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도의 유사수지 분석을 통한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 하상변동 분석(4대강살리기 사업 이전)
Natural and Artificial Bed Change Analysis through Sediment Budget Analysis of Nakdong River Channel (before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 2015년, pp.1 - 8  

손광익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지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여 년간의 낙동강 하상변동 자료와 준설 및 골재채취 자료, 그리고 지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량 관측 자료 및 수치모의 자료 등을 조사, 검토, 분석하여 4대강살리기 사업 전의 낙동강 하도에서의 개괄적인 유사수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4대강살리기 사업 전 낙동강 하도의 유사수지분석 결과, 유역에서 하도로 유입된 유사량은 $2,100,000m^3/yr$이며 낙동강으로부터 유출 또는 준설된 유사유출 총량은 $10,180,000m^3/yr$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사수지 분석을 통해 산정된 낙동강 하도에서의 하상변동량은 $-8,080,000m^3/yr$으로 하상이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 하도측량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낙동강 본류의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인 하상변동량($-8,300,000m^3/yr$)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 features of sediment budget for the Nakdong River before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ere analyzed using surveying, dredging, and mining data for the past 20 years, as well as sediment data measured from the tributaries, and numerical modeling, etc. As a result of the sediment budg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사량을 검토하여 유사관련 자료들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유역의 유사수지 특성을 분석·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낙동강의 하도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들은 준설량과 지형측량 자료 등이 제공되는 일부 구간에 한정되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여 년간의 준설자료 그리고 지류로부터의 유사유입량 등의 분석 자료를 조사, 검토하여 4대강살리기 사업 전의 낙동강 하도에서의 개괄적인 유사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하상변동 수지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유사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하상변동 수지 분석 결과를 과거 실측 하상변동 자료에 의해 추정되는 하상변동량과 최종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 또한 유사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하상변동 수지 분석 결과를 과거 실측 하상변동 자료에 의해 추정되는 하상변동량과 최종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 유역 상류로부터의 지류를 통해 하도로 유입되는 유사 유입량, 즉 토사유출량(SY)을 산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 반변천, 송야강, 덕천강, 함안천 및 소하천 등을 제외한 12개 지류유역(Table 1)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8년까지 10년 기간에 대한 토사유출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MOLIT(2013)는 12개 유역에 대한 SWAT 분석을 통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 제시하였으나(Table 1의 SWAT column) 실측값이 있는 지점과 비교해 봤을 때 그 규모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값에 비하여 다소 작게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의 하도 내 유사수지 특성에 관해 공인된 통계자료가 없는 이유는? 낙동강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충적하천으로 대부분의 국가하천 구간에 걸쳐 하상이 모래로 이루어져 있는 비교적 안정상태의 하천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낙동강의 하도 내 유사수지 특성에 관해서는 준설 및 골재채취 등 관련 자료의 의무 보존기간이 짧고 현장에서의 골재채취량이 명확히 집계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공인된 통계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기초자료 부족은 하천의 수리학적 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해석결과의 검증을 곤란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정량적인 하천 관리방안 수립을 어렵게 한다.
낙동강의 하도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들이 준설량과 지형측량 자료등이 제공되는 일부 구간에 한정되어 수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낙동강의 하도 내 유사수지 특성에 관해서는 준설 및 골재채취 등 관련 자료의 의무 보존기간이 짧고 현장에서의 골재채취량이 명확히 집계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공인된 통계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기초자료 부족은 하천의 수리학적 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해석결과의 검증을 곤란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정량적인 하천 관리방안 수립을 어렵게 한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이 광범위하고 단기적인 하천개수 공사는 하천대응에 따른 2차적 하천환경 변화를 유발할 것이 확실시 되나 이러한 기초자료 부재는 우리하천의 미래에 대한 이해와 예측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낙동강의 하도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들은 준설량과 지형측량 자료 등이 제공되는 일부 구간에 한정되어 수행되어 왔다.
하천의 신뢰성 있는 기초자료 부족은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가? 그러나 이러한 낙동강의 하도 내 유사수지 특성에 관해서는 준설 및 골재채취 등 관련 자료의 의무 보존기간이 짧고 현장에서의 골재채취량이 명확히 집계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공인된 통계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기초자료 부족은 하천의 수리학적 변화 및 하상변동에 대한 해석결과의 검증을 곤란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정량적인 하천 관리방안 수립을 어렵게 한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이 광범위하고 단기적인 하천개수 공사는 하천대응에 따른 2차적 하천환경 변화를 유발할 것이 확실시 되나 이러한 기초자료 부재는 우리하천의 미래에 대한 이해와 예측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National Index (2014). www.index.go.kr 

  2. Ji, U., Kim, T., Lee, E., Ryoo, K., Hwang, M., and Jang, E. (2014). "Analysis of Sediment Discharge by Longterm Runoff in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SWA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3, No. 4, pp. 723-735. 

  3. Kim, W., Kwon, S.I., Kim, D.G., and Kim, Y.J. (2009). "History of Hydrologic Investigation in Modern Korea."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9, pp. 362-365,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Yongpyung, Korea. 

  4. Lee, J.K. (2009). Fragmentary Thought about Problems of Nakdong River Dredging and Water Quality Pollution (in Korean). http://konect.eduhope.net. 

  5. MLTM(2011). Hydrologic Investigation Report for 2010 (in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6. MLTM (2010). Implementation Design for Nakdong River (in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7. MOLIT (2013). A Study on Sediment Management Planning for Channel Stabilization(in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8. MOC (1981). The basic plan of stream-improvement for Nakdong River (in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9. MOC (1983). The basic plan of stream-improvement for Nakdong River (in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10. MOC (1992). Research of sediment yield rate for dam design (in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11. MOC (1993). The basic plan of stream-improvement for Nakdong River (in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12. MOCT (2004). Nakdong River Basin Investigation Report (in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3. Woo, H.S. (2001). River Hydraulics. Cheong Moon Gak Publisher, Korea. 

  14. Yu, K. (2011). "New Concept of Average River Bed and General Trend of River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Th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6, pp. 486-4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