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제명 표목은 키워드 검색 환경에서 정교한 주제 브라우징과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주제 접근 도구에서 적용된 다양한 패싯 유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패싯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혼재된 주제와 패싯에 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연구에서는 OCLC FAST와 PRECIS 제2판과 시소러스의 구축 지침인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콜론 분류법 제7판, 블리스 서지 분류법 제2판, 국제십진분류법 제3판의 패싯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22개 패싯을 제안하였다. 상위 패싯으로 토픽, 사건, 장소, 시대, 개인명, 단체명, 표제명, 형식, 장르, 언어, 인물인 11개 패싯을 정의하고, 토픽 패싯은 하위에 토픽-사물/개체와 토픽-행동, 그리고 이 두 패싯의 하위로 부분, 종류, 전체, 속성, 물질, 수혜자, 산물, 부산물, 주체 패싯을 정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 heading is an elaborate access tool for subject browsing and searching in information retriev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licable facets to subject headings in Korea. First, the concepts of subject and the definitions of facets were investigated in the 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제 접근이란 무엇인가? 주제 접근은 분류기호나 주제명 표목, 디스크립터, 키워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사물명, 인물명 등을 이용하여 정보의 주제에 접근하는 것이 다.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개발된 다양한 주제 접근 도구 중에서 주제명표목표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전 주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제 어휘집이다.
주제명 표목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미국의 주제명 표목표의 사례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개발된 다양한 주제 접근 도구 중에서 주제명표목표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전 주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제 어휘집이다. 1898년 미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 List, 이하 LCSH)가 처음 작성된 이래 약 120년 동안 국가도서관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며, 구조화된 주제명을 통해 이용자의 주제 검색에 기여 해왔다(Dalrymple and Younger 1991; Franklin 2003; Jin 2008).
주제 접근이 주요 정보 탐색 방법으로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웹을 통한 정보 접근이 일반화되면서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탐색할 수 있는지가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주제 접근은 이용자가 특정 주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요 정보 탐색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최근 스스로 정보를 찾고 획득하는 도서관 이용자가 증가하고, 탐색 대상 정보도 서지 데이터에서 목차, 초록, 그리고 원문까지 확대되면서 도서관은 이용자에게 더 쉽고 정교한 주제 접근 방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태수. 1997. 주제명표목의 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4(1): 77-105.(Kim, Tae-Soo. 1997.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Subject Hea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4(1): 77-105.) 

  2. 남태우, 유광연. 2005. 블리스(Bliss)의 서지 분류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2): 57-85.(Nam, Tae-Woo and Yoo, Kwang-Yeon. 2005. "A Study on Bliss's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2): 57-85.) 

  3. 박지영. 2010.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77-89.(Park, Ziyoung. 2010. "Developing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Integrated with a Thesaurus for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3): 77-89.) 

  4. 백지원, 정연경. 2014.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31-51.(Baek, Ji-Won and Chung, Yeon-Kyoung. 2014. "A Study on Improving Access &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31-51.) 

  5. 손대형, 김태수. 1998. 패싯분류체계를 이용한 시소러스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제5 회 학술대회 논문집, 235-238.(Son, Dae-Hyung and Kim, Tae-Soo. 1998. "A Study on Thesaurus Construction Using Facet Classification." In Proceedings of the 5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5-238.) 

  6. 유영준. 2006. 고전 용어 시소러스의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415-434.(Yoo, Yeong-Jun. 2006.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415-434.) 

  7. 유영준. 2008. 신학 용어 분류를 위한 패싯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259-279.(Yoo, Yeong-Jun. 2008. "Establishing Facet for Classifying Theological Term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59-279.) 

  8. 이승민. 2010. 시소러스 통합을 위한 개념기반 패싯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1-22.(Lee, Seungmin. 2010. "Construction of the Concept-Based Faceted Framework for Thesaurus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1-22.) 

  9. 정연경. 2013. 한식 정보 조직을 위한 패싯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5-37.(Chung, Yeon-Kyoung. 2013. "A Study on Structure of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Organizing Korean Food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15-37.) 

  10. 황순희, 윤애선. 2005. 의미적 준거의 세목화를 고려한 과학기술 분야 시소러스 구축. 한국어 의미학, 18: 99-124.(Hwang, Soonhee and Yoon, Aesun. 2005. "Building Thesaurus for Science & Technology Domains with Specification of Semantic Standards." Korean Semantics, 18: 99-124.) 

  11. Aitchison, J., Gilchrist, A. and Bawden, D. 2000.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A Practical Manual. Chicago: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2. Anderson, J. D. and Hofmann, M. A. 2006. "A Fully Faceted Syntax for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3(1): 7-38. 

  13. Austin, D. 1984. PRECIS: A Manual of Concept Analysis and Subject Indexing. London: The British Library. 

  14. Beghtol, C. 1995. "'Facets' as Interdisciplinary Undiscovered Public Knowledge: S. R. Ranganathan in India and L. Guttman in Israel." Journal of Documentation, 51(3): 194-224. 

  15. Broughton, V. 2001. "Faceted Classification as a Basis for Knowledge Organiz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Bliss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as a Model for Vocabulary Management and the Creation of Multidimensional Knowledge Structures." The New Review of Hypermedia and Multimedia, 7(1): 67-102. 

  16. Broughton, V. 2006. "The Need for a Faceted Classification as the Basis of All Methods of Information Retrieval." Aslib Proceedings, 58(1/2): 49-72. 

  17. Broughton, V. 2010. "Concepts and Terms in the Faceted Classification: The Case of UDC." Knowledge Organization, 37(4): 270-279. 

  18.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05.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Standard Edition. London: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19. Cathleen, W. 1989. "Faceted Classification in the Art and Architecture Thesaurus." Art Documentation, Winter: 175-177. 

  20. Chan, L. M. 2005.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Principles and Application.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21. Chan, L. M. et al. 2001. "A Faceted Approach to Subject Data in the Dublin Core Metadata Record." Journal of Internet Cataloging, 4(1/2): 35-47. 

  22. Chan, L. M. and O'Neill, E. T. 2010. FAST, Faceted Application of Subject Termi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anta Barbara, California: Libraries Unlimited. 

  23. Chu, H. 2001.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Retrieval in the Digital Age. 장혜란 역. 2011. 디지털 시대의 정보 표현과 검색.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4. Dalrymple, P. W. and Younger, J. A. 1991. "From Authority Control to Informed Retrieval: Framing the Expanded Domain of Subject Acces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52: 139-149. 

  25. Franklin, R. A. 2003. "Re-Inventing Subject Access for the Semantic Web." Online Information Review, 27(2): 94-101. 

  26.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1. Functional Requirements for Subject Authority Data: A Conceptual Model. Hague, Netherland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online] [cited 2014. 7. 30.] 

  27. Jin, Q. 2008. "Is FAST the Right Direction For a New System of Subject Cataloging and Metadat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3): 91-110. 

  28. Langridege, D. W. 1989. Subject Analysis: Principles and Procedures. London: Bowker-Saur Ltd. 

  29. La Barre, K. 2010. "Facet Analysi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4: 243-284. 

  30. Leong, J. H. 2010. "The Convergence of Metadata and Bibliographic Control?: Trends and Patterns in Addressing the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of Providing Subject Access." Knowledge Organization, 37(1): 29-42. 

  31. Mixter, J. and Childress, E. R. 2013. FAST (Faceted Application of Subject Terminology) Users: Summary and Case Studies. Dublin, Ohio: OCLC Research. [online] [cited 2014. 8. 20.] 

  32. O'Neill, E. T. and Chan, L. M. 2003. "FAST (Faceted Application of Subject Terminology): A Simplified Vocabulary Based on the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IFLA Journal, 29: 6-12. 

  33. Pettee, J. 1946. Subject Headings: The History and Theory of the Alphabetical Subject Approach to Books. New York: H. W. Wilson Company. 

  34. Raju, A. A. N. 2007.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IME-1993) (Theory and Practice): A Self Instructional Manual. New Delhi: Ess Ess Publications. 

  35. Ranganathan, S. R. 1959. Elements of Library Classification. London: Association of Assistant Libraries. 

  36.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37. Richmond, P. A. 1981. Introduction to PRECIS for North American Usage. Littleton, Colorado: Libraries Unlimited. 

  38. Satija, M. P. and Singh, J. 2013. "Colon Classification: A Requiem."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 Technology, 33(4): 265-276. 

  39. Spietri, L. F. 1997. "The Use of Facet Analysis in Information Retrieval Thesauri: An Examination of Selected Guidelines for Thesaurus Construc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5(1): 21-37. 

  40. Spiteri, L. F. 1999. "The Essential Elements of Faceted Thesauri."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Quarterly, 28(4): 31-52. 

  41. Svenonius, E. 2000.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ambridge, Mass: MIT Press. 

  42. Taylor, A. G. 2004.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43. Vickery, B. C. 1960. Faceted Classification: A Guide to Construction and Use of Special Schemes. London: Aslib. 

  44. Walsh, J. 2011. "The Use of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in Digital Collections." Library Review, 60(4): 328-343. 

  45. Zavalina, O. L. 2012. "Subject Access: Conceptual Models, Functional Requirements, and Empirical Data." Journal of Library Metadata, 12: 140-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