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복합레진 적층수복물의 색조 평가
Color evaluation of low viscosity bulk-fill resin with composite resin capping layer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1 no.4, 2015년, pp.294 - 300  

윤종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과) ,  정지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장훈상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복합레진을 적층한 수복물의 색조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저점도 벌크필레진(SDR)과 A2, A3 색조의 미세혼합형 복합레진(A2, A3)을 4 mm 두께로 제작하여 광중합한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레진 시편의 CIE $L^*a^*b^*$ 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저점도 벌크필레진 상방에 2 mm 두께로 A2, A3 색조의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하여(SA2, SA3) 광중합한 후 색측정을 하고(n = 10),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 그리고 이들을 적층한 시편의 색차(${\Delta}E$)를 계산하였다. 결과: $L^*$ 값은 SDR이 가장 컸고 SA2, SA3 그리고 A2, A3 순으로 감소했다. $a^*$ 값은 SDR이 가장 작았고 SA2, SA3 그리고 A2, A3 순으로 증가했다. $b^*$ 값은 SDR이 가장 작았으며 A2, SA2 그리고 A3, SA3 순으로 증가했다. 적층한 시편과 미세복합형 복합레진 시편의 ${\Delta}E$ 값은 A2와 SA2 사이에 ${\Delta}E=3.4$, A3와 SA3 사이에 ${\Delta}E=3.1$로 계산되었다. 결론: 저점도 벌크필레진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한 시편과 미세혼합형 복합레진만으로 제작한 시편의 색조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작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olor of low viscosity bulk-fill resin with a capping layer and to compare it with the color of microhybrid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A low viscosity bulk-fill resin (SDR) and microhybrid composite resin of shade A2 (A2) or A3 (A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합레진을 이용한 수복은 심미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translucency를 증가시킨 저점도 벌크필레진 상방에 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했을 때의 수복물의 색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저점도 벌크필레진 상방에 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한 시편과 혼합형 복합레진만으로 제작한 시편의 색조를 비교평가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레진에 비해 벌크필레진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에 소개된 벌크필레진(bulk-fill resin)은 중합깊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광중합 개시제나 단량체를 사용하고 충전재의 크기, 종류, 함량을 변화시키는 등 기존의 복합레진보다 translucency를 증가시켜 4- 5 mm 두께의 레진을 한 번에 광중합할 수 있어 그로 인한 진료시간의 감소는 환자와 임상의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 9,10 벌크필레진은 저점도형(low viscosity type)과 고점도형(high viscosity type)이 있는데 저점도 벌크필레진은 물성이 낮아9 그 상방에 혼합형 복합레진을 적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최대 2mm두께로 적층충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충분히 광중합시키기 위해서는 최대 2 mm 두께로 적층충전을 해야 한다. 2이는 중합광이 충전재의 크기나 함량 등에 따라 산란되고 레진 기질을 통과하면서 빛의 감쇄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깊은 2급 와동을 수복할 때 복합레진을 2 mm씩 충전하고 광중합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진료 시간을 증가시킨다.
복합레진수복의 사용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이용한 수복은 우식에 이환된 치아의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복합레진수복은 기능적,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 사용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물성을 개선하고 더욱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oyser NJ, Briggs PF, Chana HS, Kelleher MG, Porter RW, Patel MM. The evaluation of direct composite restorations for the worn mandibular anterior dentition - clinical performance and patient satisfaction. J Oral Rehabil 2007;34:361-76. 

  2. Rueggeberg FA, Craig RG. Correlation of parameters used to estimate monomer conversion in a light-cured composite. J Dent Res 1988;67:932-7. 

  3. Kleverlaan CJ, Feilzer AJ.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contraction stress of dental resin composites. Dent Mater 2005;21:1150-7. 

  4. Suliman AH, Boyer DB, Lakes RS.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comparison with tooth deformation. J Prosthet Dent 1994;71:7-12. 

  5. Meredith N, Setchell DJ. In vitro measurement of cuspal strain and displacement in composite restored teeth. J Dent 1997;25:331-7. 

  6. McCullock AJ, Smith BG. In vitro studies of cusp reinforcement with adhesive restorative material. Br Dent J 1986;161:450-2. 

  7. Venhoven BA, de Gee AJ, Davidson CL. Polymerization contraction and conversion of light-curing BisGMA-based methacrylate resins. Biomaterials 1993;14:871-5. 

  8. Labella R, Lambrechts P, Van Meerbeek B, Vanherle G.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elasticity of flowable composites and filled adhesives. Dent Mater 1999;15:128-37. 

  9. Ilie N, Bucuta S, Draenert M. Bulk-fill resin-based composites: an in vitro assessment of their mechanical performance. Oper Dent 2013;38:618-25. 

  10. Czasch P, Ilie N. In vitro comparis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ee of cure of bulk fill composites. Clin Oral Investig 2013;17:227-35. 

  11. Ilie N, Schoner C, Bucher K, Hickel R. An in-vitro assessment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bulkfill resin composites to permanent and deciduous teeth. J Dent 2014;42:850-5. 

  12. Chang HS, Hong SO. Effects of layering technique on the shade of resin overlays and the microhardness of dual cure resin cement. Braz Oral Res 2014;28. pii: S1806-83242014000100233. [Epub 2014 Jun 11] 

  13. Joiner A. Tooth col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2004;32:3-12. 

  14. Yamanel K, Caglar A, Ozcan M, Gulsah K, Bagis B. Assessment of color parameters of composite resin shade guides using digital imaging versus colorimeter. J Esthet Restor Dent 2010;22:379-88. 

  15. Yilmaz B, Karaagaclioglu L. In vitro evaluation of color replication of metal ceramic specimens using visual and instrumental color determinations. J Prosthet Dent 2011;105:21-7. 

  16. Li Q, Wang YN. Comparison of shade matching by visual observation and an intraoral dental colorimeter. J Oral Rehabil 2007;34:848-54. 

  17. Lee YK, Lim BS, Kim CW. Difference in polymerization color changes of dental resin composites by the measuring aperture size.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03;66:373-8. 

  18. Johnston WM, Kao EC. Assessment of appearance match by visual observation and clinical colorimetry. J Dent Res 1989;68:819-22. 

  19. Buchalla W, Attin T, Hilgers RD, Hellwig E. The effect of water storage and light exposure on the color and translucency of a hybrid and a microfilled composite. J Prosthet Dent 2002;87:264-70. 

  20. Paravina RD, Ontiveros JC, Powers JM. Curing-dependent changes in color and translucency parameter of composite bleach shades. J Esthet Restor Dent 2002;14:158-66. 

  21. Yu B, Lee YK. Differences in color, translucency and fluorescence between flowable and universal resin composites. J Dent 2008;36:840-6. 

  22. da Costa J, Fox P, Ferracane J. Comparison of various resin composite shades and layering technique with a shade guide. J Esthet Restor Dent 2010;22:114-24. 

  23. King KA, deRijk WG. Variations of L* a* b* values among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s. J Prosthodont 2007;16:352-6. 

  24. Barutcigil C, Harorli OT, Yildiz M, Ozcan E, Arslan H, Bayindir F. The color differences of direc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after setting and compared with a shade guide. J Am Dent Assoc 2011;142:658-65. 

  25. Kamishima N, Ikeda T, Sano H. Color and translucency of resin composites for layering techniques. Dent Mater J 2005;24:428-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