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분자화된 Polydeoxynucleotide (PDRN)의 흰쥐에 대한 외과적 창상 치유 효과
Wound Healing Effect of Low Molecular PDRN on Experimental Surgical Excision Rat Model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4, 2015년, pp.401 - 411  

윤종국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  윤혜은 ((주)한국비엔씨) ,  박정규 ((주)한국비엔씨) ,  김미려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피부재생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저분자화 시킨 Polydeoxynucleotide (PDRN)의 창상 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어 정소 유래 PDRN 단백질 제거공정, 내독소 제거공정을 거쳐 순수분리 정제하였고 분자량 저감공정을 거쳐 기존 PDRN 보다 피부 침투율을 높인 고순도 PDRN을 제조하였다. 상처 치료 과정 중 PDRN 처리에 의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sprague-dawley rats (SD)의 배부에 bioxy punch를 이용한 4개의 창상을 유발하고, 시료를 포함한 총 5종의 실험시료를 마리당 $500{\mu}L$씩 도포한 후 7일 간격으로 4주간 피부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에 PDRN을 도포한 후, 절개된 상처의 표피화와 수축이 더 빨라졌고, 창상면적에 있어서 PDRN의 도포는 양성대조군인 $Fucidin^{(R)}$ 도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염색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는 양성대조군이 가장 빠르게 재상피화가 이루어졌으며, 그 다음으로는 PH군, PD군, HA군으로 교원질 재합성 및 형성 수준을 보였다. 또한, 병변의 형질전환성장인자($TGF-{\beta}$) 및 혈관 내피성장인자(VEGF) 등의 성장인자에서도 염색 조직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저분자화된 PDRN은 창상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화장품 및 의료산업 분야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wound healing effect of skin regeneration cosmetics utilizing low molecular weight Polydeoxynucleotide (PDRN). High purity PDRN was prepared from salmon testes poly-deoxy-ribonucleotide through protein and toxin removal process and molecular weight re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DRN은 deoxyribonucleotide 중합체가 포함된 DNA 합성의 전구체(precursor)로서 A2 purinergic receptor를 자극하여 특별한 부작용 없이 피부재생을 촉진하여 화상이나 만성 창상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며, 신생세포의 DNA 생합성에 활용되어 세포재생과 성장을 촉진, 빠른 피부 재생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고[11], PDRN을 이용한 세포재생촉진제는 이미 유럽에서 송어 추출성분을 제품 화하여 상처치유 및 미용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어이리로부터 추출하고, 저분자화 공정을 통해 얻어진 PDRN의 흰쥐에서의 창상 치유 효과 확인을 통해 피부 재생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장품법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는? ‘기능성 화장품’이란 화장품이 통상 갖는 세정이나 보습 등의 미용 효과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갖는 화장품을 의미하며, 화장품법에서는 기능성의 화장품을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위와 같은 기능뿐만 아니라 항염증, 탈모 방지, 비만 개선 등의 의약품과 유사한 치료활성에 해당하는 기능을 갖는 화장품에 관한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들을 일컫는 표현으로 화장품과 의약품의 합성어에 해당하는 코스메슈티컬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고, 화장품 시장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1,2].
기능성 화장품이란? ‘기능성 화장품’이란 화장품이 통상 갖는 세정이나 보습 등의 미용 효과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갖는 화장품을 의미하며, 화장품법에서는 기능성의 화장품을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위와 같은 기능뿐만 아니라 항염증, 탈모 방지, 비만 개선 등의 의약품과 유사한 치료활성에 해당하는 기능을 갖는 화장품에 관한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들을 일컫는 표현으로 화장품과 의약품의 합성어에 해당하는 코스메슈티컬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고, 화장품 시장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1,2].
피부조직의 손상을 입었을 때 상처 치유 과정의 단계는? 피부조직은 손상을 입게 되면 창상을 치유하려는 반응이 시작되고, 이러한 상처 치유 과정은 단계별로 진행된다. 첫 단계는 염증기로서 혈관 수축, 혈소판 응고, 혈관 형성 등이 일어나며, 다음 단계인 육아기에는 새로운 모세혈관이 형성되며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상피성장인자(epitheli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및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등의 여러 성장인자들이 방출되어 재상 피화에 참여한다[5,6]. 특히 TGF-β와 PDGF는 동물실험 모델에서 연부 조직의 창상 치유를 촉진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고[7], 또한, TGF-β는 섬유아세포로 하여금 교원질과 fibronectin에 생산을 증가시켜 세포외 기질의 구성과 양을 조절하는 주된 생성인자로 반흔의 생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J. Lee and J. M. Park, A study of patent examination practice for the use claims of cosmeceutical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2), 215 (2014). 

  2. J. M. Park, S. P. Lee, and E. S. Son, An analysis on the regulations, technology, and market of cosmeceuticals, Kor. J. Technol. Innovat. Soc., 5, 293 (2002). 

  3. K. M. Choi, C. W. Lee, and M. Y. Lee, Effect of ore minerals in the healing of full-thickness skin injury model of rat, J. Environ Sci., 17, 809 (2008). 

  4. D. R. Waldron and N. Zimmerman-Pope, Superficial skin wounds, 259, Saunders, Philadelphia, USA (2003). 

  5. L. Forrest, Current concepts in soft connective tissue wound healing, British Journal of Surgery, 70(3), 133 (1983). 

  6. E. E. Peacock, Wound repair, 38, WB Saunders, Philadelpia, USA (1984). 

  7. A. J. Hatamochi, K. Mori, and H. Ueki, Role of cytokines in controlling connective tissue gene expression, Arch. Dermatol. Res., 287(1), 115 (1994). 

  8. U. Hiroshi, Y. Haruo, T. Ichiro, K. Naoki, M. Mitsunobu, O. Masahiro, K. Tsuyoshi, and F. Toru, Accelerating effects of chitosan for healing at early phase of experimental open wound in dogs, Biomaterials, 20(15), 1407 (1999). 

  9. E. Christophers and U. Mrowietz, In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eds. M. Irwin, A. Z. Eisen, K. Wolff, K. F. Austen, L. A. Goldsmith, and S. I. Katz, 6thed, 407, Freedberg, New York, USA (2003). 

  10. C. J. Kim, Pathophysiology, 61, Shinilbooks, Seoul, Korea (1988). 

  11. Y. H. Kim, J. H. Lee, K. H. Min, S. H. Hong, W. M. Lee, and J. H. Jun, The Wound healing effect of PDRN (polydeoxyribonucleotide) material on full thickness skin defect in the mouse, J.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g., 37(3), 220 (2010). 

  12. Y. Hayashi, S. Tsuji, M. Tsuji, T. Nishida, S. Ishii, H. Iilima, T. Nakamura, H. Eguchi, E. Miyoshi, N. Hayashi, and S. Kawano, Topical implant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has beneficial effects on healing of experimental colitis in rats, J. Pharmacol. Exp. Ther., 326(2), 523 (2008). 

  13. D. O. Han, G. H. Kim, Y. B. Choi, I. S. Shim, H. J. Lee, Y. G. Lee, J. H. Kim, G. T. Chang, and D. H. Hahm, Healing effect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on experimental open wounds in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1), 92 (2005). 

  14. S. M. Han, K. G. Lee, J. H. Yeo, H. Y. Kweon, S. O. Woo, H. J. Baek, and K. K. Park, The effects of Bombyx mori silk protein for the expression of epithelial growth factor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the hairless mouse, Korean J. Seric. Sci., 48(2), 56 (2006). 

  15. J. Y. Kim, H. J. Kim, J. B. Lee, S. D. Seong, and Y. S. Cho, Effectiveness of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material on murine subcutaneous laceration wounds, J. Korean Soc. Emerg. Med., 24(4), 453 (2013). 

  16. P. Martin, Wound healing-aiming for perfect skin regeneration, Science, 276(5309), 75 (1997). 

  17. J. S. Park, J. Y. Kim, J. Y. Cho, J. S. Kang, and Y. H. Yu,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tagoniz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induced collagen lattice contraction by human skin fibroblasts, Biol. Pharm. Bull., 23(12), 1517 (2000). 

  18. A. Schmitt-Graff, A. Desmouliere, and G. Gabbiani, Heterogeneity of myofibroblast phenotypic features: an example of fibroblastic cell plasticity, Virchows Arch., 425(1), 3 (1994). 

  19. G. Gabbiani, The cellular derivation and the life span of the myofibroblas, Pathol. Res. Pract., 192(7), 708 (1996). 

  20. L. Macri, D. Silverstein, and R. A. Clark, Growth factor binding to the pericellular matrix and its importance in tissue engineering, Adv. Drug Deliv. Rev., 59(13), 1366, (2007). 

  21. M. Detmar, L. F. Brown, B. Berse, R. W. Jacman, B. M. Elicker, H. F. Dvorak, and K. P. Claffey, Hypoxia regulat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VPF, VEGF) and its receptor in the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08(3), 263 (1997). 

  22. M. Kapoor, R. Howard, I. Hall, and I. Appleton, Effects of epicatechin gallate on wound healing and scar formation in a full thickness incisional wound healing model in rats, Am. J. Pathol., 165(1), 299 (2004). 

  23. K. J. Rolfe, J. Richardson, C. Vigor, L. M. Irvine, A. O. Grobbelaar, and C. Linge, A role for TGF- $\beta$ 1-induced cellular responses during wound healing of the non-scarring early human fetus, J. Invest. Dermatol., 127(11), 265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