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를 달리한 누룩 발효 기간별 배양 유산균 변화 및 분리 유산균들의 효소 활성
Change in the composition and enzyme activity of culturable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during ferment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6, 2015년, pp.920 - 925  

남강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남근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염은지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용식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김대혁 (전북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  정용섭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 온도를 달리한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두 가지 형태(TN-A와 TN-B)의 누룩들로부터 발효 기간별 배양된 유산균 총균수, 유산균 종들의 변화 및 분리된 유산균들의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TN-A의 유산균 총균수는 $10^4{\sim}10^5$ log CFU/mL로 발효 3일차부터 발효 기간에 관계없이 유지되었고, TN-B에서는 발효 6일차까지 $10^2$ log CFU/mL로 유지되다가 6일차 이후 유산균이 검출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유산균 종들의 변화에 있어서, TN-A는 발효 3일차에 우점종 유산균으로 나타난P. pentosaceus 종이 발효 종료 시점이 30일차 까지 우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TN-B는 발효 3일차와 6일차에 각각 P. pentosaceus와 E. hirea로 나타나 유산균이 검출된 발효 기간까지 TN-A 보다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TN-A와 TN-B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들의 효소 활성은 단백질분해효소와 당화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평가는 티로신 생성량으로, 당화효소 활성은 아밀로스 분해에 따른 아밀로스 잔여 함량으로 평가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9종)들은 0.49~0.89 mg/mL의 티로신 생성 범위의 단백질분해 활성과 0.64~0.79 mg/mL의 아밀로스 분해 활성 범위를 보였고, 유산균들 중 가장 높은 단백질분해효소와 당화효소 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각각 P. acidilactici와 L. sakei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온도를 달리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였을 시 누룩 내에 유산균들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많은 연구들이 진행된다면, 누룩관련 제품에 유산균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미와 풍미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전통적인 누룩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robial composition in Nuruk, a Korean cereal fermentation starter,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qua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This study was aimed at monitoring the compositional change and enzyme activity of culturable lactic acid bacteria (LAB)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도를 달리한 누룩 제조 과정 동안 발효에 관여하는 누룩 미생물들 중 유산균들의 변화 및 분리된 유산균들의 효소 활성을 분석하여 전통 누룩의 품질 개선 및 표준화 제조 기술 연구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누룩에 의해 생산되는 주류가 다른 주류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전통 누룩은 곰팡이, 효모, 세균류 등의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미생물들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전분분해효소가 풍부하여 전통 양조주에서 당화제와 알코올 발효제로 사용하고 있다 (1,2). 따라서 전통 누룩에 의해 생산되는 주류는 타 주류보다 오미, 향미, 청량미가 고루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비타민 B군, 유기산과 필수 아미노산 등 영양가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전통 누룩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전통 누룩은 곰팡이, 효모, 세균류 등의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미생물들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전분분해효소가 풍부하여 전통 양조주에서 당화제와 알코올 발효제로 사용하고 있다 (1,2). 따라서 전통 누룩에 의해 생산되는 주류는 타 주류보다 오미, 향미, 청량미가 고루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비타민 B군, 유기산과 필수 아미노산 등 영양가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전통 누룩에 의해 생산된 주류와 비교했을 때, 일본식 입국으로 발표시킨 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본 강점기 이후 전통주 제조는 Aspergillus luchuensis 이용한 일본식 입국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인위적으로 제조한 입국으로 발효시킨 술의 경우에는 유기산의 신맛이 지나치게 강하여 누룩으로 제조했을 때와 같은 조화로운 향미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6). 이에 따라 술의 품질을 차별화하고자 일부 업체가 자가 생산 누룩과 공장생산 누룩을 혼용하고 있으나 누룩의 품질이 일정치 않아 곰팡이와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개량누룩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SS, Kim KS, Eom AH, Sung CK, Hong I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 30, 61-65 

  2. Lee SM, Han HY, Lee SJ (2014) Volatile compounds in Takju (rice wine) using different type of fermentation starters. Food Eng Prog, 18, 348-354 

  3. Kim HR, Ahn BH (2001) Research trend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Food Indus Nutr, 6, 5-10 

  4.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5. Kim HR, Kim JH, Bai DH, Ahn BH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seful fungi with $\alpha$ -amylase activity from the Korean traditional Nuruk. Mycobiol, 39, 278-282 

  6. So MH, Lee YS, Noh W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427-432 

  7. Chun HK (2004) Trends in traditional food research.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5, 179-191 

  8.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1997)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67-774 

  9. Yu TS, Kim J, Kim HS, Hyun JS, Ha HP, Park MG (1998) Bio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ic Nutr, 27, 789-799 

  10. Kwon SJ, Sohn JH (2012)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Nuruk using PCR-DGGE. J Life Sci, 22, 110-116 

  11. Park JH (2013)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raditional Nuruk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the Nuruk. MS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12. Yoo KS (2013) Lactic acid bacterial diversity in Makgeolli and its effects on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h 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FDA (2015) Food Code. The first volume, Online version, Seoul, Korea, p 218-219 

  14. Kim HS, Hyun JS, Kim J, Ha HP, Yu TS (1998) Enzym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456-464 

  15. Huh CK, Kim SM, Kim YD (2014) Comparison for enzymic activity of Nuruk and quality properties of Yakju by different fungi. Korean J Food Preserv, 21, 573-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