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 건강인식수준에 따른 한방의료기관 이용환자의 특성 비교 - 2011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Report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in 2011 -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9 no.3, 2015년, pp.29 - 43  

성안젤라동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성용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해모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elf-perceived health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Method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on patients whom have visited traditional Korean medical facilities in 2011 by the Ministry of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 보건복지부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상태조사자료25) 를 이용하여 한방의료기관을 외래로 이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의료이용상태, 질병유무 및 한방의료의 인식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1년 복지부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한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 보고서25) 중 주관적 건강인식수준을 새롭게 구분하여 외래 한방의료기관이용자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복지부는 2008, 2011, 2014년 3회에 걸쳐 국가의 한의약 정책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환자를 조사하였는데 본 연구는 2011년 보고서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 주관적이라는 일정한 한계가 있지만13,14) 비교적 객관적이라 할 수 있는 의사의 생물학적 진단 등의 변수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27) 자기 평가 건강상태인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은 일반적인 건강 지위와 수준을 측정하는 효과적인 척도로 광범히 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한방에 적용하여 연구한 것으로 주관적 건강인식수준 별로 한방의료 이용환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상태의 정의를 다차원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이유는? 건강허약은 질병 고위험군으로 엄격하게는 질병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은 건강허약을 제외한 건강 단계만을 말한다. 건강상태의 정의는 질병과 달리 양적(quantitative)이라기보다는 질적(qualitative)인 개념이기 때문에 다차원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1-3). 예를 들어 보건의료분야의 WHO4), 김5)과 한의약 분야의 이 등6), 赵利7), 徐芳8) 등의 연구자나 의학에 따라 매우 다차원적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의학의 범위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면? 의학의 범위는 크게 건강, 건강허약, 질병이며 이중 에서 발병 전 단계인 건강과 건강허약이 보건의료분야에서 최근에 중요시 되고 있다. 건강허약은 질병 고위험군으로 엄격하게는 질병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은 건강허약을 제외한 건강 단계만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2011년 보건복지부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상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한방의료기관을 외래로 이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의료이용상태, 질병 유무 및 한방의료의 인식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이유는? 예를 들어 계급15), 직업과 고용형태16), 보건의료이용행태17), 건강검진18,19), 건강관심도와 건강행위20), 교육수준21), 여가활동유형22) 노인건강운동 참여자23) 등에서 이를 주요변수로 다루고 있다. 건강은 질병과 다른 개념이며 의학적 조치나 관리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다. 주로 생의학적 질병 치료와 달리 건강은 매우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는데 건강 결정요인의 52%는 잘못된 생활습관 20%는 유전적 요인, 20%는 환경적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의료서비스는 8%만 차지한다24). 한의학에서도 한의약 건강수준의 정의, 범위 등을 연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한방의료기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특성 연구는 없는 형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eslaw, A J., Stelcner M. The Effect of Health on the Labor Force Behavior of Elderly Men in Canada, Journal of Human Resources, 1987;22(4):490-517. 

  2. Bound, J. Self-Reported Versus Objective Measures of Health in Retirement Models, Journal of Human Resources, 1991;26(1):106-138. 

  3.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07;41(3):127-153. 

  4. WHO. definition of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1948. 

  5. 김정희. 도대체 건강이란 무엇인가, 가산출판사, 2000. 

  6. 이선동, 박해모. 한의학적인 생명관의 특징과 건강의 정의. 대한한의학회지. 2006;10(1):33-51. 

  7. 趙利, 陳金泉. 中 醫 健 康 槪 念, Medicine and Philosophy, 2003;24(12):58-59. 

  8. 徐芳, 楊曉麗, 周萱, 張敏, 于春泉, 王泓午. 中醫健康狀態的槪念與 量表學評价硏究現狀, Journal of Tianjin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32(2):125-128. 

  9. Wu S, Wang R , Zhao Y, Ma X, Wu M, Yan X, Jia 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objective health status: a population-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2013;13:2-9. 

  10. Baker M, Stabile M, Deri C. "What do Self-Reported, Objective, Measures of Health Measur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004;39(4):1067-1093. 

  11. 배상수. 건강증진의 이론과 접근방법, 계축문화사, 2012. 

  12. Naidoo J, Wills N J. Foundations for Health Promotion, Elsevier, 2009. 

  13. Bound J. Self-Reported versus objective measures of health in retirement model.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XXVI, 1990. 

  14. Crossley T.F, Kennedy S. The reliability of self-assessed health status, Health Econ, 2002;21:643-658. 

  15. 공주. 계급과 건강: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계급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논문, 2009. 

  16. 신순철, 김문조.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007;22:205-224. 

  17. 신유미. 보건의료이용형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11. 

  18. 문상식, 이시백.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검진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강행위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18(3):11-36. 

  19. 최령, 황병덕.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2):331-340. 

  20. 윤치근. 건강관심도, 건강행위 및 주관적인 건강인식과의 연관성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05;29(1):27-46. 

  21. 강은정. 교육수준과 주관적 불건강-매개 요인의 탐색,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08;14(1):51-74. 

  22. 김양례. 여가활동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09;20(3):553-566. 

  23. 노단단, 민현주. 노인건강운동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 인지에 따른 삶의 질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14:72(4):1-16. 

  24. Lalonde M.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Minister of National Health and Welfare, 1974. 

  25.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 조사, 2011. 

  26. 박태성, 이승연. 범주형 자료분석개론, 자유아카데미, 1999. 

  27. Liang, J.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1986;41(2):248-260. 

  28. Finkel D, Franz CE, Horwitz B, Christensen K, Gatz M, Johnson W, Kaprio J, Korhonen T, Niederheiser J, Petersen I, Rose RJ, Silventoinen K.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Modera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Subjective Health. 2015;45(5):1-10. 

  29.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전진호, 이명진, 박현숙.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12(6):317-327. 

  30. 박지은, 권순만. 한방의료 이용현황 및 이용결정요인에 관한연구-고령화패널을 이용하여-, 대한한의학회지, 2011;32(1):97-108. 

  31. 박민정, 권순만. 한방외래 이용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연구: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한 고정효과모형과 합동 Ordinary Least Square 모형의 비교, 보건행정학회지, 2014;24(1):47-55. 

  32. deLateur BJ. Quality of life: a patient-centered outcome, Arch Phys Med Rehail 1997;78:237-239. 

  33. Schuessler K.F.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85;11:129-149. 

  34. Pierce R W, Schwartz R I. New perspectives 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health, Nova Biomedical Books, 2008. 

  35. 정영일, 김운신. 한방의료 이용노인의 노인의료 서비스에 대한 태도 분석, 보건복지, 2002;5:9-22. 

  36. 권구연. 노인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확대방안: 충정지역 한방병원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논문,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