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 유기농경지 토양의 유기물 공급이 토양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a Newly Reclaimed Soil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4, 2015년, pp.767 - 779  

안난희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옥정훈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조정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신재훈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남홍식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석철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규 개간지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퇴비와 녹비작물을 2년간 연용하였을 때 유기물에 의한 밭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축분 퇴비와 녹비를 연용한 처리구는 화학비료와 무비 처리구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세균과 사상균 개체수는 유기물을 연용 할수록 유기물 처리구와 화학비료 그리고 무비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 퇴비와 녹비 연용으로 토양 미생물체량은 모든 처리구가 증가하였으며 NPK와 무비구에 비해 퇴비, 녹비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 연용에 의한 토양미생물 군집의 기능적 다양성 분석에서 가축분 퇴비, 녹비 처리구가 화학비료나 무비구에 비해 기질 이용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기물 처리구가 화학비료나 무비구에 비해 높은 종 다양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서 제2주성분에 의해 유기물 처리구와 그렇지 않은 화학비료, 무비구로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icrobial activities and diversities in a newly reclaimed soil. Soil chemical properties, population of microbe, microbial biomass, and properties of microbial community were investigated under 4 different treatment (animal manure compost+green manure, chemical fertilizer, and without fertili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규 개간지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퇴비와 녹비작물을 2년간 연용하였을 때 유기물에 의한 밭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축분 퇴비와 녹비를 연용한 처리구는 화학비료와 무비 처리구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규개간농경지를 대상으로 하여 가축분 퇴비와 녹비작물을 2년간 연용하였을 때 유기물에 의한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비 작물은 어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 1999). 다양한 유기물원 중에 녹비 작물은 토양 물리성 개선과 유기물 공급뿐만 아니라 후작물에 대한 질소공급원으로 활용가능하여 토양의 건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onymous. 1991; Thorup-Kristensen, 1994).
Biolog Microplate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Biolog Microplate는 1991년에 처음 이용하기 시작하여 현재 빠르고 간편하게 배양이 가능한 세균의 기능적 다양성을 조사하는 토양 미생물 분석법으로 활용되고 있다(Garland and Mills, 1991). 서로 다른 31개의 탄소원 가진 Ecoplate는 토양 미생물 군집의 생리적 다양성 차이 즉 토양 미생물 군집의 탄소기질 이용성(carbon substrates utilization pattern) 차이를 보여 준다(An et al.
신규 개간지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퇴비와 녹비작물을 2년간 연용하였을 때, 유기물이 밭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신규 개간지 유기농경지에서 가축분퇴비와 녹비작물을 2년간 연용하였을 때 유기물에 의한 밭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축분 퇴비와 녹비를 연용한 처리구는 화학비료와 무비 처리구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세균과 사상균 개체수는 유기물을 연용 할수록 유기물 처리구와 화학비료 그리고 무비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 퇴비와 녹비 연용으로 토양 미생물체량은 모든 처리구가 증가하였으며 NPK와 무비구에 비해 퇴비, 녹비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 연용에 의한 토양미생물 군집의 기능적 다양성 분석에서 가축분 퇴비, 녹비 처리구가 화학비료나 무비구에 비해 기질 이용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기물 처리구가 화학비료나 무비구에 비해 높은 종 다양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서 제2주성분에 의해 유기물 처리구와 그렇지 않은 화학비료, 무비구로 분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N. H., S. M. Lee, J. R. Cho, B. M. Lee, J. H. Ok, J. H. Shin, and S. C. Kim. 2014.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estimated by Biolog ecplate and DGGE. Korea J. Soil Sci. Fer. 47: 451-456. 

  2. Anonymous. 1991. Organic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and indications referring thereto o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stuff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198, EU, pp. 1-15. 

  3. Bolton, H. Jr., L. F. Elliot, and R. I. Papendick. 1985. Soil biomass and selected soil enzyme activities: effect of fertilization and cropping practices. Soil Biol. Biochem. 17: 297-302. 

  4. Bottner, P. 1985. Response of biomass to alternate moist and dry conditions in a soil incubated with 14C-and 15N-labelled plant material. Soil Biol. Biochem. 17: 329-337. 

  5. Bradley, R. I., B. Shipley, and C. Beaulieu. 2006. Refining numerical approaches for analyzing soil microbial community catabolic profiles based on carbon source utilization patterns. Soil Biol. Biochem. 38: 629-632. 

  6. Crecchio, C., M. Curci, R. Mininni, P. Ricciuti, and P. Ruggiero. 2001. Short term effects of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 amendments on soil carbon and nitrogen content, some enzyme activities and genetic diversity. Biol. Feril. Soils. 34: 311-318. 

  7. Elfstrand, S., K. Hedlund, and A. Martensson. 2007. Soil enzyme activities,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 after 47 years of continuous green manuring. Applied soil Ecology. 35: 610-621. 

  8. Garland, J. L. and A. L. Mills. 1991.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terotrophic microbial communities on the basis of patterns of community level sole carbon source utilization. Appl. Envioron. Microbiol. 57: 2351-2359. 

  9. Goyal, S., M. M. Mishira, I. S. Hooda, and R. Singh. 1992. Organic matter-microbial biomass relationships in field experiments under tropical condition: effect of inorganic fertilization and organic amendments. Soil Biol. Biochem. 24: 1081-1084. 

  10. Hirouki, S., K. Atsuhiko, and T. Shigehito. 2007. Effect of cattle manure and green manure on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upland soil determin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Microb. and Environments. 22: 327-335. 

  11. Landeler, E., M. Stemmer, and E. M. Klimanek. 1999. Response of soil microbial biomass, urease and xylanase within particle size fractions to long-term soil management. Soil Biol. Biochem. 31: 261-273. 

  12. Lee, Y. H., S. G. Lee, S. H. Kim, J. H. Shin, D. H. Choi, Y. J. Lee, and H. M. Kim. 2006. Investigation of the ut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organic farms in korea. 14: 55-67. 

  13. Lee, Y. H., Y. K. Son, B. K. Ahn, S. T. Lee, M. A. Shin, W. S. Kim, W. D. Song, and Y. S. Kwak. 2011(a). Impacts of organic farming system on the soil microbial population in uplan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4: 819-823. 

  14. Lee, Y. H. and S. K. Ha. 2011(b).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i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 J. Soil Sci. Fer. 44: 242-247. 

  15. Mazzarino, M. K., L. Szott and M. Jimenes. 1992. Dynamics of soil total C and N, microbial biomass, and water-soluble C in tropical agro-ecosystem. Soil Biol. Biochem. 25: 205-214. 

  16. Pascual, J. A., C. Garcia, T. Hernandez, J. L. Moreno, and M. Ros. 2000. Soil microbial activity as a biomarker of degredation and remedation process. Soil Biol. Biochem. 32: 1877-1883. 

  17. Peacock, A. D., M. D. Mullen, D. B. Ringelberg, D. D. Tyler, D. B. Hedrick, P. M. Gale, and D. C. White. 2001. Soil microbial community response to dairy manure or ammonium nitrate application. Soil Biol. Biochem. 33: 1011-1019. 

  18. Recel, M. R. 1994.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use of microbio and organic fertilizers in agriculture production. RDA & FFTC. 

  19.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Analyses of soil and plant.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0.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The standard of fertilizer application crop species.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1. Shindo, H. 1992. Effect of continuous compost application on the activities of protease, ${\beta}$ -acetylglucosmidase, and adenosine deaminase in soils of upland field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enzyme activities and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nireogen. Jpn. J. Soil. Sci. Plant Nutr. 63: 190-195. 

  22. Suh, J. S., J. S. Kwon, and H. J. Noh. 2010. Effect of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Korea J. Soil Sci. Fer. 43: 987-994. 

  23. Thorup-Kristensen, K. 1994. The effect og nitrogen catch crop species on the nitrogen nutrition of succeeding crops. Fertilizer Research 37: 227-234. 

  24. Vance, E. D., P. C. Brookes, and D. S. Jenkinson. 1987. An extraction method for measuring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Soil Biol. Biochem. 19: 703-707. 

  25. Wang, G., J. Liu, X. Qi, J. Jian, U. Wang, and X. Liu. 2008. Effects of fertilization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in a black soil of Dehui resgion estimated by Biolog and PCR-DGGE methods. Acta Ecologica Sinica. 28: 220-226. 

  26. Weon, H. Y., J. S. Kwon, Y. K. Shin, S. H. Kim, J. S. Suh and W. Y. Choi. 2004. Effect of composted pig manure application on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of soil unde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37: 109-115. 

  27. Zhang, Y. S., G. J. Lee., J. H. Joo., J. T. Lee., J. H. Ahn, and C. S. Park. 2007. Effect of Winter Rye Cultivation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Crop production in Alpine Upland in Korea. Kor. J. Environ. Agric. 26: 300-3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