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 위치와 관련된 지자기장 변동성 분석: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지역 발생 지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Location which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12 to 2014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7, 2015년, pp.649 - 660  

민동민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  오석훈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  지윤수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일어난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기술을 지진과 관련된 지자기장 변동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총자기장을 이용한 분석 결과 관측소 반경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지진의 경우 일관적인 셈블런스 변동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Z축 성분 지자기장 자료를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에서도 비슷한 변동양상을 확인하였다. 자료 질이 좋은 청양 관측소 지자기장 자료를 중심적으로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보현산 관측소의 Z축 성분 자료를 해석하여 상관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12 to 2014. The wavelet-based semblance technique was used to confirm the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As a result, a pattern of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 지진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반응을 연구한 내용을 보면 특정 지진에 대한 연구가 많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여러 지진들에 대한 일반화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특정 지진이 아닌 일정 기간 동안 일어난 모든 지진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의 상관성을 찾는 방법으로 제시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3.
  • 마지막으로 지진에 대한 거리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Table 1에서 지진이 관측소와 떨어진 거리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것과 같이 관측소반경 약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지진 6개가 모두 청양 관측소의 총 자기장 자료에서 변동성이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들에 대해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깊이, 규모에 따른 지자기장 변동성은 상관성이 어느 정도 확인이 되지만 지진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차후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하여 분석해야 확실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Oh(2009)가 제안한 기술을 바탕으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일어난 규모 3.0 이상의 지진에 대해서 지진 발생 위치, 지진과 관측소와의 거리, 규모에 따라 지진을 분류하고, 지자기 변동성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을 찾아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 결과 Table 1에서 지진이 관측소와 떨어진 거리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것과 같이 관측소반경 약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지진 6개가 모두 청양 관측소의 총 자기장 자료에서 변동성이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이에 따라 지진과 관측소와의 거리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관측소 100 km 이내에서 발생한 규모 3.0 이상의 지진에 대해서 셈블런스 분석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여러 지진들에 대한 일반화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특정 지진이 아닌 일정 기간 동안 일어난 모든 지진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진과 지자기장 변동성의 상관성을 찾는 방법으로 제시된 웨이블릿 기반의 셈블런스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3.0 이상의 모든 지진을 분석하여 분석 방법에 신뢰성을 얻고자 하였고, 변동성유무에 따라 지진을 분류하고 분류된 결과로부터 일정한 규칙을 찾고자 하였다.
  • 나머지 6개의지진이 이에 해당한다. 이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된 지진에 대한 요소 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Table 1에 분류된 지진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지진 발생 위치에 따른 변동 양상은 내륙과 해양으로 나누어 변동 양상이 상관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은 7개, 해안을 포함한 해양에서 발생한 지진은 20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이 발생할 때 어떤 것이 관측되는가? 지진의 전조 현상으로써의 지자기장 변동성에 대한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었다(Rikitake and Honkura,1985; Johnston, 1997). 지진이 발생할 때 지자기장의ULF (Ultra Low Frequency) 대역에서의 변동성이성공적으로 관측되고 있고(Kawate et al., 1998;Hayakawa et al.
대규모 지진에 대한 지자기장 변동 분석기술의 한반도에 대한 적용함에 있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어떤 노력이 있었는가? , 2009).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지자기 전달함수 분석을 통한 한반도 심부의 전기적 구조를 해석하기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Oh et al., 2002; Yang etal., 2002), 이를 지진 전조 현상 연구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었다(Yang et al., 2004; Oh, 2009).
시계열 자료를 분석에 어떤 기법이 많이 사용되는가?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모형화에 유용한 자기상관 이동 평균 기법(ARIMA; integrated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Cryer and Chan, 2010)이 많이 사용되고, 자료의 주기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푸리에 변환 등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 분석이 많이 사용된다. 지자기 자료는 시계열 자료이므로 위의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배경 잡음이 섞이거나 비정상상태(non-stationary)인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ooper, G.R.J., 2009, Wavelet-based semblance filtering. Computers and Geosciences, 35, 1988-1991. 

  2. Cryer J.D. and Chan K.-S., 2010, Time series analysis: With application in R. Springer, New York, USA, 491 p. 

  3. Harada, M., Hattori, K., and Isezaki, N., 2004, Transfer function approach to signal discrimination of ULF geomagnetic dat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9, 409-417. 

  4. Hatorri, K., Takahashi, I., Yoshino, C., Nagao, T., Liu, J.Y., and Shieh, C.F., 2002, ULF Geomagnetic and Geopotential measurement at Chia-Yi, Taiwan. Journal of Atmospheric Electricity, 22, 217-222. 

  5. Hattori, K., I. Takakhashi, C. Yoshino, N. Isezaki, H. Iwasaki, M. Harada, K. Kawabata, E. Kopytenko, P. Maltsev, V. Korepanov, O. Molchanov, M. Hayakawa, Y. Noda, T. Nagao, and S. Uyeda, 2004. ULF geo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Japan and some recent results associated with Iwateken Nairiku Hokubu Earthquake in 1998.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9, 481-494. 

  6. Hayakawa, M., Itoh, T., Hattori, K., and Yumoto, K., 2000, ULF electromagnetic precursors for an earthquake at Biak, Indonesia on February, 17, 1996.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 1531-1534. 

  7. Hayakawa, M., K. Hattori, and K. Ohta, 2007. Monitoring of ULF (ultra-low-frequency) geomagnetic variation associated with earthquakes, Sensors, 7(7), 1108-1122. 

  8. Johnston, M., 1997, Review of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ccompanying seismic and volcanic activity. Surveys in Geophysics, 18, 441-475. 

  9. Kawate, R., Molchanov, O.A., and Hayakawa, M., 1998, Ultra-low-frequency magnetic fields during the Guam earthquake of 8 August 1993 and their interpretation. Physics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105, 229-238. 

  10. Nordemann, D.J.R., Rigozo, N.R., Souza Echer, M.P., and Echer, E., 2008, Principal components and iterative regression analysis of geophysical series: Application to Sunspot number (1750-2004). Computers and Geosciences, 34, 1443-1453. 

  11. Oh, S., Yang, J., Lee, D.-K., and Nam, J.-C., 2002, Geomagnetic depth sounding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5, 437-444. (in Korean) 

  12. Oh, S., 2009, Variation analysis of geomagnetic data observed around the event of Andong earthquake (May 2, 2009).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683-691. (in Korean) 

  13. Oh, S., 2012. Geomagnetic variation and its relation to microearthquakes in the seismically inactive Korean peninsula. Geoscience Journal, 16(1), 47-58. 

  14. Oh, S. and Ji, Y., 2014, Analysis of Geomagnetic Variations Related to Earthquakes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orm 2009 until 2011.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429-438. (in Korea) 

  15. Rikitake, T. and Honkura, Y., 1985, Solid earth geomagnetism. Terra Science Publish, Tokyo, Japan, 384 p. 

  16. Strangand, G. and Nguyen, T., 1996, Wavelets and Filter banks. Wellesley-Cambridge Press, Wellesley, USA, 490 p. 

  17. von Frese, R.R.B., Jones, M.B., Kim, J.W., and Kim, J.H., 1997, Analysis of anomaly correlations. Geophysics, 62, 342-351. 

  18. Yang, J., Oh, S., Lee, D.-K., and Youn, Y.-H., 2002, A study on the difference arrow of GDS (Geomagnetic Depth Sounding) survey using 2-D MT (Magneto-Telluric) model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5, 567-573. (in Korean) 

  19. Yang, J., Lee, D.-K., Kwon, B.-D., and Youn, Y.-H., 2004, On the temporal variability geomagnetic field and transfer function at Icheon observato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604-614. (in Korean) 

  20. Yang, J., Lee, H., and Oh, S., 2009. A study on temporal variations of geomagnetic transfer functions and polarization values obtained at cheongyang geomagnetic observator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7), 824-83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