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기관과의 연계 활동을 목적으로 한 초·중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동아리 프로그램 분석
Analyzing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Club Programs Connecting with the Local Communities' Organization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6 = no.78, 2015년, pp.1797 - 1811  

손연아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s that 17 clubs' students and teacher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eir ESD club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this study, ESD elements in the programs are analyzed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동아리 활동 결과를 어떤 방법으로 지역사회에 파급하였는지, 그리고 그로인해 지역사회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 또한 동아리 활동 결과를 어떻게 지역사회에 파급하였고, 그 영향으로 지역사회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4년 경기도 교육청이 주관한 ‘제1회 지역사회단체와 함께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나눔한마당’에 참여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 개발하고 운영한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동아리 프로그램 17개를 분석하고, 앞으로 학교와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이후에 학생의 변화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지에 대한 분석은 향후 학교에서 효과적인 지역사회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해 중요하다. 아래에서는 특히 동아리 그룹 활동으로 지역사회 변화가 크게 드러나는 경우만 사례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2014). 이는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에서 핵심요소로 포함되는데(Jickling & Wals, 2008; Eilam & Trop,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이념과 가치를 교육에 통합하는 것으로, 모든 개인이 사회적으로 정의롭고, 경제적으로 성장가능하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 능력, 지식, 기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Lee & Kang, 2009; UNESCO, 2005; Yang et al.,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포함된 3가지 차원은 무엇인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는 3가지 차원이 포함되는데, 이는 사회 문화적 차원, 환경적 차원, 그리고 경제적 차원으로 구분된다(UNESCO, 2005). 여기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UNESCO(2005)와 우리나라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제시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Park & Sung, 2007)를 종합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Table 2-Table 4]).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이루는 방법은 무엇인가?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미래에 환경적인 보존과 경제적인 능력과 공정한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지속가능한 미래를 가꾸기 위한 학습자들의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회복력 있는 사회․생태적 시스템 속에서 회복력 있는 학습자를 기르는 측면과 방향을 같이 한다(Sterling, 2010). 이와 관련하여, Eilam & Trop (2011)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특징을 개념적인 학습, 간학문적 학습, 다차원적인 학습, 정서적인 학습, 윤리와 가치 학습 등의 6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ilam, E. & Trop, T. (2011). ESD Pedagogy: A Guide for the Perplexed.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2(1), 43-64. 

  2. Gough, S. & Scott, W. (2006).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political analysis. Educational Review, 58(3), 273-290. 

  3. Jickling, R. & Wals, A. (2008). Globalisation an Environmental Education: Looking beyond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0(1), 1-21. 

  4. Ju, H-S. & Lee, S-K. (20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24(1), 102-113. 

  5. Kim, T-K. (2006). 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E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 Its Economy): EE and Its Boundary for Co-conceptual Approach to Sustain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19(3), 67-79. 

  6. Lee, S-K. & Kang, S-K. (2009). Outcomes and Implications of UNESCO ESD World Confe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22(3), 1-14. 

  7. Lee, S-K..Lee, J-Y..Lee, S-C..Lee, Y-J..Min, G-S..Shim, S-K..Kim, N-S. & Ha, K-H. (2006).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19(1), 1-13. 

  8. Moon, S-C..Son, Y-A..Choi, S-Y. & Maeng, H-J. (2014). Changes in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ESD over the Course of a Basic Level ESD In-service Traini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3), 430-446. 

  9. Murray, P..Goodhew, J. & Murray, S. (2014). The heart of ESD: personally engaging learners with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0(5), 718-734. 

  10. Park, T-Y. & Sung, J-H. (2007).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eacher's Guid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1. Petersen, J. F. & Alkis, S. (2009). How do Turkish eighth grade students conceptualise sustainability?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1(1), 67-74. 

  12. Son, Y-A. (201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Process of Integra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with Scienc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4), 515-531. 

  13. Son, Y-A. (2014). Differences between School Directo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ESD School Evalu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4), 500-520. 

  14. Sterling, S. (2010). Learning for resilience, or the resilient learner? Towards a necessary reconciliation in a paradigm of sustainable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6(5-6), 511-528. 

  15.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16. UNESCO (2005).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Author. 

  17. UNESCO (2010).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ns: A Policy and Practice Review Tool.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18. Wals, A. (2009).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 2005-2014): Review of Contexts and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aris, France: UNESCO. 

  19.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 Yang, G..Lam, C. & Wong, N. (2010).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Identifying Secondary Teachers' Beliefs Abou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ina.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1(4), 195-2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