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Chinese matrimony vine (Lycium chinense Mill.) is a deciduous shrub belonging to the Solanaceae. The leaves are used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replacing dried fruits associated with high production costs in many industires.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잎의 건조는 생체중 1 ㎏씩 양파 저장 망에 넣어 6반복으로 준비하였고, 이중 3반복은 저녁 19시 30분에, 나머지 3반복은 아침 7시 30분에 건조기에 넣은 후 오전부터 2시간마다 무게를 측정 하였다. 2시간 마다 측정된 무게와 최초의 생체중에 대한 무게비율로 건조비율을 계산하였고 예취시기를 4회 반복하여 시험한 성적을 평균하였다.
  • 가공용 구기자 잎을 건조하기 위한 온도는 40℃, 50℃, 60℃, 70℃ 등 4 조건을 두었고, 8.5 kw/h 용량의 열풍건조기 (TJDE-105, Joongang precision Co., Ltd, Daegu, Korea)를 사용하였다. 잎의 건조는 생체중 1 ㎏씩 양파 저장 망에 넣어 6반복으로 준비하였고, 이중 3반복은 저녁 19시 30분에, 나머지 3반복은 아침 7시 30분에 건조기에 넣은 후 오전부터 2시간마다 무게를 측정 하였다.
  • 건조시료 1g에 MeOH (J. T. Baker, Phillipsburg, NJ, USA) 20 ㎖ 가하여 80℃에서 60분 동안 환류추출을 한 후 0.2 ㎛ membrane filter (Whatman Co.,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한 것을 HPLC (Waters 2690, Milford, MA, USA)에 10 ㎕씩 주입하여 함량을 분석하였다(Yoon et al., 2006). 분석에 사용한 칼럼은 LichroCART 250 - 4 (Merck, Darmstadt, Germany)이었고, 유출용매는 2.
  • , 2006). 분석에 사용한 칼럼은 LichroCART 250 - 4 (Merck, Darmstadt, Germany)이었고, 유출용매는 2.5% acetic acid : MeOH :acetonitrile (35 : 5 : 10)를 0.5 ㎖/min로 흘려보냈으며, 검출은 PDA detector (Waters 2998, Milford, MA, USA) 355 ㎚에서 분석하였다.
  • 분석조건은 Sugar-pakTM I (6.5 × 300 ㎜, Waters Co., Milford, MA, USA)을 이용하여 칼럼온도는 85℃로 유지하고, 유출용매는 50 ㎎/ℓ calcium disodium EDTA(Merck, Darmstadt, Germany)가 용해된 HPLC용 물 (J. T.Baker, Phillipsburg, NJ, USA)을 0.5 ㎖/min로 흘려보냈으며, 검출은 Refractive Index detector (Waters 2414, Milford, M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색도는 색차계 (CR-200,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 (L, Lightness), 적색도 (a, Redness), 황색도 (b, Yellowness) 값으로 표시하였고, 각 시료 당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표준색판으로 백판 (Y-93.
  • 이와 같이 구기자나무의 잎이 지닌 기능성은 다양하므로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개발과 산업화 연구로 지역특화작목의 생산을 확대하고 지역연고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가공용 구기자 잎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기술개발의 기반연구로 건조온도가 구기자 잎의 건조특성 및 주요 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 Ltd, Daegu, Korea)를 사용하였다. 잎의 건조는 생체중 1 ㎏씩 양파 저장 망에 넣어 6반복으로 준비하였고, 이중 3반복은 저녁 19시 30분에, 나머지 3반복은 아침 7시 30분에 건조기에 넣은 후 오전부터 2시간마다 무게를 측정 하였다. 2시간 마다 측정된 무게와 최초의 생체중에 대한 무게비율로 건조비율을 계산하였고 예취시기를 4회 반복하여 시험한 성적을 평균하였다.
  •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분석은 건조시료 10 g에 증류수 100 ㎖를 가하여 95℃ water bath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HPLC (Waters 2690, Milford, MA, USA)로 분석하였다(Wollf et al., 1989). 분석조건은 Sugar-pakTM I (6.

대상 데이터

  •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잎의 고품질화를 위한 건조온도 설정에 ‘명안’ 품종을 사용하였고, 5월 12일, 5월 19일, 5월 26일, 6월 9일 등 4반복으로 시험하였다.
  • 가용무질소물은 100에서 수분, 회분, 조지방, 조단백을 뺀 값으로 하였다. 이때 사용된 시약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사 로부터 구입하여 분석하였고, 모두 일급 이상의 등급을 사용하였다.
  • 색도는 색차계 (CR-200,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 (L, Lightness), 적색도 (a, Redness), 황색도 (b, Yellowness) 값으로 표시하였고, 각 시료 당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표준색판으로 백판 (Y-93.00, x-0.3135, y-3198)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통계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ersion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ANOVA를 실시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로 각 군의 평균차이에 대한 사후검정을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일반성분 분석은 AOAC 시험방법 (1990)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수분은 105℃ 상압건조법, 회분은 직접회화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단백은 Kjeldahl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용무질소물은 100에서 수분, 회분, 조지방, 조단백을 뺀 값으로 하였다.
  • 일반성분 분석은 AOAC 시험방법 (1990)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수분은 105℃ 상압건조법, 회분은 직접회화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단백은 Kjeldahl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 (Swain and Hillis, 1959)에 따라 비색 정량하였다. 즉 분말 1g을 100배의 증류수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추출, 여과한 용액 2 ㎖에 Folin-Ciocalteu (Sigma-Aldrich, St.
  • 5 ㎖/min로 흘려보냈으며, 검출은 Refractive Index detector (Waters 2414, Milford, M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함량계산은 외부 표준법에 의하여 정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나무는 무엇인가?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성 떨기나무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열매 (구기자)와 뿌리껍질 (지골피)은 약용으로 이용된다. 구기자를 이용한 가공제품에는 주로 열매를 사용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수확이 쉽고 생산비가 저렴한 잎 (구기엽)으로 열매의 일정량을 대체하여 이용되고 있다.
건조된 구기자 잎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구기자 잎은 이름 봄 또는 늦가을에신초에 착생된 구기자 잎을 훑어서 햇빛에 건조 후 이용하고 있다. 건조된 구기자 잎은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하거나, 잎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음식이나 주류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Bae et al., 2004; Cho et al.
선행 연구에서 확인한 구기자나무의 잎의 기능성은 무엇인가? Park (1995)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활성은 구기자, 구기순, 지골피에서 30 - 40% 활성을 나타내었고,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구기엽 > 구기순 > 지골피 > 구기자 순이었다고 하였다. Park 등 (2007)에 따르면 항산화 활성은 구기엽이 86.1 ± 0.01에서 89.2 ± 0.01%이었고 ‘불로’ 품종이 가장 좋았으며, 혈전 용해 활성과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모두 10% 미만으로 활성이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Kim 등 (2011)은 열매와 잎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검증한 결과 구기엽에서 미백활성이 가장 우수하여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Kim 등 (1994)과 Son (1993)은 고혈당증이 유발된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구기엽과 지골피가 고혈당증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으며, Kang 등 (2010)은 비만 유도 쥐에서 구기자 잎 분말을 투여하면 항비만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1110. 

  2. Bae HC, Cho IS and Nam MS. (2004).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se Miller.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6:687-700. 

  3. Cho IS, Bae HC and Nam MS. (2003).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3:250-261. 

  4. Cho IS, No JG, Park JS and Li RH. (1996).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in Lycii fruct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4:283-287. 

  5. Joo HK, Kim SS and Sa TM. (1995). Effect of drying condition on the colors and flavors change of fresh pepper.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8:115-125. 

  6. Jung UJ, Lee JS, Bok SH and Choi MS. (2011). Effects of extracts of persimmon leaf, buckwheat leaf, and Chinese matrimony vine leaf on body fa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1215-1226. 

  7. Kang MH, Park WJ and Choi MK. (2010).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Lycium chinense leaf powder in obese rats. Journal of Medicinal Food. 13:801-807. 

  8. Kim DH, Lee SY, Kim NK, Youn BK, Jung DS, Choi EY, Hong SR, Yoon JY, Kang MW and Lee JY. (2011). Moderating effects of skin hyperpigmentation from Lycii fructus and Lycii folium extracts.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4:270-278. 

  9. Kim HK, Jo KS, Kwon DY and Park MH. (1992).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and sulfiting on the qualities of dried garlic sl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5:6-9. 

  10. Kim NH and Baek SH. (2014).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er fruit and its constituent betaine on immunomodulation in Balb/c mic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3:189-193. 

  11. Kim NJ, Youn WY and Hong ND. (1994). Pharmacological effects of Lycium chinense.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5:264-271. 

  12. Kim SJ, Park JH, Choi SY and Kim KU. (2006).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 in leaves and stems of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1:251-254. 

  13. Kim TS, Park WJ and Kang MH. (2007).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vitamin C during storage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1578-1582. 

  14. Kim YH, Joo JI, Lee BC, Kim HH and Lee JS. (2013). Screen of a novel yeasts for brewing of Gugija leaf Makgeolli and optimal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1:167-171. 

  15. Ku KH, Lee KA, Kim YL and Lee YW.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radish(Raphanus sativus L.)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780-785. 

  16. Lee HC, Lee BC, Kim SD, Paik SW, Lee SS, Lee KS and Kim SM. (2008). Changes in composition of Gugija(Lycii fructus) species according to harvest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306-312. 

  17. Lee MK, Kim SH, Han SS, Lee SY, Chung CK, Kang IJ and Oh DH. (2000).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on the quality changes of Pimpinella brachycarp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9:561-567. 

  18. Lee SK, Kim W, Kim H, Lee HJ and Han JW. (2011). Determination of boxthorn drying conditions and using agriculture dryer.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6:273-278. 

  19. Park SJ, Park WJ, Lee BC, Kim SD an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is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1146-1150. 

  20. Park WJ, Lee BC, Lee JC, Lee EN, Song JE, Lee DH and Lee JS. (2007). Cardiovascular biofunctional activity and antioxide activity of Gigija(Lycium chinense Mill.) species and its hybri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391-397. 

  21. Park WJ. (1995).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ycium chinense Miller.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p.1-101. 

  22.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2:23-31. 

  23. Son YG. (1993).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ffects of Lycii fructus, Lycii cortex radicis and Lycii folium on hypertension,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p.1-32. 

  24. Swain T and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h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10:63-68. 

  25. Wollf SD, Yancey PH, Stanton TS and Balaban RS. (1989). A simple HPLC method for quantitating major organic solutes of renal medulla.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56:954-956. 

  26. Yoon SJ, Cho NJ, Na SH, Kim YH and Kim YM. (2006). Development of optimum rutin extraction process from Fagopyrum tataricum.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6:573-5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