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Relations of Smart Phone Usage Level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aries, and Variables Predicting the Usage Level Groups of Four Year Ol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153 - 175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이용 정도 집단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유아 개인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스마트폰 최초 이용 연령이 표기된 435명과 그 중에서 3세 이하부터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시작한 유아 15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다수 유아의 스마트폰 최초 이용 시기는 만 4세, 이용 정도는 '대체로 이용'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저이용 집단과 고이용 집단을 비교했을 때 여아에서는 위축과 수면문제가, 전체 유아에서는 외현화 문제행동 전체, 수면문제, DSM 방식의 전반적 발달문제가 각각 낮았다. 남아와 전체 유아의 저이용 집단은 수면시간이 길었다. 이용 정도의 예측 변인은 활동성과 사회성 기질로 나타났다. 이로써 유아기 초부터, 유아의 기질을 우선 고려하여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mart phone usage, differences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aries between high- and low- usage groups. The study also tried predicting variables among children's personal and family environment factors in order to class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국적인 만 4세 유아의 대표적 표집인 PSKC로 부터의 유아 스마트폰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 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변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럼으로써 유아기 초기부터 스마트폰 과다 이용의 예방 필요성을 확인하고, 관련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대표집된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와 스마트폰 이용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그리고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분석대상 전체 유아에서는 고이용 유아가 저이용 유아보다 외현화 문제행동 전체와 수면문제 행동, DSM 진단기준에 의한 전반적 발달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에 한정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포함한 발달특성들을 포괄적으로 직접 측정하여 보고한 선행연구는 부재하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 기술적 측면에서 주목되었다. 내면적·외면적 행동문제, 전반적 발달문제에서의 집단 차이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나 미디어 노출 과다 정도에 따라 유아의 공격성, 우울과 퇴행, 부정적 정서반응, 회피, 행동비억제, 분노와 불안의 경향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예; 이경숙 등, 2013; 이수기 등, 2014)의 결과와 일관된 것이었다.
  •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국적인 만 4세 유아의 대표적 표집인 PSKC로 부터의 유아 스마트폰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 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변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럼으로써 유아기 초기부터 스마트폰 과다 이용의 예방 필요성을 확인하고, 관련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대표집된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와 스마트폰 이용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발달특성과 생활시간의 차이, 그리고 스마트폰 이용 정도 집단을 예측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은 유아에게 어떤 활용 가치가 있는가? 미디어는 다양한 감각 양식을 자극하는 정보를 현실감과 생동감 있게 제공하면서 사용자인 유아의 능동적인 정보탐색과 재조직화가 가능하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상황 및 학습결과에 대한 다양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유은영, 2013)는 점에서 유아의 교수-학습에서 효과적인 교수매체로 이용 가치가 높다. 특히 스마트폰은 유아의 정보화 능력은 물론 문제해결력, 창의적 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탐구능력, 언어적 및 사회적 기술, 자존감 등의 발달에 효과 적인 매체로 활용 가치가 주목된다(김나리, 조준오, 2013; 유구종, 2012; Bittman, Rutherford, Brown, & Unsworth, 2011). 초등학교 이전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유아가 많은 현실(최은숙, 2006)에서 주의집중 시간이 짧은 유아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컨텐츠에 접근·경험하며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것의 긍정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이주연, 2011).
유아의 교수-학습에서 효과적인 교수매체로 미디어의 이용 가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미디어는 다양한 감각 양식을 자극하는 정보를 현실감과 생동감 있게 제공하면서 사용자인 유아의 능동적인 정보탐색과 재조직화가 가능하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상황 및 학습결과에 대한 다양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유은영, 2013)는 점에서 유아의 교수-학습에서 효과적인 교수매체로 이용 가치가 높다. 특히 스마트폰은 유아의 정보화 능력은 물론 문제해결력, 창의적 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탐구능력, 언어적 및 사회적 기술, 자존감 등의 발달에 효과 적인 매체로 활용 가치가 주목된다(김나리, 조준오, 2013; 유구종, 2012; Bittman, Rutherford, Brown, & Unsworth, 2011).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부정적 영향의 예로 어떤 것이 있는가? 그러나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미디어를 이용한 게임 또는 인터넷 게임(이정림 등, 2013), 학습용 영상물(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전연진, 2014)에의 지나친 노출이나 과몰입, 중독 관련 연구들을 통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예로서, 게임 몰입도가 높은 유아들이 일상생활, 교육기관, 또래관계 및 병리 현상 등의 행동특성 전체 영역에서 타인을 회피, 공격하거나 부적응의 경향을 높게 보였다(강병재, 2008). 인터넷 게임 중독과 과몰입에 대해서는 부모의 관심과 태도에 따라 그 영향의 차이는 다를 수 있지만(권민희, 2013; 이미정, 2013; 장수진, 2011) 자기조절력이 낮을수록, 여아보다 남아일수록 인터넷 게임 과몰입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김승옥, 이경옥,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9)

  1. 강병재 (2008). 게임과몰입 유아의 행동 특성에 관한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21. 

  2. 경향신문 (2015). 한국, 모바일 검색률 세계 1위. 2015. 7. 3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70100&artid201507030848021에서 2015년 8월 30일 출력. 

  3. 곽혜경 (1998). 유아의 기질, 유아가 제공한 통제계기,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 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나리, 조준오 (2013). 유아의 정보화능력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3), 37-51. 

  6. 김동현, 오민석 (2012). 청소년 휴대폰 중독 위험요인 탐색: 선택이론 관점.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pp. 312-329).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 김미진, 황해익 (2012). 0-3세용 가정환경척도(IT-HOME)의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135-159. 

  8. 김민희 (2015).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기 스마트기기 이용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창립 10주년 기념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9. 김보연 (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세리, 이강이 (2015).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행동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창립 10주년 기념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11. 김수연, 유희정, 조인희, 윤숙경, 류인균, 하지현 (2003). 소아 인터넷 중독의 기질 성격 특성. 정신병리학, 12(1, 2), 95-104. 

  12. 김수정, 정익중 (2015). 가정환경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9(1), 1-28. 

  13. 김승옥, 이경옥 (2007). 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과몰입의 개념적 이해. 어린이미디어연구, 6(2), 63-83. 

  14. 김윤희 (2015). 만 4세 유아의 야간 수면길이와 문제행동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1), 351-375. 

  15. 김은숙 (2008).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진영 (201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도남희, 김정숙, 하민경 (2013). 영유아의 생활시간조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10.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jsp?modeview&idx8476&startPage10&listNo4&codereport01&search_itemsubject&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2013에서 2015년 4월 20일 출력. 

  18. 도남희, 민정원, 왕영희, 이예진, 김소아, 엄지민 (2013). 한국아동패널 2013.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41.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_03.jsp?modeview&idx8619&startPage10&listNo51&codereport05&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에서 2015년 4월 20일 출력. 

  19. 문미향 (2012). 부모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영아의 미디어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새롬, 노보람, 박혜준, 이순형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궤적과 영유아의 기질 및 내재화 문제의 구조관계: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육아정책연구, 9(1), 119-148. 

  21. 박은정, 이성림 (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22. 방효국 (2013).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서혜성, 김연하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결정요인: 사회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14. 

  24. 송미선, 박현주 (2002). 유아 미디어 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어린이미디어연구, 1, 137-152. 

  25. 신수경 (2013). 유아의 자아개념 및 또래유능성과 휴대폰 중독 정도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년 추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26. 신수경, 최경남 (2014).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간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2(3), 91-111. 

  27.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매뉴얼 개정판. 서울: 휴노컨설팅. 

  28.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29. 유은영 (2013). 가정에서의 미디어 경험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유진옥 (2012). 유아의 기질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윤태정 (2015). 만 3, 4,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정유경 (2005). 과도한 영상물 노출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상군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75-103. 

  33.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전연진 (2014). 0-3세 영유아 영상매체 시청 및 부모의 영유아 자녀 영상매체 시청 지도 행동 실태 조사. 유아교육연구, 34(2), 301-321. 

  34. 이경아 (2013). 중학생의 기질 및 성격, 애착과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이미연 (2014).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변인 연구: 유아의 성별, 스마트폰 처음 사용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및 기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미정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3. 

  38.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39. 이원석, 성영화(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40.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15.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jsp?codereport01&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2013&search_itemsubject&search_order%B9%CC%B5%F0%BE%EE 에서 2015년 6월 30일 출력. 

  41.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곽영숙, 유영의 등 (2008). 영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 도구 지침서. 서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과학기술부. 

  42.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현주 (2008). 4-7세 유아의 인지능력, 기질 및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45. 임선영 (2013) 가정에서 유아 스마트폰 사용 실태와 어머니의 허용 인식: 계양구 유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임현주, 최선녀 (2015). 만 3세 유아의 기질 및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자녀가치가 유아의 긍정적.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9(1), 51-73. 

  47. 임희수, 박성연 (2001).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1), 37-54. 

  48. 장수진 (2011). 부모의 배경변인과 인터넷 이용에 따른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양상.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장여옥 (2015).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109-129. 

  50. 정아란 (2007). 유아의 컴퓨터 게임 과몰입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1. 정희영, 유희진, 방승미, 이정규 (2013).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재미요소 분석. 유아교육연구, 33(6), 237-262. 

  52. 조메리명희, 현은자 (2014).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활동의 효과. 유아교육연구, 34(5), 347-368. 

  53.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54. 조운주, 김은영 (2014). 유아의 기질 및 부모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8(2), 155-174. 

  55. 조은주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 감독 및 통제와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조준오 (2014). 유아의 정보윤리의식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7. 주석진, 좌동훈 (2011).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예측모형: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5), 165-190. 

  58. 차혜경 (2015). 유아의 기질유형과 다중지능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9. 천희영 (2013). 아동의 성별 휴대전화 의존도와 사용 목적별 사용 수준, 개인적 및 대인관계 발달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6), 83-96. 

  60. 천희영, 옥경희 (2011). 영아 어머니 우울의 예측 변인 분석: 어머니의 부모됨 및 양육 관련 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2(2), 79-100. 

  61. 최미숙 (2014). 스마트 환경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및 어머니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한류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구논문. 

  62. 최은숙(2006). 중소도시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의 원인과 실태: 포천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한국아동패널 (2015). 도구 프로파일. http://panel.kicce.re.kr/kor/publication/01_02.jsp에서 2015년 3월 20일 출력. 

  64. 황태경, 손원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중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4(1), 69-83. 

  65. Abreu-Lima, I., Leal, T., Cadima, J., & Gamelas, A. M. (2013). Predicting child outcomes from preschool quality in Portugal.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8(2), 399-420. 

  66. Bittman, M., Rutherford, L., Brown, J., & Unsworth, L. (2011).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5(2), 161-175. 

  67. Broberg, A. G., Hwang, C. P., Lamb, M. E., & Bookstein, F. L. (1990). Factors related to verbal abilities in Swedish preschooler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8(4), 335-349. 

  68. Buss, K. A., & Goldsmith, H. H. (1998). Fear and anger regulation in infancy: Effects on the temporal dynamics of affective expression. Child Development, 69(2), 359-374. 

  69.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70.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Littl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71. Certain, L. K., & Kahn, R. S. (2002). Prevalence, correlates, and trajectory of television viewing among infants and toddlers. Pediatrics, 109(4), 634-642. 

  72. Cingel, D. P., & Krcmar, M. (2013). Predicting media use in very young children: The role of demographics and parent attitudes. Communication Studies, 64(4), 374-394. 

  73. Craig, L., & Mullan, K. (2010). Shared family leisure and eating time in comparative perspective. Unpublished paper presented at the 2010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Dallas: TX, 15-17 April. http://paa2010.princeton.edu/download.aspx?submissionId100138에서 2015년 8월 30일 출력. 

  74. Fedick, C. B., Pacholok, S., & Gauthier, A. H. (2005).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estimation of parental time: Analysis of measure in a Canadian time us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Time Use Research, 2(1), 67-87. 

  75. Foster, M. A., Lambert, R., Abbott-Shim, M., McCarty, F., & Franze, S. (2005). A model of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social risk factors in relation to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nd social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1), 13-36. 

  76. Goodlin-Jones, B. L., Waters, S., & Andres, T. F. (2009). Objective sleep measurement in typically and a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 children with ADHD-like profile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40(2), 257-268. 

  77. Gregory, A. M., & O'Conner, T. G. (2002). Sleep problems in childhood: A longitudinal study of developmental change and association with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1(8), 964-971. 

  78. Guryan, J., Hurs, E., & Kearney, M. (2008).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2(3), 23-46. 

  79. Hohmann, C. (1990). Young children & computer. Yipsilanti, MI: The High/ Scope Press. 

  80. Kochanska, G. (1991). Affective factor in mothers' autonomy-granting to their five-year-old: Comparisons of well and depressed mothe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SRCD. Seattle, WA. 

  81. Kooreman, P., & Kapteyn, A. (1987). A disaggregated analysis of the allocation of time within the household.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5(2), 233-249. 

  82. Mathiesen, K. S., & Tambs, K. (1999).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 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3), 431-439. 

  83. Paakkonen, H. (2008). Alone at home. International Journal of Time Use Research, 5(1), 43-64. 

  84. Quach, J., Hiscock, H., Canterford, G., & Wake, M. (2013). Outcome of child sleep problems over the school-transition period: Australian population longitudinal study. Pediatrics, 123(5), 1287-1292. 

  85. Rothbart, M. K., & Derryberry, D. (1981).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In M. E. Lamb & A. L. Brown (Eds.),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 (pp. 37-86). Hillsdaie, NJ: Erlbaum. 

  86. Shaw, S. M., & Dawson, D. (2001). Purposive leisure: Examining parental discourses on family activities. Leisure Sciences, 23(4), 217-231. 

  87. Snow, C. E., & Van Hemel, S. B. (2008). Early childhood assessment: Why, what, and how. Report of the Committee on Developmental Outcomes and Assessments for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88. Tumbull, K., Graham, J. R., & Morton, J. B. (2013). Behavioral sleep problem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developing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Sleep, 36(7), 1077-1084. 

  89. Yeung, W. J., Linver, M. R., & Brooks-Gunn, J. (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Child Development, 73(6), 1861-18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