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구매의향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d Willingness to Purchase Analyses of Home Meal Replacement Using Eco-Friendly Food Ingredient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Gende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873 - 1880  

정영길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인선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편 가정식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개발의 필요성 및 구입의향을 조사하고, 간편 가정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제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4년 9월~2015년 3월까지 설문지에 조사대상자가 직접기입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422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부를 제외한 412부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남자는 144명, 여자는 268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IBM SPS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편 가정식을 주로 구입하는 유형은 남자와 여자 모두 바로 먹는 음식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각각 52.1%, 50.7%). 간편 가정식의 이용 빈도 결과 주 1~2회 이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자 43.8%, 여자 50.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 소비금액은 조사대상자의 거의 대부분이 1만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간편 가정식 구입 장소는 편의점, 대형마트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간편 가정식에서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은 남자는 다양한 메뉴 개발, 여자는 식재료의 변화가 37.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은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결과를 보였다.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구입의향은 남자는 66.7%, 여자는 73.5%가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성별에 따른 간편 가정식에 대한 중요도 속성은 위생, 이용편리성, 포장상태, 식재료의 안전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중요 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간편 가정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 분석 결과 식재료의 안전성, 메뉴의 다양성, 위생, 그리고 음식의 품질 항목의 순으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간편 가정식 속성에 대하여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2사분면에 근접하게 있었던 식재료의 안전성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료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식재료 사용 등을 통한 안전성 확보와 함께 간편 가정식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해물질의 체계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경기, 충북, 전북 지역의 일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결여되어 있어 본 연구 결과가 20대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대학생을 제외한 20대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intention to purchas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de with eco-friendly food ingredients as well as need for development while analyz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MR made with eco-friendly ingredients for its commercialization. From September 2014 to M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편 가정식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개발의 필요성 및 구입의향을 조사하고, 간편 가정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제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4년 9월~2015년 3월까지 설문지에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개발의 필요성 및 구입의향을 조사하고, 간편 가정식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최근 식문화 트렌드인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제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의식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여성들은 과거에 비해 주방에서 조리할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원재료를 구입해서 조리하는 것보다 이미 조리된 음식을 구입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늘어가고 있다(1). 편의식은 조리시간의 절약과 휴대・운반이 쉽고 저장성이 있는 가공식품으로 정의되며, 냉동식품, 레토로트 파우치 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으로 분류하고 있다(2). 또한 원래 재료를 조리하기 쉽게 다듬거나 크기를 자르거나 한 상태의 원재료 가공 식품까지를 편의식의 범주로 규정하기도 한다(3,4).
간편 가정식 연구에서 이루어져야하는 것은? 현대인들의 안전한 식재료를 사용한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식 외에도 급식, 외식 등에서 친환경 식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일반 농산물에 비해 가격이 비싸더라도 건강과 환경보전을 고려하여 친환경 식재료를 소비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9), 간편 가정식에 사용되는 식재료의 품질과 안전성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프리미엄 간편 가정식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요 목표 고객층에 대한 간편 가정식 구매행동, 친환경 식재료를 활용한 간편 가정식 개발의 필요성, 그리고 간편 가정식의 만족도 분석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간편 가정식은 어떻게 범주화되는가? 또한 원래 재료를 조리하기 쉽게 다듬거나 크기를 자르거나 한 상태의 원재료 가공 식품까지를 편의식의 범주로 규정하기도 한다(3,4). 편의식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는 간편 가정식(home meal replacement, HMR)은 장시간 음식을 조리하는 수고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가정식사대용품을 의미하며, 가정과 간편 가정식 전문점에서의 조리 과정 수행 정도에 따라 바로 먹는 음식(ready to eat), 가열 후 먹는 음식(ready to heat), 간단 조리 후 먹는 음식(ready to cook)을 간편 가정식의 광의로 범주화하고 있다. 이는 직장인이나 독신자들에게 가정식의 고품질 음식을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개발이 되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JH, Ryu KS. 2014.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to HMR brand on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loyalty.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 17: 135-160. 

  2. Cho SH. 2008. Food science. Kyomunsa, Gyeonggi, Korea. p 342-343. 

  3. Chung L, Lee HY, Yang IS. 2007. What's the consideration attribute on purchasing the HMR?. Korean J Food Culture 22: 315-322. 

  4. Park JY, Kim JN, Hong WS, Shin WS. 2012. Survey on present use and future demand for the convenience food in the elderly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7: 81-90. 

  5. Chung L, Lee HY, Yang IS. 2007. Prefere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by product categor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88-400. 

  6. Seoul Food. Food industry trends. http://blog.seoulfood.or.kr/69 (accessed Mar 2015). 

  7. Samsung Securities. Samsung daily. http://hk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346588 (accessed Apr 2015). 

  8. Seoul Food. Food industry trends. http://blog.seoulfood.or.kr/559 (accessed Feb 2014). 

  9. Jeong MH, Chae IS. 2015. A survey of eco-foodservi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Jeju. J Nutr Health 48: 105-112. 

  10. Ju SY. 2012. Study i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39-1644. 

  11. Seo KH, Choi WS, Lee SB.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on perceived utilitarian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 on consumers of large discount and department stor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934-947. 

  12. Lee BS, Park KH, Cho J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bout HMR: in case of ready-to-end-cook. Korean J Culinary Res 17: 85-97. 

  13. Kim KJ. 2013. A study on a sales promotion strategy for HMR products in discount stores. Korean J Culinary Res 19: 256-267. 

  14. Choi SW, Na YS. 2013.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Korean J Culinary Res 19: 296-311. 

  15. Jung HS. 2011. A study on the purchase behavior of HMR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styles by female consumer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21-24. 

  16. Chung L. 2005. Analysis of consumer inclination to convenience towards home meal replacement in Korea.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31. 

  17. Chung L, Lee HY, Yang IS. 2007.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attitudes and intention of repurchase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ccording to the product categories. Korean J Community Nutr 12: 344-351. 

  18. Ahn HS. 2012. Utiliza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women dietary style in Jeonbuk.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p 29-30. 

  19. KCCI. 2015. Retail industry white paper.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Seoul, Korea. p 49. 

  20. Kwon HS. 2008. Study on choice factors of the well-being foods: based on home meal replacement (HMR).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Korea. p 75-77. 

  21. Lee IS, Kim HY, Kim DY, Jeong YG. 2014. Activation plan for utilizing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rom producers' perspective through delphi techniqu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672-679. 

  22. Lee HS, Lim JH. 2014. SPSS 20.0 manual. Jyphyunjae, Seoul, Korea. p 376-383. 

  23. Ahn HJ, Park S, Joo N. 2010. Consumer awareness and demand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for adults who live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6: 255-269. 

  24. Lee LE, Niode O, Simonne AH, Bruhn CM. 2012. Consumer perceptions on food safety in Asian and Mexican restaurants. Food Control 26: 531-538. 

  25. Nam JY, Hong WS. 2015.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country-of-origin labeling for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 Sci 31: 53-61. 

  26. Green CG. 1992. Using customer survey data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college/university foodservice. J College University Foodserv 1: 39-51. 

  27. Huh EJ, Kim JW. 2010.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Human Ecol 19: 883-8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