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한 포도씨유의 산화 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 by Addition of Grape Seed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813 - 1818  

장성호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율로 말미암아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패에 대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포도씨유에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하여 포도씨추출물 함유 포도씨유의 90일 동안의 저장 중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갈색화, 비타민 E, 지방산 조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한 포도씨유의 경우 무첨가 포도씨유보다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가가 모두 낮아 포도씨추출물이 포도씨유의 산화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중 흡광도 증가량 역시 포도씨추출물 첨가 포도씨유가 무첨가 포도씨유에서보다 적게 나타났고, 비타민 E 이성체의 감소량 또한 무첨가 포도씨유에서보다 포도씨추출물 첨가 포도씨유에서 적게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 변화 역시 무첨가 포도씨유에서보다 포도씨추출물 첨가 포도씨유에서 적게 나타났다. 한편 저장 중 폴리페놀 함량 감소량은 포도씨추출물 함유 포도씨유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포도씨추출물은 저장 중 포도씨유의 산화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만 그 능력은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보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e seed extract (GSE) was added to grape seed oil to improve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grape seed oil during storage. To measure the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 peroxide value, acid value, and conjugated diene value were measured, and changes in browning, vitamin E, fatty acid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도씨유에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포도추출물을 첨가하여 가속실험(50°C) 조건에서 90일 동안의 저장 동안 포도씨 추출물 함유 포도씨유의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고, 색도, 비타민 E, 지방산 조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씨추출물의 생체효능은? 포도씨추출물의 생체효능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당뇨병 개선, 동맥경화 억제, 항비만 효과, tyrosinase 저해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그 밖에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9-11).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 포도씨유의 문제점은? 본 연구에서는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율로 말미암아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패에 대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포도씨유에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하여 포도씨추출물 함유 포도씨유의 90일 동안의 저장 중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갈색화, 비타민 E, 지방산 조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포도씨추출물을 첨가한 포도씨유의 경우 무첨가 포도씨유보다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가가 모두 낮아 포도씨추출물이 포도씨유의 산화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씨의 특징은? 포도씨는 환경 및 종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20% 정도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포도씨에서 추출한 포도씨유는 일반적으로 포화지방산이 낮은 반면 linoleic acid를 포함 85% 이상의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다(3,5). 또한 토코페롤 및 카테킨류와 같은 항산화 성분뿐만 아니라 식이섬유, oligomer, proanthocyanidin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포도씨추출물은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 aromatherapy 등에서 활용도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4, 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azzola D, Vincenzi S, Gastaldon L, Tolin S, Pasini G, Curioni A. 2014. The proteins of the grape (Vitis vinifera L.) seed endosperm: Fraction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ajor components. Food Chem 155: 132-139. 

  2. Davidov-Pardo G, McClements DJ. 2015. Nutraceutical delivery systems: Resveratrol encapsulation in grape seed oil nanoemulsions formed by spontaneous emulsification. Food Chem 167: 205-212. 

  3. Woo MJ, Seo JW, Byun SY. 2005.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p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 383-386. 

  4. Han J, Sung J, Kim DJ, Jeong HS, Lee J. 2008.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grape seeds on mushroom tyrosina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79-1683. 

  5. Matthaus B. 2008. Virgin grape seed oil: Is it really a nutritional highlight?. Eur J Lipid Sci Technol 110: 645-650. 

  6. Bourzeix M, Weyland D, Heredia N, Desfeux C. 1986. Study of catechins and procyanidins in grape clusters, wine, and other vine products. Bull OIV 59: 1171-1254. 

  7. Fernandes L, Casal S, Cruz R, Pereira JA, Ramalhosa E. 2013. Seed oils ten traditional Portuguese grape varieties with interesting 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Food Res Int 50: 161-166. 

  8. Matthaus B.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J Agric Food Chem 50: 3444-3452. 

  9. Cho Y, Lee SM, Kim Y, Jeon G, Sung J, Jeong HS, Lee J. 2010. Defatted grape seed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27-931. 

  10. Moreno DA, Ilic N, Poulev A, Brasaemle DL, Fried SK, Raskin I. 2003. Inhibitory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on lipases. Nutrition 19: 876-879. 

  11. Bagchi D, Bagchi M, Stohs SJ, Das DK, Ray SD, Kuszynski CA, Joshi SS, Pruess HG. 2000. Free radicals and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mportance in huma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Toxicology 148: 187-197. 

  12. AOCS. 1993.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Method Cd 3d-63, p 416-417. 

  13. AOCS. 1993.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Method Cd 8-53, p 429-430. 

  14. AOCS. 1993.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Method Ti la-64, p 306-307. 

  15. Yoshida H, Takagi S, Mitsuhashi S. 1999. Tocopherol distribu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oils prepared from the hypocotyl of soybeans roasted in microwave oven. J Am Oil Chem Soc 76: 915-920. 

  16.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technol 15: 183-188. 

  17. Parcerisa J, Richardson DG, Rafecas M, Codony R, Boatella J. 1998. Fatty acid, tocopherol and sterol content of some hazelut varieties (Corylus avellana L.) harvested in Oregon (USA). J Chromatogr A 805: 259-268. 

  18.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19. Yen GC, Shyu SL. 1989.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sesame seed with different roasting temperatures. Food Chem 31: 215-224. 

  20. Lee E, Kim JS, Kim HK, Kwon JH. 2011. Prediction of the optimum conditions for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grape seed. Korean J Food Preserv 18: 546-551. 

  21. Jang JK, Han J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22. Koehler PF, Odell GV. 1970.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pyrazine compounds in sugar-amine reactions. J Agric Food Chem 18: 895-898. 

  23. Stanescu U, Iuoras R. 1991.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peseed oils. Stud Cercet Biochim 34: 33-39. 

  24. Kim K, Choe E. 2008. Effect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from egg yolk on thermal oxidation of canola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11-620. 

  25. Lee YK, Lee HS. 1990.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 321-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