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신생아 건강상태 비교
Comparing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Neonatal Health Status of Primipara for Pregnant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Compared to Those of Younger Ag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4, 2015년, pp.253 - 261  

이선옥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한미정 (일신기독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during pregnancy, and neonatal health status between primipara for pregnant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in comparison to those under the age of 35. Methods: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survey de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5세 이상의 고령 초산모와 35세 미만의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 중의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및 출생한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후향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 간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을 조사하고 두 집단 간의 임신영양지식, 식습관 및 신생아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시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의료기관에서 본 연구기간동안 분만한 초산모 전수 중 35세 이상의 고령산모는 25.
  • 본 연구는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 신생아 건강을 조사하고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여 고위험군으로 알려진 고령 초산모들의 건강한 모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연구결과 임신영양지식은 두 군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식습관은 고령 초산모가 비고령 초산모보다 유의하게 좋았다.
  • 이에 본 연구는 35세 이상의 고령 초산모와 35세 미만의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 관련 영양지식, 식생활 습관 및 신생아 건강상태를 조사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초산모의 임신 중 영양관리에 대한 연령요인의 관계성을 확인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영양지식이란 무엇인가?  • 임신영양지식: 건강한 임신을 유지하고 임신 합병증을 예방하며 건강한 분만을 할 수 있기 위해 임부에게 요구되는 영양학적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21] 본 연구에서는 임신영양지식 측정도구[22]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의 신생아의 건강상태는 이 연구에서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 식습관: 임부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소의 식습관 특성을 의미하며[22] 본 연구에서는 임부의 식습관 측정도구[22]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 신생아 건강상태: 신생아 건강은 출생 후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출생 시까지의 제태기간, 출생 직후의 체중과 키, 출생 후 1분, 5분에 측정한 Apgar 점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가 수행한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 신생아 건강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본 연구는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 신생아 건강을 조사하고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여 고위험군으로 알려진 고령 초산모들의 건강한 모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연구결과 임신영양지식은 두 군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식습관은 고령 초산모가 비고령 초산모보다 유의하게 좋았다. 신생아 출생시의 체중, 키, 1분과 5분 Apgar 점수로 고찰한 신생아 건강상태는 고령 초산모와 비고령 초산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모든 고령 초산모를 연령만을 보고 고위험 산모로 간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령 초 산모가 비고령 초산모보다 임신 중 식습관 등의 자조관리 능력은 더 우수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확률적 편의표집에 의해 진행된 연구라서 결과의 일반화에 부족함이 있지만 기존의 산모 관련 연구주제를 연령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MK, Shin HS, Lee YJ, Kim JH.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95-101. 

  2.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 Birth.mortality statistics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 [cited 2013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71935 

  3. Martin JA, Hamilton BE, Sutton PD, Ventura SJ, Menacker F, Kirmeyer S. Births: Final data for 2004.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2006;55(1):1-101. 

  4.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2;12:100-112. 

  5. Carolan M, Frankowska D. Advanced maternal age and adverse perinatal outcome: A review of the evidence. Midwifery. 2011;27(6):793-801. 

  6. Ludford I, Scheil W, Tucker G, Grivell R. Pregnancy outcomes for nulliparous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in South Australia, 1998-2008.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12;52(3):235-241. 

  7. Mills TA, Lavender T. Advanced maternal age. Obstetrics, Gynecology & Reproductive Medicine. 2011;21(4):107-111. 

  8. Kim TE, Lee SP, Park JM, Whang BC, Kim SY. The effects of maternal age on outcome of pregnancy in healthy elderly primipara.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9;20(2):146-152. 

  9. Montan S. Increased risk in the elderly parturient.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 Gynecology. 2007;19(2):110-112. 

  10. Lee KS, Ferguson RM, Corpuz M, Gartner LM. Maternal age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at term: A popul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88;158(1):84-89. 

  11. Dickute J, Padaiga Z, Grabauskas V, Nadisauskiene RJ, Basys V, Gaizauskiene A. Maternal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in Lithuania. Medicina. 2004;40(5):475-482. 

  12. Yang YO, Peden-McAlpine C, Chen CH.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Taiwanese women having their first baby after the age of 35 years. Midwifery. 2007;23(4):343-349. 

  13. Lindsay KL, Gibney ER, McAuliffe FM. Maternal nutrition among women from Sub-Saharan Africa, with a focus on Nigeria, and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egnancy outcomes among immigrant popul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Human Nutrition & Dietetics. 2012;25(6):534-546. 

  14. Kaiser L, Allen LH.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and lifestyle for a healthy pregnancy outcom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8;108(3):553-561. 

  15. Yim KS, Lee TY.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4;37(3):210-222. 

  16. Kim JE, Park DY. A study on pregnant women’s experience about nutri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2;23(3):347-356. 

  17. Park JH, Kim SB, Cho KH, Choue R.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t the end of pregnancy, and correlation among pregnancy weight gain, birth weight and serum leptin level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6;39(5):467-475. 

  18. Kim SB, Kim JW, Kim, MH, Cho YS, Kim SN, Lim HS, et al. A study on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diet guide application for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3;18(6):588-598. 

  19. Wang H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old pregnant women aged 35year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p. 41-63. 

  20. Girard AW, Olude O.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vided during pregnancy: effects on maternal, neonatal and child health outcomes. Paediatric & Perinatal Epidemiology. 2012;26(Suppl 1):191-204. 

  21. Ataullah I, Freeman-Wang T. The older obstetric patient. Obstetrics, Gynecology & Reproductive Medicine. 2005;15(1):46-53. 

  22. Kim HW. Development of the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scale and its relationship with eating habits in pregnant women visiting community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1):33-43. 

  23. Kirz DS, Dorchester W, Freeman RK. Advanced maternal age: The mature gravida.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85;152(1):7-12. 

  24. Yogev Y, Melamed N, Bardin R, Tenenbaum-Gavish K, Ben- Shitrit G, Ben-Haroush A. Pregnancy outcome at extremely advanced maternal ag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0;203(6):558.e1-558.e7. 

  25. Ziadeh SM.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 in nulliparous women aged 35 and older. Gynecologic and Obstetric Investigation. 2002;54(1):6-10. 

  26. Lehmann DK, Chism J. Pregnancy outcome in medically complicated and uncomplicated patients aged 40 years or older.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87;157(3):738-742. 

  27. Park HJ, Lee SH, Cha DH, Kim IH, Jun HS, Lee KJ, et al. Pregnancy outcomes in women aged 35 and olde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6;49(10):2066-2074. 

  28. Lee JJ. Effect of women's first childbearing age on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7;50(12):1206-1211. 

  29. Rosenthal AN, Paterson-Brown S. Is there an incremental rise in the risk of obstetric intervention with increasing maternal age?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1998;105(10):1064-1069. 

  30. Restrepo-Mendez MC, Lawlor DA, Horta BL, Matijasevich A, Santos IS, Menezes AM, et al. The association of maternal age with birthweight and gestational age: A cross-cohort comparison. 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2015;29(1):3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