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조사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793 - 1798  

한소라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  노민영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  이주호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  오태진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용 버섯으로 쓰이는 구름버섯을 ethyl acetate, ethanolmethanol 등으로 추출하고 각 추출용매에 따른 구름버섯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ABTS 라디칼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구름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에서 methanol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thanol 추출물이 대조구로 사용한 1 mM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약 80%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며,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ascorbic acid의 활성과 유사한 약 90% 소거능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영향을 받지만, ABTS 라디칼은 극성 및 비극성 물질 모두와 반응하여 소거되므로 추출용매의 영향 없이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구름버섯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구름버섯의 항균활성은 구름버섯이 천연 항균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또한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ascorbic acid와 같이 높은 항산화능을 보임으로써 구름버섯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구름버섯은 향후 분야별 허용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방법 및 추출조건 등을 일부 변형한다면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에 첨가 가능한 원료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were investigated for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이 구름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항산화 연구는 일부 보고되어 있으나, 구름버섯의 자실체를 이용한 추출액으로부터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용매로 추출한 구름버섯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과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당류 항암 면역증강제로 개발된 버섯 유래 성분은? 버섯 유래 β-glucan은 항산화능, 항종양 효과 및 면역증강 효과 등이 보고되었고(12,13), 신경세포 증식인자(NGF; nerve growth factor) 합성을 촉진하는 hericenone과 erinacine이 확인된 노루궁뎅이버섯은 치매예방 및 뇌세포 발달 관련 건강식품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14). 또한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Krestin(PSK), 표고버섯의 Letinan 등은 다당류 항암 면역증강제로 개발되어 의약품으로도 이용되고 있다(15,16).
운지버섯의 polysaccharides는 어떤 약리학적 효능이 있는가? 구름버섯은 담자균류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며, 운지버섯이라고도 불린다. 구름버섯의 polysaccharides는 항암 효과 및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종양 효과 등 다양한 약리 작용에 대하여 일부 보고되었으며(16,24,25), 최근에는 감귤농축액에서 배양한 구름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항균 활성 등이 보고되었다(26-28). 위와 같이 구름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항산화 연구는 일부 보고되어 있으나, 구름버섯의 자실체를 이용한 추출액으로부터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버섯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은? 또한 최근에는 버섯의 항균, 항암 효과,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 효과, 혈압 강하 효과 및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5-10). 버섯은 polysaccharides, proteins, lectins, phenols, hericenones, erinacines, terpenoids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버섯 유래 β-glucan은 항산화능, 항종양 효과 및 면역증강 효과 등이 보고되었고(12,13), 신경세포 증식인자(NGF; nerve growth factor) 합성을 촉진하는 hericenone과 erinacine이 확인된 노루궁뎅이버섯은 치매예방 및 뇌세포 발달 관련 건강식품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Choi OK, Kim Y, Cho GS, Sung CK.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 Nutr 15: 300-306. 

  2. Han JH, Moon HK, Chung SK, Kang WW.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67-1775. 

  3. Lee HJ, Do JR, Jung SK, Kim HK. 2014.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by ethanol concent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56-660. 

  4. Kang HW.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72-1078. 

  5. Cha EJ, Hwang YJ, Kim SH. 2004. Studies on physiological functionality proposal of Coriolus versicolor (Fr.) Quel and Ganoderma lucidum (Fr.) Karst. Korean J Human Ecol 7: 31-46. 

  6. Kabir Y, Kimura S. 1989. Dietary mushrooms reduc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J Nutr Sci Vitaminol 35: 91-94. 

  7. Kawagishi H, Inagaki R, Kanao T, Mizuno T, Shimura K, Ito H, Hagiwara T, Nakamura T. 1989. Fraction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water-insoluble residue of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Carbohyd Res 186: 267-273. 

  8. Kim YD, Kim KJ, Cho DB.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0: 89-93. 

  9. Park MH, Oh KY,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10. Park JW, Kim T, Lim DJ, Lee HB, Joo YS, Park YI. 2004.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ushroom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livestock disease-causing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Korean J Mycol 32: 145-147. 

  11. Mizuno T. 1999. Bioactive substances in Hericium erinaceus (Bull.:Fr.) Pers. (Yamabushitake), and its medicinal utilization. Int J Med Mushr 1: 105-119. 

  12. Mizuno M, Morimoto M, Minato K, Tsuchida H. 1998. Polysaccharides from Agaricus blazei stimulate lymphocyte T-cell subse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434-437. 

  13.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T, Mazda O, Takeuchi M.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205-1211. 

  14. Kawagishi H, Shimada A, Hosokawa S, Mori H, Sakamoto H, Ishiguro Y, Sakemi S, Bordner J, Kojima N, Furukawa S. 1996. Erinacines E, F, and G, stimulators of nerve growth factor (NGF)-synthesis, from the mycelia of Hericium erinaceum. Tetrahedron Lett 37: 7399-7402. 

  15. Chihara G, Hamuro J, Maeda Y, Arai Y, Fukuoka F. 1970. Fac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an edible mushroom). Cancer Res 30: 2776-2781. 

  16. Tsukagoshi S, Ophashi F. 1974.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reparation, PS-K, effective against mouse sarcoma-180 and rat ascites hepatoma AH-13 by oral use. Gann 65: 557-558. 

  17. Choe SB, Kang ST. 2014.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Orixa japonica Thunb. leaf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39-43. 

  18. Youm TH, Lim HB. 201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ganic extracts from fruit of Thuja orientalis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315-322. 

  19. Barros L, Cruz T, Baptista P, Estevinho LM, Ferreira IC. 2008. Wild and commercial mushrooms as source of nutrients and nutraceuticals. Food Chem Toxicol 46: 2742-2747. 

  20. Gao Y, Tang W, Gao H, Chan E, Lan J, Li X, Zhou 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Food Rev Int 21: 211-229. 

  21. Takeuchi T, Iinuma H, Iwanaga J, Takahashi S, Takita T, Umezawa H. 1969. Coriolin, a new Basidiomycetes antibiotic. J Antibiot (Tokyo) 22: 215-217. 

  22. Anke T, Oberwinkler F, Steglich W, Hofle G. 1977. The striatins-new antibiotics from the basidiomycete Cyathus striatus (Huds. ex Pers.) Willd. J Antibiot (Tokyo) 30: 221-225. 

  23. Okamoto K, Sakai T, Shimada A, Shirai R, Sakamoto H, Yoshida S, Ojima F, Ishiguro Y, Kawagishi H. 1993. Antimicrobial chlorinated orcinol derivatives from mycelia of Hericium erinaceum. Phytochem 34: 1445-1446. 

  24. Park EK, Kim BK. 1997. Antineoplastic components of mushrooms: antineoplastic activities of PS-K, a proteinbound polysaccharide of Coriolus versicolor (Fr.) Quel. Kor J Mycol 5: 25-30. 

  25. Park KR, Lee WJ, Cho MG, Park ES, Jeong JY, Kwon OS, Yoon HS, Kim KY. 2010.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and Coriolus versicolor judae mycelia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20-825. 

  26. Lee BW, Lee MS, Park KM, Kim CH, Ahn PU, Choi CU. 1992.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the mycelia of Coriolus versicolor. Kor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0: 311-315. 

  27. Lee SJ, Moon SH, Kim T, Kim JY, Seo JS, Kim DS, Kim J, Kim YJ, Park YI. 2003.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culture extracts cultivated in the citrus extrac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362-367. 

  28. Lee JS, Kim T, Lee YH, Jin CM, Kim HG, Kim WJ, Oh DC, Park YI.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Korean J Mycol 34: 92-97. 

  29.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30. Smith H, Doyle S, Murphy R. 2015. Filamentous fungi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Food Chem 185: 389-397. 

  3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3. Kim MK, Park H, Oh TJ. 2012. Antibacteri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Arctic liche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380-388. 

  34. Qi Y, Zhao X, Lim YI,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35. Hollman PCH, Hertog MGL, Katan MB. 1996. Analysis and health effects of flavonoids. Food Chem 57: 43-46. 

  36. Robbins RJ. 2003. Phenolic acids in foods: an overview of analytical methodology. J Agric Food Chem 51: 2866-2887. 

  37.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38.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39.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 -Food Sci Technol 39: 111-117. 

  40. Hong MH, Jin YJ, Pyo YH. 2012.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35-1241. 

  41. Arnao MB. 2000.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chromogen radicals: a practical case. Trends Food Sci Technol 11: 419-421. 

  42. Jo HJ, Kim JW, Yoon JA, Kim KI, Chung KH, Song BC, An JH.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flow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7: 175-182. 

  43. Kim SM, Jung YJ, Pan CH, Um BH.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genus Lespedez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69-775. 

  44. Awika JM, Rooney LW, Wu X, Prior RL, Cisneros-Zevallos L. 2003. Screening methods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orghum bicolor) and sorghum products. J Agric Food Chem 51: 6657-6662. 

  45. Clark AM, El-Feraly AS, Li WS.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46. Shon JS, Kim MK. 1988.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rat. Korean J Nutr 31: 687-696. 

  47. Song JH, Kim HS, Kim YG, Son BG, Choi YW, Kang JS.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from Smilax china. J Agri Tech Dev Inst 3: 163-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