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1 - 15  

김정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경원은 일제강점기 창경궁에 박물관과 동 식물원이 계획되면서 조성된 유원지다. 오락거리를 갖추고 즐거움을 주는 공간인 유원지는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의 이미지를 재현해왔다. 본 연구는 창경원의 조성 과정과 공간 변화를 고찰하고, 그 결과 조성된 낙원으로서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했다. 창경원의 조성 의도와 과정을 문헌으로 고찰한 결과, 창경원은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순종의 즐거움을 위한 '어원'이자, '대중을 위한 오락장'으로 조성되었으며, 개원과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면서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의 공간 구성은 근대 도면과 사진을 비교 분석해 파악했다. 창경원의 배치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박물관 영역, 북쪽에는 식물원 영역, 남쪽에는 동물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식물원 지구에는 대온실을 중심으로 한 식물배양실 등 열대 식물의 전시 및 관리 기능이 집약되었으며, 동물원 영역의 연못은 수금방양소로 만들고, 이 주변으로 각종 동물사와 동물 온실을 신축했다. 박물관 시설은 본관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각들을 전시 시설로 흡수했으며, 전각 사이에는 서양식 정원을 조성해 꽃을 계획적으로 재배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 이르면 아동운동장이나 말운동장과 같이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이 만들어졌다. 다음으로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창경원은 동 식물원을 통해 희귀한 동물과 식물들을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낙원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꽃관상이나 동물 구경과 같은 새로운 대중오락을 만들어냈다. 둘째, 창경원은 도시의 일상에서 탈출할 수 있는 '도시 안에서 도시 밖 자연을 간직한 낙원'을 상징하며, 도시민의 여가 공간이 되었다. 셋째, 벚꽃의 개화기에 야간 개방이 시작되면서 창경원에서는 조명 효과를 중심으로 '환상적인 밤 경관'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밤벚꽃놀이는 각종 공연, 음주 등과 결합되면서 선정적으로 변해갔고, 그 결과 창경원은 일탈의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창경원은 다양한 성격의 시설이 혼재되면서 유원지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했으며, 사람들은 유원지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오락 문화를 수용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gyeongwon emerged as pleasure grounds following the creation of a museum, zoo and botanical garden in Changgyeonggung Pa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leasure grounds offer space for entertainment and have maintained the image of a paradise apart from reality. This study examined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경원은 왜 만들어졌는가? 창경원은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순종의 즐거움을 위한 ‘어원’이자 ‘대중을 위한 오락장’으로 조성되었다. 조성 목적에 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개원과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면서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은 어떤 곳인가? 창경원(昌慶苑)은 일제강점기 식민 당국이 창경궁(昌慶宮)에 박물관과 동․식물원을 계획하면서 조성된 유원지다. 1900년대 후반 시작된 유원지로서 창경원의 역사는 광복 이후 동물원과 식물원 일부를 서울대공원으로 이전하고, 궁궐 복원을 시작했던 1983년까지 지속되었다.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한 결과는 무엇이었나? 다음으로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창경원은 동 식물원을 통해 희귀한 동물과 식물들을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낙원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꽃관상이나 동물 구경과 같은 새로운 대중오락을 만들어냈다. 둘째, 창경원은 도시의 일상에서 탈출할 수 있는 '도시 안에서 도시 밖 자연을 간직한 낙원'을 상징하며, 도시민의 여가 공간이 되었다. 셋째, 벚꽃의 개화기에 야간 개방이 시작되면서 창경원에서는 조명 효과를 중심으로 '환상적인 밤 경관'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밤벚꽃놀이는 각종 공연, 음주 등과 결합되면서 선정적으로 변해갔고, 그 결과 창경원은 일탈의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창경원은 다양한 성격의 시설이 혼재되면서 유원지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했으며, 사람들은 유원지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오락 문화를 수용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nals of Sunjong(純宗實錄). 

  2. Auricoste, I.(1992) "Leisure Parks in Europe: Entertainment and Escapism, in The Architecture of Western Gardens. Cambridge, Mass.: MIT Press. 

  3. Byeolgungon(別乾坤). 

  4. Choi, A. S.(2008) AStudy on the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Methods of the Greenhouse in Changgyeonggung(Palace). Master's Thesis, The Universitiy of Seoul.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6) Imperial Household Agency's Changdeokgung Palace Photo Album(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 첩). Seoul: Changdeokgung Palace Office.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7) Investigation Report of the Greenhouse Documentation at Changgyeonggung(창경궁 대온실 기록화 조사 보고서).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0) Changgyeonggung Restoration and Renovation Plan(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8. Dongkwang(東光). 

  9. Dubbini, R.(1991) Glasshouses and Winter Gardens, in Monique Mosser & Georges Teyssot ed. The Architecture of Western Gardens: A Design History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The MIT Press, pp. 427-429. 

  10. Gaebyeok(開闢). 

  11. Gang, S. Y.(1995) Modern History of Korean City Parks. Seoul: Jokyung. 

  12. Gondo, S.(1926) Secret History of Great Han Imperial Family: A Memoirs of a Japanese Official of Changdeokgung(대한제국 황실 비사: 창덕궁에서15년간순종황제의 측근으로일한어느일본 관리의회고록), Lee, A. S. trans.(2007) Seoul: Imago. 

  13. Gyeongseongbu(1934) Gyeongseongbusa(京城府史). 

  14. Hwangseong Sinmun(皇城新聞). 

  15. Ishikawa, M.(2001) Toshi to Ryokuchi(도시와 녹지: 새로운 도시환경 의 창조를 향하여), Lee, Y. E. trans.(2004) Seoul: Hyenjin printing. 

  16. Jung, M.(2007) The Discovery of the 18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Seoul: Humanist 

  17. Kim, H. G.(2011) A study on interpreting peoples enjoyment under cherry blossom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4-136. 

  18. Kim H. S.(2008) Night Cherry blossoms festival and Yojakura(夜櫻) at Changgyeong garden.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19: 139-162. 

  19. Korea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20. Kwon, C. R.(2010) A Study on Nature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Focused on Yi Sang's and Kim Yu-jung's Literature. Doctorate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21. Lee, J. N.(2013) Animals trapped in reality spectacle mechanism(동물, 리얼리티 스펙터클 메커니즘에 갇히다). Culture Science(문화과학) 76: 227-245. 

  22. Mabille, G.(1991) The Menagerie at Versailles, in Monique Mosser & Georges Teyssot ed., The Architecture of Western Gardens: A Design History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The MIT Press, pp.172-174. 

  23. Maeil Shinbo(每日申(新)報). 

  24. Mumford, L.(1938) The Culture of Cities. New York: Harcourt, Brace. 

  25. Nakamura, Y.(2004) Fukei o Tsukuru(풍경의 쾌락: 크리에이터, 풍경 을 만들다). Kang, Y. J. trans.(2007), Paju: Hyohyung. 

  26. National Diet Library, Asakusa Hanayashiki: Transformation from a Park to an Amusement Park(http://www.ndl.go.jp). 

  27. Office of Cultural Heritage(1985) Excavation Investigation Report of Changgyeonggung(昌慶宮發掘調査報告書). 

  28. Office of Cultural Heritage(1989) Report of Changgyeonggung Renovation (昌慶宮重建報告書). 

  29. Ogino, C.(2009) A study on green area of the city: Focusing on the change of green areas in Edo.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1(2): 39-57. 

  30. Oh, C. Y.(1993) 80-Year History of Zoos in Korea: Changgyeongwon: 1907-1983(韓國動物園八十年史: 昌慶苑編: 1907-1983). Seoul: Seoul Metropolitan City. 

  31. Online Etymology Dictionary(http://www.etymonline.com). 

  32. Park, S. H.(2004) Imperial taste: Yi Dynasty Museum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imperialist Japan. Art History Forum(美術史論壇) 18: 143-169. 

  33. Rothfels, N.(2002) Savages and Beasts(동물원의탄생). Lee, H. J. trans. (2003) Seoul: Jiho. 

  34. Schenker, H.(2002). Pleasure Gardens, Theme Parks, and the Picturesque. in Young, T., Riley, R. ed., Theme Park Landscapes: Antecedents and Variations, USA: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121-122. 

  35. Seo, T. J.(2014)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 of the zoo purposebuilt by Japanese empir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69: 7-42. 

  36. Song, H. E.(2007)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laceness and symbolismof Changgyong-goong.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9(2): 24-44. 

  37. Song, K. H.(1999) A chronicle of the Yi Royal Household Museum in Changgyong palace. History Education 72: 169-198. 

  38. Supplement of Sunjong Annals(純宗實錄附錄). 

  39. Taegeukhakbo(太極學報). 

  40.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2009) Collection of Modern Architectural Drawing(近代建築圖面集), Jangseogak Archives. 

  41. The Chosun Ilbo(朝鮮日報). 

  42. The Dong-A Ilbo(東亞日報). 

  43. Wang, R. Z.(2010) A Paradise Lost The Imperial Garden Yuanming Yuan(잃어버린 낙원, 원명원), Kim, S. Y., Lee, J. S. trans.(2015), Seoul: Hansoop. 

  44. Woo, D. S.(2009) "Changgyeongwon and Ueno Park, and Spatial Dominance of Meiji(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Tears of the Palace, One Hundred Years of Silence), Paju: Hyohyung, pp. 202-237. 

  45. Yi Royal Household Museum(李王職博物館)(1912) Yi Royal Household MuseumCollection Photo Album(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 Gyeongseong (京城): Yi Royal Household Museum. 

  46. Yoshimi, S.(1992) Hakurankai no Seijigaku: Manazashi no Kindai(박람회: 근대의 시선), Lee, T. M. trans.(2004) Seoul: Nonhyung. 

  47. Yu, K. C. and Huh. K. J. trans.(2004) Seoyugyeonmun(西遊見聞). Seoul: Seohaemunji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