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dispersants is known to be an effective solution to accelerate the natural dispersion and being an appropriate oil spill response strategy. By breaking up large oil chunks into small droplets, dispersants are generally intended to help reducing further oil exposures and slicks. Collecting p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원유도입경향은 HS호 유출사고로 인해 3종의 원유(UAE Upper Zakum, Kuwait Export & Iranian Heavy)가 주로 유출되었는데, 이는 국내 도입 원유 산지 중 수입량의 비중이 가장 큰 국가들의 원유목록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3종의 원유와 대표적 국내 유처리제 4종 및 국외 1종을 선택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태안 해상에서 발생한 HS호 유출유와 동일 조성의 3종 원유에 대해 국내 유처리제 4종의 효율성과 생태환경 영향성을 비교 ⋅ 평가하여 국내 유처리제 1종을 선정하고 국외 최다 실적용된 유처리제와 비교분석하여 국내 유처리제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유처리제 유화율 시험결 과에서 A유처리제는 어떤 결과를 보였는가? 2) 국내 A유처리제는 국외 Corexit 9500와의 비교에 서도 국내 유화기준과 공시어로 송사리를 이용한 생물 안전성 시험인 독성평가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3) A유처리제는 Corexit 9500에 비해 초기유화율과 생물안전성은 비교우위에 있으나 20분 이후부터 시간 별 유화율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장기 유화율 지속시간의 개선 연구가 필요하였다.  4) A유처리제의 탄화수소용제형 광유는 분산효과가 커서 독성성분의 농도분극 방지효과가 크고 유동점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수질배수기준이 5 mg/L 이하인 자 체독성이 있어 친환경 용제로의 대체가 필요할 것이다. 
해상 유출유는 환경 변화 및 풍화 등에 따라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수 년 전 태안 해상에서 허베이스피리트호(Hebei Spirit, 이하 HS호라 칭함) 사고로 유출된 원유가 에멀젼 (emulsion)을 형성하여 충청남도 및 전라남북도 해안과 도서지역에 광범위하게 표착되어, 수년 후 까지도 태 안 만에서 잔류 유출유가 발견되고 있다1) . 이처럼 해상 유출유는 환경 변화 및 풍화 등에 따라 물리⋅화학적 성상의 변화로 유류의 회수 및 유처리제 살포 등의 방 제기법 활용 시기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2) . 특 히, 안정하게 에멀젼화(emulsification)된 유류 역시 수 년에 걸쳐 광범위한 유출권역 내⋅외에 잔류하므로 해상은 물론 해안 방제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발생 하고 있다.
유처리제의 작용원리는 무엇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유처리제의 작용원리는 분산과 에멀젼 형성이라는 두 메커니즘의 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4) . 파도에 의해 해상에서 부유하고 있는 사고유의 유막이 깨지며 기름 방울을 형성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U. H. Yim, M. Kim, S. Y. Ha, S. Kim and W. J. Shim, "Oil Spill Environmental Forensics: the Hebei Spirit Oil Spill Cas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6, No. 12, pp. 6431-6437, 2012. 

  2. Q. Lin and I. A. Mendelssohn, "Impacts and Recovery of the Deepwater Horizon Oil Spill on Vegeta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Coastal Salt Marshes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46, No. 7, pp. 3737-3743, 2012. 

  3. M. Reed, O, Johansen, P. J. Brandvik, P. Daling, A. Lewis, R. Fiocco and R. Prentki, "Oil Spill Modeling to Wards the Close of the 20th Century: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Art",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Vol. 5, No. 1, pp. 3-16, 1999. 

  4. J. R. Clayton, J. R. Payne, J. S. Farlow and C. Sarwar, "Oil Spill Dispersants: Mechanisms of Action and Laboratory Tests",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 Vol. 68, No. 8, pp. 62, 1993. 

  5. J. Joeckel, A. H. Walker and D. Scholz, "Dispersant use Approval : Before, during and After Deepwater Horizon",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Vol. 11, No. 1, pp. 12, 2011. 

  6. H. J. Cho and C. W Ha,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ersant Use during the "Deepwater Horizon" In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18, No. 1, pp. 61-65, 2012. 

  7. M. Fingas, The Basics of Oil Spill Cleanup, CRC Press, pp. 10-16, 2012. 

  8. A. Almansoori,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Energy Policy on OPEC Oil Exports, Energy Policy, Vol. 67, No. 1, pp. 572-582, 2014. 

  9. C, D, Masters, D. H. Root and E. D. Attanasi, "World Petroleum Assessment and Analysis" World Petroleum Congress, Vol. 15, No. 5, pp. 1-14. 1994. 

  10. D. C. Podgorski, Y. E. Corilo, L. Nyadong, V. V. Lobodin, B. J. Bythell, W. K. Robbins and R. P. Rodgers, "Heavy Petroleum Composition: Compositional and Structural Continuum of Petroleum Revealed" Energy & Fuels, Vol. 27, No.3, pp. 1268-127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