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BMI 변화와 혈압 변화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among Industr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9, 2015년, pp.6130 - 6141  

윤석한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검진결과를 토대로 BMI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및 고혈압 발생비율과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02년부터 20012년까지 11년간 정기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부터 69세까지의 산업장 근로자 28,249명(남자 25,548명, 여자 2,701명)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2002년부터 20012년까지의 BMI 구분에 따른 혈압의 평균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준년도(2002)로부터 10년간의 BMI의 변화량구분별로 혈압의 평균변화량을 산출하였으며, 정상혈압에서의 BMI 구분별 10년간의 고혈압의 년차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0년간의 평균혈압은 BMI가 저체중군에서 정상체중군, 비만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0년간의 고혈압 발생비율도 BM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10년(2002-20012)간의 BMI의 증가는 혈압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body mass index. A total of 28,249 industrial workers (male: 25,548, female: 2,701) who aged 30~69 years old, received regular medical check-up at least once per year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들의 11년 (2002-20012)간에 걸쳐 실시된 건강검진결과를 토대로 검진기간을 전기(2002-2005), 중기(2006-2009) 및 후기 (2010-2012)의 3기간으로 구분하여 BMI의 변화에 따른 혈압의 평균변화량 및 고혈압 발생비율의 경년적 추이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12년까지 11년간에 걸쳐 실시된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검진결과를 토대로 BMI 의 변화에 따른 혈압의 평균치 및 고혈압 발생율의 경년적 변화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1년간의 조사기간은 3기간(전기; 2002-2005, 중기; 2006-2009, 후기; 2010-2012)으로 구분하여 BMI 변화에 따른 혈압의 관련성을 횡단적(cross sectional)으로 분석하였으며, BMI 변화와 고혈압발생비율과의 관련성에 대해 종단적 (longitudinal)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11년 (2002-20012)간에 걸쳐 실시된 건강검진결과를 토대로 BMI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및 고혈압 발생비율과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산업장 근로자들의 11년간의 기본 건강검진결과를 3기간으로 구분하여 BMI의구분별 및 변화량별로 혈압의 변화량을 분석한 것으로 BMI의 변화로부터 혈압의 변화의 실태를 파악한 것이다. 그 결과, 각 연령대별 구분에서도 BMI가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SBP와 DBP의 평균치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최초검진시점(2002)의 BMI가 높은 군(25.
  •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11년(2002∼20012)간의 BMI 변화수준을 알아보고, BMI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만 30세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어떠한가? 한편,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최근 우리나라 만 30세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5.1%, 2008년 27.9%, 2009년 31.9%, 2010년 28.9%, 2011년 30.8%, 2012년 31.5%로 매년 30% 내외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50세 이상 고혈압환자의 비율은 남성에서 42.2%, 여성에서 35.8%에 달하고 있어 고연령층에서의 고혈압 유병률이 높음을 알 수 있다[14].
BMI구분별 본 10년간 고혈압발생의 년차별 추이가 남녀 모두 BMI가 높아 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나타내는 것은? 본 연구에서의 혈압 정상자의 BMI구분별로 본 10년간 고혈압발생의 년차별 추이는 남녀 모두 BMI가 높아 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년차별로 BMI가 증가됨에 따라 혈압의 비정상치가 나타날 위험비가 남녀 모두에서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한 Park[29]의 연구에서도 BMI의 증가에 따른 고혈압이 나타날 위험비는 남녀 모두 BMI가 증가함에 따라 SBP, DBP의 위험비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연구에서도 Yamagishi 등[32]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BMI가 21.
비만은 어떠한 질병을 야기하는가? 최근의 생활양상은 고 칼로리의 식이 섭취, 운동량의 부족, 과다한 스트레스 등 체형의 비만화를 초래하기 쉽게 되어가고 있으며, 일반 시민들에게는 비만이 건강문제를 야기하는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비만은 고혈압[5], 지질대사이상[6], 당 대사이상[7] 등의 여러 가지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으며, 뇌졸중[8], 당뇨병[9], 몇몇 종류의 암 등에서 이환율을 3배 이상 상승시키며[10], 모든 사망원인, 특히 관상동맥질환 등에 의한 사망률을 높이며[11], 평균수명을 단축시킨다고 [12,13]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67:968-97, 1983. DOI: http://dx.doi.org/10.1161/01.CIR.67.5.968 

  2. Kopelman.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635-43, 2000. 

  3. Hsieh SD, Yoshinaga H.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s in men-wasit/height ratio as a simple and useful predictor.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585-589, 1995. 

  4. Ko GTC, Chan JCN, Woo J, Lau E et al. Simple anthropometric index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nes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1:99, 1997. DOI: http://dx.doi.org/10.1038/sj.ijo.0800508 

  5. Dyer AR, Stamler J, Shekelle RB. Relative weight and blood pressure in four Chicago epidemiologic studies. J Chronic Dis, 35:897-908, 1982. DOI: http://dx.doi.org/10.1016/0021-9681(82)90084-4 

  6. Baumgartner RN, Roche AF, Chumlea WC. Fatness and far patterns: Associations with plasma lipids and blood pressures in adults, 18 to 57 years of age. Am J Epidemiol 126(4):614-628, 1987. 

  7. Hartz AJ, Rupley DC, Kalkohoff RD. Relationship of obesity to diabetes: influence of obesity level and body fat distribution. Prev Med, 12:351-357, 1983.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83)90244-X 

  8. Curb JD, Marcus EB. Body fat,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in Japanese men. Am J Clin Nutr, 53:1612S-1615S, 1991. 

  9. Chan JM, Rimm EB, Colditz GA. Obesity, fat distribution and weight gain as risk factors for clinical diabetes in men. Diabetes Care, 17:961-969, 1994.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17.9.961 

  10. Lew EA, Garfinkel L. Variations in mortality by weight among 750,000 men and women. J Chronic Dis, 32:563-576, 1979. DOI: http://dx.doi.org/10.1016/0021-9681(79)90119-X 

  11. Solomon CG, Manson JE. Obeity and mortality: review of the epidemiologic data. Am J Clin Nutr 66(4):1044S-1050S, 1997. 

  12. Manson JE, Stampfer MJ, Hemmekens CH. body weight and longevity. A reassessment. JAMA, 257:353-358, 1987. DOI: http://dx.doi.org/10.1001/jama.257.3.353 

  13. Yao C-H, Slattery MI, Jacobs DR. Anthropometric predi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total mortality: findings from the US Railroad Study. Am J Epidemiol, 134:1278-1289, 1991. 

  1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201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3. 

  15. Conner SL. The effect of age, body weight and family relationships on plasma lipoproteins and lipids in man, woman and children of randomly selected families. Circulation, 65:1290-1298, 1982. DOI: http://dx.doi.org/10.1161/01.CIR.65.7.1290 

  16. Nakura I.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in urban residents. Japan J Public Health, 52(7):607-617, 2005. 

  17. Park YJ, Lee WC, Yim HW, Park YM.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Korean J Prev Med, 40(6):454-460, 2007.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07.40.6.454 

  18. Lee SH, Hwang JS, Park HS. Prediction of adolescence overweight from childhood body mass index-7 year retrospective study of suburban 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Fam Med, 24:642-647, 2003. 

  19. Lee SL, Lee KY, Park TJ, et al. The lifestyle associated with weight gain and persistent ver weight for 2 years among hospital workers. J Korean Acad Fam Med, 26(11):680-685, 2005. 

  20. Kim KB, Ji CA, Kim CS, et al. Lifestyle in relation to increase in weight in Korean middle-aged men, J Korean Acad Fam Med, 29:102-107, 2008. 

  21.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22.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42(6):1206-1252,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23. Andrew LD, Robert JG, William BK.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the Framingham study (Framingham offspring Study). Pre Med, 16:235-251, 1987.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87)90087-9 

  24. Alan R, Dyer, Paul Elliott. On behalf of the INTERA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The INTERSALT study: Relations of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J of Human Hypertension, 3:299-308, 1989. 

  25. Mark LL, Adrienne C, William K, et al. Hihh-normal blood pressure progression to hypertension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Hypertension, 17:22-27, 1991. DOI: http://dx.doi.org/10.1161/01.HYP.17.1.22 

  26. Miura K. Predictors of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ten year follow-up study in a community. Japan J Public Health, 39(8):456-465, 1992. 

  27. Idzuno T, Yoshida K, Sugita M, et al. Significance of high normal blood pressure in occupational health care. Japan J Public Health, 43(1):3-8, 1996. 

  28. Suka M, Sugimori H, Iida Y, Yoshida K.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a longitudinal study of middle-aged Japanese male workers. Japanese J of Public Health, 48(7):543-550, 2001. 

  29. Park KR, Cho YC.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s and blood biochemical properties with BMI in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7):3072-3081,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7.3072 

  30. Sasaki M, Inagaki S, Fujii T, Toshinai K, Nakao C, Ueya E, Koseki S, Sato y, Haga S. Blood biochemical properties in male workers analysed according to body type. Japan Society for Occupational Health, 39:178-183, 1997. 

  31. Fukui A.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total plasma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n male adults. Japan Soc Occup Health, 119-124, 2000. 

  32. Yamagishi K, Hosoda T, Sairenchi T, Mori K, Tomita H, Nishimura A, Tanigawa T, Iso H. Body mass index and subsequent risk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population-based sample of Japanese. Japan J Publ Health, 50(11):1050-1057, 2003. 

  33. Ishikawa-Takata K, Ohta T, Moritaki K. Obesity, weight change, and risk for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Japanese men. Eur J Clin Nutr, 56:601-607, 2002. DOI: http://dx.doi.org/10.1038/sj.ejcn.1601364 

  34. Huang Z, Walter CW, JoAnn EM, et al. Body weight, weight change, and risk for hypertension in women. Ann Intern Med, 12:81-87, 1998. DOI: http://dx.doi.org/10.7326/0003-4819-128-2-199801150-00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