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예측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some female university students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2, 2015년, pp.235 - 244  

이혜란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오윤정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적 예측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여대생 546명이며, 2013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백신을 접종한 여대생은 138명(25.3%)이었다. 백신 접종군과 미접종군은 종교, 자궁경부암, 인유두종바이러스 및 자궁경부암 백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 경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지식, 건강 신념,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암 예방행위,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자궁경부암 검진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OR=34.67, 95% CI=17.19~69.92),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OR=1.45, 95% CI=1.17~1.81), 장애성은 낮을수록(OR=1.44, 95% CI=1.27~1.63) 백신 접종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의 적정 연령을 대상으로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며, 백신 접종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고, 장애요인을 감소시켜 백신접종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기반사업과 국가차원에서의 융복합적 지원과 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HPV vaccin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6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5 to 30th of October, 2013. 138(25.3%)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 546명을 대상으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여 예방접종률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유무는 종교, 자궁경부암과 인유두종바이러스 및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에 따라 관련성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대상자인 여대생의 백신 접종 유무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알아봄으로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유무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자궁경부암 관련 특성, 자궁경부암 지식, 건강신념, 암예방행위의 차이를 비교하고, 백신 접종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파악하여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리는 무엇인가?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이미 알려진 인유두종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로서 생식기에 존재하며, 자궁경부의 미성숙 이형성 세포를 쉽게 감염시키고 10년 이상 장기간의 전 암단계를 거쳐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이행하게 된다[3]. 그러므로 암으로 발전되기 전 단계 시기에 선별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치료하거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으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함에 있어 우리나라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4%)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와 국외연구에서 차이가 있는데 백신 접종율을 높이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아직 국가 필수 예방접종으로 되어있지 않아서 현재는 개인비용으로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용부담을 해야 하는 부모의 의사결정권과 백신에 대한 올바른 지식전달이 필요하다. 반면에 외국은 국가에서 무료지원이 되므로 백신 접종의 안전성에 대한 의심을 없애주고, 전문가인 의료진의 적극적 권유가 필요하다고 본다.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백신은 무엇인가? 2%)이 많았으며[4], 외국은 북아프리카 여성 16번, 남아시아 18번, 중남아메리카 31번[5] 등 인유두종바이러스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자궁경부암의 70%의 원인이 되는 인유두종바이러스 16번, 18번에 대한 예방백신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GSK사의 백신(Cervarix)과 Merk사의 백신(Gardasil)이며, 생식기 사마귀의 90%의 원인이 되는 HPV 6번과 11번 감염은 Merk사의 백신(Gardasil)으로 예방이 가능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registry statistics in 2012. http://www.cancer.go.kr. (July 10, 2015) 

  2. GLOBOCAN. Estimated cancer incidence, mortality and prevalence worldwide in 2012. http://globocan.iarc.fr/Default.aspx (July 15, 2015) 

  3. C. H. Cho. Updated long-term effectiveness & safety for HPV vaccine.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pp. 97, 59-64, 2011. 

  4. H. S. Hwang, M. S. Park, S. Y. Lee, K. H. Kwon, & M. G. Pang. Distribution and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in routine pap smear of 2,470 Korean women determined by DNA chip.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Vol. 13, No. 12, pp. 2153-2156, 2004. 

  5. N. Munoz, F. X. Bosch, X. Castellsagu, M. Diaz, S. D. Sanjose, D. Hammouda, K. V. Shah, & C. J. L. M. Meijer. Against which hunan papillomavirus types shall we vaccinate and screen?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Vol. 111, pp. 278-285. 2004 

  6. H. R. Shin, S. Franceschi, S. Vaccarella, J. W. Roh, Y. H. Ju, J. K. , Oh, & M. H. Stole. Human papillomaviruses and cervical neoplasia: A model for carcinogenesi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Pathology, Vol. 19, pp. 16-18, 2004. 

  7. A. M. Park & S. B. Koh.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single and multiple HPV infection in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from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51, No. 10, pp. 1128-1136, 2008. 

  8. E. F. Dunne, E. R. Unger, M. Sternberg, G. McQuillan, D. C. Swan, S. S. Patel, & L. E. Markowitz. Prevalence of HPV Infection Among Female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97, No. 8, pp. 813-819, 2007. 

  9. E. J. Lee & J. S. Park.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11, No. 1, pp. 65-73, 2011. 

  10. S. M. Park & J. S. Choi. Comparison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status, associated with health belief and knowledge between male and female high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5, No. 1, pp. 24-32, 2013. 

  11. Y. E. Lee, J. S. Park, & E. J. Choi. The exac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related health belief and vaccination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ternal & Child Health, Vol. 17, No. 1, pp. 27-37, 2013. 

  12. E. J. Young, S. N. Tabrizi, J. M. Brotherton, J. D. Wark, J. Pyman, M. Saville, C. D. Wrede, Y. Jayasinghe, J. Tab, D. M. Gertig, M. Pitts, & S. M. Garland. Measuring effectiveness of the cervical cancer vaccine in an Australian setting(the vaccine study). BMC Cancer, Vol. 13, No. 296, pp. 1-7, 2013. 

  13. S. L. Rosenthal, T. W. Weiss, G. D. Zimet, M. B. Good, & M. D. Vichnin. Predictors of HPV vaccine uptake among women aged 19-26: Importance of a physician's recommendation. Vaccine, Vol. 29, No. 5, pp. 890-895, 2011. 

  14. S. K. Kim & B. S. Lee.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ix most common cancers in Korea.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 10, No. 1, pp. 135-148, 2006. 

  15. K. S. Bang, S. M. Sung, B. Y. Koo, M. J. Kim, Y. N. Kim, J. S. Kim, & S. M. Rye. Female university students' HPV-related knowledge and influencing factors on HPV vaccina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11, No. 3, pp. 186-192, 2011. 

  16. J. S. Park & E. J. Lee. Predictors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346-358, 2011.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immunization survey in South Korea, 2013. pp. 217-218, 2013. 

  18. M. S. Yoo. Knowledge level of human papillomavirus, cervical cancer and vaccination status among mothers with daughters in high schoo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105-114, 2014. 

  19. C. Dorell, D. Yankey, & S. Strasser. Parent-reported reasons for nonreceipt of recommended adolescent vaccinations national immunization survey: teen, 2009. Clinical Pediatrics, Vol. 50, No. 12, pp. 1116-11124, 2011. 

  20. M. F. Daley, L. A. Crane, & L. E. Markowitz, S. R. Black, B. L. Beaty, J. Barrow, C. Babbel, S. L. Gottlieb, N. Liddon, S. Dtokley, L. Miriam Dickinson, & A. Kempe.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practices: A survey of US physicians 18 months after licensure. Pediatrics, Vol. 126, No. 3, pp. 425-433, 2010. 

  21. L. M. Kester, G. D. Zimet, J. D. Fortenberry, J. A. Kahn, & M. L. Shew. A maternal study of HPV vaccination of adolescent girls: Rates, predictors, and reasons for non-vaccination.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Vol. 17, pp. 879-885, 2013.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health statistics in 2010. http://www.mw.go.kr. (July 1, 2015) 

  23. B. L. Cho.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current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and plan to improve the syste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4. Y. L. Le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for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mothers with female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4. 

  25. Y. J. Han, S. R. Lee, E. J. Kang, M. K. Kim, N. H. Kim, & H. J. Kim, W. Ju, S. C. Kim.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cancer, human papillomavirus and future acceptance of vaccination among girls in their Late tee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50, No. 8, pp. 1090-1099, 2007. 

  26. M. K. Bendik, R. M. Mayo, & V. G. Parker. Knowledge, Perception, and motivations related to HPV vaccination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Cancer Education. Vol. 26, No. 3, pp. 459-464, 2011. 

  27. H. W. Kim. Factors influencing mothers'acceptance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in their daught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2, pp. 137-147. 2011. 

  28. L. A. Mills, R. C. Vanderpool, & R. A. Crosby. Sexually related behaviors as predictors of HPV vaccination among young rural women. Journal of Women's Health, Vol. 20, No, 12, pp. 1909-1915. 2011. 

  29. J. K. Jun, K. S. Choi, K. W. Jung, H. Y. Lee, S. M. Gapstur, E. C. Park, & K. Y. Yoo. Effectiveness of an organize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results from a cohor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Vol. 124, No. 1, pp. 188-193, 2009. 

  30. S. S. Chan, B. H. Yan Ng, W. K. Lo, T. H. Cheung, & T. K. Hung Chung. Adolescent girls' attitudes on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Vol. 22, No. 2, pp. 85-90,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