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산층 노인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교육 사업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균형성과표와 구조·과정·성과 개념 적용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 for the food safety and nutrition management education projects targeting the middle class elderly: Application of the balanced score card and the structure-process-outcome concept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6, 2015년, pp.542 - 557  

장혜자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효이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하림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민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창희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정화 (숭의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이나영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노인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공적 사업의 일환으로 식품안전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 card) 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적으로는 고객관점, 재무관점,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고, 형식면에서는 성과측면, 과정측면, 구조측면으로 구분하여 노인대상 식품안전 영양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노인 대상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초안을 개발하고, 이를 설문지로 전환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의뢰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적합성은 1, 2차 결과를 토대로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를 선정한 전문가의 빈도 (백분율)가 75% 이상, 평균점수 3.8점 이상인 지표로 선별하였다. 델파이 그룹은 학계 전문가 26명, 중앙정부기관 16명, 지역사회 운영기관 24명으로 총 66인으로 구성하였다. 1차, 2차 평가에 모두 참여한 전문가는 총 32명의 의견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성과측면' 28문항, '과정측면' 9문항, '구조측면' 17문항으로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배점은 성과지표 50점, 과정지표 20점, 구조지표 30점으로 구성된다. 노인 대상 식품안전 영양관리 교육서비스 확산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구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면, 노인대상으로 식품안전 및 영양관리 교육프로그램 사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가장 효율적,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operation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jects for middle class elderly using the concept of the balanced score card. Methods: After the draft of the evaluation tool for the elderly training projects was completed, it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 대상의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개발한 본 연구는 보건 사업의 계획과 개발, 보건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 인력, 재정 자원의 할당, 시간 관리와 더불어 고객 관점과 자원의 효율적 사용 관점의 평가지표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SC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효과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리 지표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BSC 개념과 구조·과정·성과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식품안전·영양관리 교육 사업을 평가하는 체계를 국내 최초로 제시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마지막으로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 핵심성공지표는 직원 교체율, 연간 교육건수,직원만족도 지수, 인적자원관리평가지수, 연간 메뉴관련 고객피드백, 급식정보관리지수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급식소 운영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영양관리 및 식품안전에 관한 교육서비스, 영양서비스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평가 관점이 달라서 선행연구와 평가지표간에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 전문가 델파이 기법과 Kendall의 W검증을 활용하여 전문가간의 평가항목에 대한 의견일치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를 통해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교육사업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사업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다면적이고, 객관적이며, 조직의 목적 달성과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전략적인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BSC 개념을 적용하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주요 목적은 중산층 노인대상 식품안전·영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성과표 개념을 적용하여 무엇을 개발하였는가?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노인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공적 사업의 일환으로 식품안전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 card) 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적으로는 고객관점, 재무관점,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고, 형식면에서는 성과측면, 과정측면, 구조측면으로 구분하여 노인대상 식품안전 영양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노인 대상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초안을 개발하고, 이를 설문지로 전환하여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의뢰하였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으로써 마련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노인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공적 사업의 일환으로 식품안전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 card) 개념을 적용하여 내용적으로는 고객관점, 재무관점,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고, 형식면에서는 성과측면, 과정측면, 구조측면으로 구분하여 노인대상 식품안전 영양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건강한 노화를 위해 강조되는 것은 무엇인가? 급증하는 노인 의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들의 건강한 노화 (healthy aging)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4 이를 위해 노인에게 식품의 안정적 공급 (food security), 안전한 식품 섭취 (food safety), 영양적인 식사(nutritious meal) 제공, 대상별 영양관리/영양교육 (nutrition management)을 통한 예방 중심의 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의 제3차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에 따르면, 건강한 생활 실천을 확산하기 위하여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등 4분야의 중점 과제를 설정하고 목표 관리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dat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3 Sep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portal/korea/index.action. 

  2. Jeong HS, Song YM. Contributing factors to the increases in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for the aged and their forecasts.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3; 19(2): 21-38. 

  3. Kim JG.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J Welf Aged 2011; 51: 35-56. 

  4. Lee YN. Delivery system of dietary life safety programs of elderly. Proceedings of the 46th Korean Nutrition Society conference; 2011 Nov 11, Seoul, Korea.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health plan 2020 in Korea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1 Aug 5].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6. Choi JH, Lee ES, Lee YJ, Lee HS, Chang HJ, Lee KE, Yi NY, Ahn Y, Kwak TK. Development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 - by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technique -.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67-181. 

  7. Lee KE, Lee NY, Park JH.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5): 618-625. 

  8. Kim KW. Issues and directions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J Community Nutr 2000; 2(1): 71-84. 

  9. Lee YS, Kim HK.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status of the elderly using public health center in Ulsan. Korean J Nutr 2002; 35(10): 1070-1080. 

  10. Sahyoun NR. Nutrition education for the healthy elderly population: isn't it time? J Nutr Educ Behav 2002; 34(Suppl 1): S42-S47. 

  11. Kang NE, Lee JY.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2005; 18(4): 357-366. 

  12. Kim EH. A study on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using BSC for public service: a case of elderly welfare service. Korean Public Adm Q 2013; 22(2): 349-374. 

  13. Ko Y. Cost benefit analysis of the home visiting care for vulnerable subjects with hypertens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4. Lee SJ, Lee SB.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public sector from a BSC perspective: the case of PBLIS. Korea Local Adm Rev 2005; 19(2): 155-186. 

  15. Seo YJ.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16. Kwak TK. Strategies to improve management practices on food safety and nutrition for elderly. Cheongw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s Safety Evaluation; 2011. 

  17. Stawar TL, Zipple AM. Book review the book "The strategy focused organization: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by Kaplan RS, Norton DP. Psychiatr Rehabil J 2002; 26(2): 212-213. 

  18. Choi SM. A review of adoptability of BSC(Balanced Scorecard) to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Seoul City Res 2007; 8: 189-209. 

  19. Kaplan RS, Norton DP.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Harv Bus Rev 1993; 71(5): 134-147. 

  20. Hasenfeld Y. Social services and welfare-to-work: prospects for the social work profession. Adm Soc Work 2000; 23(3-4): 185-199. 

  21. Kwak T, Chang H, Song J.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for school food servic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6): 905-919. 

  22. Mcdonald G. Quality in health promotion. Cardiff: Health Promotion Wales; 1992. 

  23. Seo YJ, Jeong AS, Park TS, Lee KS.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assessment tool for the proces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3; 13(3): 35-51. 

  24. Lee HS, Lim JH. SPSS version 16.0 manual. Paju: Beobmoonsa; 2009. 

  25. Kim CL. The SAS statistics boxes: focused on statistic analysis and market research technique, 4th edition. Daejeon: Data Research, Inc.; 1994. 

  26. Bae JS, Kim MH,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65-76. 

  27. Gregoire MB. Foodservice organizations: a managerial and systems approach, 7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2010. 

  28. Hsu CC, Sandford BA. The delphi technique: making sense of consensus. Pract Assess Res Eval 2007; 12(10): 1-7. 

  29. Ulschak FL.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theory and practice of need assessment. Reston, VA: Reston Publishing Company, Inc.; 1983. 

  30. Green PJ. The content of college-level outdoor leadership course. Conference of the Northwest District Association for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Spokane, WA. 1982. 

  31. Sullivan GM. A primer on the validity of assessment instruments. J Grad Med Educ 2011; 3(2): 119-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