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망사정도구를 사용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인식, 섬망사정의 장애요인 및 섬망사정 수행의 중요도
The Perception of Delirium, Barriers, and Importance of Performing Delirium Assessment of ICU Nurses Utilizing the CAM-ICU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2, 2015년, pp.33 - 42  

공경희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의료중환자실) ,  하이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강인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barriers, and importance of delirium assess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tilizing a tool for delirium assessment. Methods: The subjects were 150 intensive care unit nurses who routinely use the CAM-ICU to screen delirium.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섬망사정도구를 사용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인식과 섬망사정의 장애요인, 섬망사정 수행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섬망사정도구를 사용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인식과 섬망사정의 장애요인, 섬망사정 수행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사정 수행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섬망사정에 있어 정규적으로 사정도구를 사정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조사연구로 섬망관리의 시작인 올바른 섬망사정 수행을 위해 일방적인 간호사교육을 적용하기보다는 실제 사정도구를 사용 중인 중환자실간호사의 섬망사정 관련 인식, 장애요인, 수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섬망관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은 무엇인가? 섬망(delirium)은 단기간 내에 나타나는 의식장애와 인지 및 지각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임상증후군(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이다. 특히 중환자실은 환자의 중증도가 높고 기도내관이나 각종 카테터, 튜브 등을 유지함에 따른 불편감으로 병원 내에서 섬망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eon, 2014; Van Rompaey, Schuurmans, Shortridge-Baggett, Truijen, & Bossaert, 2008).
섬망 발생기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은?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섬망은 중환자실 재원기간과 생존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환자실에서는 적극적으로 섬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는 불필요한 카테터와 억제대를 제거하고 기저질환과 관련된 대사상태를 교정하며 적절한 환경적, 지적 자극을 제공하여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예방적 활동이 있으며, 섬망 발견 후에 섬망 발생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섬망 악화인자를 조절하는 비약물적 치료와 적극 적인 약물치료 등이 있다(Jeon, 2014). 하지만 섬망은 발생한 후에 치료하기 보다는 섬망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가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Wells, 2012)이 강조되고 있다.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섬망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은?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섬망은 중환자실 재원기간과 생존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환자실에서는 적극적으로 섬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는 불필요한 카테터와 억제대를 제거하고 기저질환과 관련된 대사상태를 교정하며 적절한 환경적, 지적 자극을 제공하여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예방적 활동이 있으며, 섬망 발견 후에 섬망 발생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섬망 악화인자를 조절하는 비약물적 치료와 적극 적인 약물치료 등이 있다(Jeon, 2014). 하지만 섬망은 발생한 후에 치료하기 보다는 섬망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가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Wells, 2012)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11). Delirium assessment and management practice alert. Retrieved November 1, 2015, from http://www.aacn.org/WD/practice/docs/practicealerts/delirium-practice-alert-2011.pdf 

  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nc. 

  3. Barr, J., Fraser, G. L., Puntillo, K., Ely, E. W., Gelinas, C., Dasta, J. F., et al. (2013).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41(1), 263-306. 

  4. Boot, R. (2012). Delirium: A review of the nurses' role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8(3), 185-189. 

  5. Choi, E. J., Lee, H., Kim, I. A., Lim, Y., Lee, M. S., & Kim, M. J. (2011). Delirium assessment ability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3), 233-241. 

  6. Devlin, J. W., Fong, J. J., Fraser, G. L., & Riker, R. R. (2007). Delirium assessment in the critically ill. Intensive Care Medicine, 33(6), 929-940. 

  7. Devlin, J. W., Fong, J. J., Howard, E. P., Skrobik, Y., McCoy, N., Yasuda, C., et al. (2008). Assessment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ing practices and perception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7(6), 555-565. 

  8. Eastwood, G. M., Peck, L., Bellomo, R., Baldwin, I., & Reade, M. C. (2012). A questionnaire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attitudes to delirium assessment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CAM-ICU. Australian Critical Care, 25(3), 162-169. 

  9. Gusmao-Flores, D., Salluh, F. J. I., Chalhub, R. A., & Quarantini, L. C. (2012).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and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checklist (ICDSC) for the diagnosis of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studies. Critical Care, 16(4), R115. 

  10.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4). Plan of assessment of intensive care unit. Retrieved November 1, 2015, from http://www.hira.or.kr/ 

  11. Inouye, S. K., Foreman, M. D., Mion, L. C., Katz, K. H., & Cooney Jr, L. M. (2001). Nurses' recognition of delirium and its symptoms: comparison of nurse and researcher rating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20), 2467-2473. 

  12. Jeon, K. (2014).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s. Korean Journal of Medicine, 86(5), 546-556. 

  13. Kim, M., & Lee, H. (2014). The effects of delirium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hospital nursing uni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5), 489-499. 

  14. Kim, S., Kim, J., Par, J., Sim, J., & Moon, M. (2008). Nurses' percep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 related to delirium. Chung-Ang Journal of Nursing, 12, 33-40. 

  15. Lee, E., Cho, J., Kim, M., Lee, E., Lee, Y., Choi, E., et al. (2012). The effects of sleep improvement intervention on the sleep quality and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23-33. 

  16. Lee, Y. W., Chang, S. O., Kong, E. S., Kim, N. C., Kim, C. G., Kim, H. K., et al. (2013). Comparison of delirium screening instruments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6), 655-664. 

  17. Lee, Y. W., Kim, C. G., Kong, E. S., Kim, K. B., Kim, N. C., Kim, H. K., et al. (2007). A study of nurses' 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1), 35-44. 

  18. Lemiengre, J., Nelis, T., Joosten, E., Braes, T., Foreman, M., Gastmans, C., et al. (2006). Detection of delirium by bedside nurses using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4), 685-689. 

  19. Page, V. J., Navarange, S., Gama, S., & McAuley, D. F. (2009). Routine delirium monitoring in a UK critical care unit. Critical Care, 13(1), R16. 

  20. Park, Y. S., Kim, K., Song, K., & Kang, J. (2006). A preliminary survey of nurses' understanding of delirium and their need for delirium education -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6(7), 1183-1192. 

  21. Sim, M. Y., Song, S. H., Lee, M. M., Park, M. A., Yang, E. J., Kim, M. S., et al., (2015). The effects of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on the delirium incidence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43-52. 

  22. Steis, M. R. (2008). Are nurses recognizing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4(9), 40-48. 

  23. Suh, H. J., & Yoo, Y. S. (2007).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1), 55-65. 

  24. Swan, J. T. (2014). Deceasing inappropriate unable-to-assess ratings for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3(1), 60-69. 

  25. The ICU Delirium an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roup (2014).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CU (CAMICU); The complete training manual. Retrieved November 1, 2015, from http://www.icudelirium.org/docs/CAM_ICU_training.pdf 

  26. Van den Boogaard, M., Pickkers, P., van der Hoeven, H., Roodbol, G., van Achterberg, T., & Schoonhoven, L. (2009). Implementation of a delirium assessment tool in the ICU can influence haloperidol use. Critical Care, 13(4), R131. 

  27. Van Rompaey, B., Schuurmans, M. J., Shortridge-Baggett, L. M., Truijen, S., & Bossaert, L. (2008). Risk factors for intensive care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4(2), 98-107. 

  28. Wells, L. G. (2012). Why don't intensive care nurses perform routine delirium assessment? A discussion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Critical Care, 25(3), 157-161. 

  29. Yang, Y. H. (2010).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delirium in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312-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