 생존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Lee et al., 2010a).
생장점 배양과 고체배양을 통한 딸기의 조직배양묘 생산의 문제점은? )는 8배체의 영양번식작물 중 하나로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무병묘(virus-free plant)를 보급해야 한다. 그러나 생장점 배양과 고체배양을 통한 딸기의 조직배양묘 생산은 증식율이 낮아 포기당 생산단가가 높아진다. 그래서 증식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물호르몬을 첨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변이주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때문에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lum, A. 2013. Use of PEG to induce and control plant water deficit in experimental dydroponics culture. www.plantstress.com/method/peg.html. 

  2. Burnett, S.E. 2004. Effects of polyethylene glysol on the morphology of ornamental seedlings. PhD diss. Univ. Ga., Athens. 

  3. Burnett, S.E., P. Thomas, and M. van Iersel. 2005. Postgermination drenches with PEG-8000 reduce growth of salvia and marigolds. HortScience 40:675-679. 

  4. Dhawan, V. and S.S. Bhojwani. 1987. Hardening in vitro and morpho-physiological changes in the leaves during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plants of Leucaena leucocephala (LAM.) de wit. Plant Sci. 53:65-72. 

  5. Hamayun, M., S.A. Khan, Z.K. Shinwari, A.L. Khan, N. Ahmed, and I.J. Lee. 2010.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induced drought stress on physio-hormonal attributes of soybean. Pak. J. Bot. 42:977-986. 

  6. Jordan, W.R., P.J. Shouse, R.L., A. Blum, F.R. Miller, and R.L. Monk. 1984. Environmental physiology of Sorghum. II. Epicuticular wax load and cuticular transpiration. Crop Sci. 24:1168-1173. 

  7. Kim, H.J., J.N. Lee, K.D. Kim,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1. Suitable hormone-free medium for in vitro mass propagation via bioreactor culture of ever-bearing strawberry. J. Plant Biotechnol. 38:221-227. 

  8. Kim, H.J., J.N. Lee, K.D. Kim,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in vitro mass propagated plantlets of ever-bearing strawberry 'Goha' according to aeration rate in bioreactor.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0:432-436. 

  9. Largerwerff, J.V., G. Ogata, and H.E. Eagle. 1961. Control of osmotic pressure of culture solutions with polyethylene glycol. Science 133:1486. 

  10. Lee, J.N., H.J. Kim, K.D. Kim, Y.S. Kwon,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0a.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economic effects of bioreactor culture in ever-bearing strawberry 'Goh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8:845-849. 

  11. Lee, J.N., H.J. Kim, K.D. Kim, Y.S. Kwon, Y.R. Yeoung, and H.T. Lim. 2010b. Appropriate in vitro culture conditions of growing medium for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8:1051-1056. 

  12. Lee, J.N., H.J. Kim, K.D. Kim,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2. Growth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of nursery plants production according to transplanting container for acclimatization of mass propagated plantlets via bioreactor culture of ever-bearing strawberry 'Goh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0:437-441. 

  13. Lewandowski, V.T. 1991. Rooting and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Vitis labrusca 'Delaware'. HortScience 26:586-589. 

  14. Macar, T.K., T. Ozlem, and Y. Ekmekci. 2009. Effect of water deficit induced by PEG and NaCl on chickpea (Cicer arientinum L.) cultivars and lines at early seedling stages. Gazi Univ. J. Sci. 22:5-14. 

  15. McClelland, M.T. and M.A.L. Smith. 1990. Vessel type, closure, and explants orientation influence in vitro performance of five woody species. HortScience 25:797-800. 

  16. Sutter, E.G. 1988. Stomata and cuticular water loss from apple, cherry, and sweet-gum plants after removal from in vitro culture. J. Am. Soc. Hortic. Sci. 113:234-238. 

  17. Sutter, E.G. and R.W. Langhans. 1979. Epicuticular wax formation on Carnation plantlets regenerated from shoot-tip culture. J. Am. Soc. Hortic. Sci. 104:493-496. 

  18. Xu, C. and B. Huang. 2010. Differential proteomic responses to water stress induced by PEG in two creeping bentgrass cultivars differing in stress tolerance. J. Plant Physiol. 167:1477-1485. 

  19. Zaid, A. and H. Hughes. 1995. In vitro acclimatization of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plantlets :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epicuticular leaf wax as a function of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Plant Cell Rep. 15:11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