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RF/HYSPLIT 모델을 이용한 고리원전 인근 국지바람 패턴에 따른 방사성물질 대기확산 특성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using WRF/HYSPLIT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1, 2015년, pp.81 - 96  

안혜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강윤희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송상근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방진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환경보건센터) ,  김유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i.e. $^{137}Cs$) related to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KNPP) were studied using WRF/HYSPLIT model. The cluster analysis using observed winds from 28 weather stations during a year (2012)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패턴별 서로 다른 국지바람 특성은 방사성물질의 다양한 확산과정과 농도분포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SPLIT 4 모델을 사용하여 각 국지바람 패턴별 137Cs의 대기확산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원전을 중심으로 한 인근지역의 지리 · 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바람 특성을 보기 위하여 고리원전 중심 반경 60 km 영역을 대상지역(120 km × 120 km)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전 중 인근에 부산, 울산과 같은 대도시가 존재하여 만일의 원전사고 시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리원전을 대상으로 국지바람 및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원전 인근지역(고리원전 중심반경 60 km 이내)에 위치한 28개 기상관측지점에서 수집된 1년간(2012년) 바람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에서 발생하는 국지바람 패턴을 파악하였으며, 가상의 방사성물질(137Cs) 유출을 가정하여 각 국지바람 패턴별 대표 사례일에 대한 기상-대기확산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동연안에 위치하고 대도시와 인접하여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고리원전 인근지역(고리원전 중심 반경 60 km 이내 지역)을 대상으로 국지 바람 패턴에 따른 방사성물질(137Cs)의 대기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역의 빈도 높은 국지바람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대상지역 내 1년간(2012년) 얻어진 바람자료를 토대로 SAS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지바람 패턴별 대표 사례일에 대한 WRF/HYSPLIT 4 모델링을 통하여 137Cs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는 무엇인가? 방사성물질이 대기 중에 방출될 경우, 물리/화학/생물학적 전이과정(Lee 등, 1997)과 동시에 지역의 기상조건(바람, 강수, 안정도, 혼합고 등)에 따라 확산 및 침적과정을 거치면서 방사성물질 농도는 재분포하게 된다. 방출된 시점 이후의 기상환경에 따라 같은 양의 방사성물질이라도 확산범위와 농도수준에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지역의 바람조건(풍속과 풍향)은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이다(Lee 등, 1997; Srinivas 등, 2012). 따라서 원전 인근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지바람 특성과 그에 따른 공기괴의 순환 과정에 대한 이해는 단기간(1 2일)의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을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다.
국가차원에서 행하는 다양한 방사능 방재・방호 활동은 무엇인가?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 중대사고의 발생가능성은 관련 종사자 뿐 아니라 원전인근 지역주민들에게도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방사능방재 훈련, 현장방사능방재지휘센터 운영, 환경방사능 감시와 같은 다양한 방사능 방재・방호를 위한 노력을 국가차원에서 기울이고 있으나(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2012), 만일의 원전재난 발생으로 인한 방사성물질의 방출시, 신속한 대책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원전 인근지역에 대한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 및 피해 예측연구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국내 원전이 연안에 위치하며,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원전인근의 기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국내 원전은 냉각수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동해와 서해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상 인근에 크고 작은 산지지형이 위치하는 곳이 많다. 이에 원전인근 지역에서는 해륙풍, 산곡풍 등과 같은 다양한 국지 풍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동시에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계절별 종관기상의 차이로 연중 다양한 국지바람의 시·공간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 예측에 있어 지역적 편차가 큰 지형과 다양한 국지바람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상세 바람장을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기상모델과 기상/배출 조건을 입력받아 오염물질의 대기 중 거동을 수치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대기확산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H. Y., Kang, Y.-H., Bang, J.-H., Song, S.-K., Kim, Y.-K., 2014, Comparison of CALPUFF and HYSPLIT for predicting radioactive substance dispers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23, 60-64. 

  2. Borge, R., Alexandrov, V., Jose del Vas, JLumbreras, J., Rodriguez, E., 2008, A comprehensiv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RF model for air quality applications over the Iberian Peninsula, Atmospheric Environment, 42, 8560-8574. 

  3. Draxler, R. R., Hess, G. D., 1997, Description of the HYSPLIT_4 modeling system, NOAA Tech. Memo ERL ARL-224, NOAA Air Resource Laboratory, Silver Spring, MD, 24. 

  4. Eder, B. K., Davis, J. M., Bloomfield, P., 1994, An automated classification scheme designed to better elucidate the dependence of ozone on meteorolog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 1182-1199. 

  5. Hong, S.-Y., Lim, J.-O. J., 2006, The WRF Single -Moment 6-class Microphysics scheme (WSM6),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2(2), 129-151. 

  6. Hong, S.-Y., Noh, Y., Dudhia, J., 2006,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 explicit treatment of the entrainment processes, Monthly Weather Review, 134, 2318-2341. 

  7. Hwang, M.-K., Kim, Y.-K., Oh, I.-B., Lee, H. W., Kim, C.-H., 2007,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representative ozone distribu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sea breeze from different synoptic winds over the coastal urban area in Korea,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7, 1480-1488. 

  8. Jeong, J.-H., Oh, I.-B., Ko, D., Kim, Y.-K., 2011,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wind fields around the Pohang using cluster analysis and detailed meteorological mode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6), 737-753. 

  9. Kain J. S., 2010,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an updat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3, 170-181. 

  10. Kim, C.-H., Song, C.-K., 2003,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ing intercomparison: Internal versus foreign modeling results on the nuclear spill ev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3), 249-261. 

  11. Kim, C.-H., Song, C.-K., Lee, S.-H., Song, S.-K., 2008, Simulating mesoscale transport and diffusion of radioactive noble gases using the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99, 1644-1652. 

  12.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007, Radiological dose assessments through the atmospheric environment. KAERI/RR-2769/2006,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3.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2012, 2011 Nuclear safety yearbook, 11-1410000-00273-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4. Korsakissok, I., Mathieu, A., Didier, D., 2013, Atmospheric dispersion and ground deposition induced by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 local-scale simulation and sensitivity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70, 267-279. 

  15. Kryza, M., Werner, M., Dore, A. J., Vieno, M., Blas, M., Drzeniecka-Osiadacz, A., Netzel, P., 2012, Modelling meteorological conditions for the episode (December 2009) of measured high PM10 air concentrations in SW Poland - application of the WRF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 and Pollution, 50, 41-52. 

  16. Lee, G.-B., Lee, M.-C., Song, Y.-I., 1997, A study on mesoscale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particles released from nuclear power pla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2(4), 273-288. 

  17. Malwer, E. J., Taubman, S. J., Brown, P. D., Iacono, M. J., Clough, S. A.,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16663-166682. 

  18. Miglietta, M. M., Thunix, P., Georgieva, E., Pederzoli, A., Bessagnet, B., Terrenoire, E., Colette, A., 2012, Evaluation of WRF model performance in different European regions with the DELTA-FAIRMODE evaluation too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 and Pollution, 50, 83-97. 

  19. Na, M.-G., Lee, G.-J., 1998, A study on the diffusion of gaseous radioactive effluent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3(4), 251-257.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Studies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quality modeling, NIER-SP2013-210. 

  21. Park, J.-G., Lee, D.-K., 1998, Cluster analysis and development mechanism of explosive cyclones in East Asi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4(4), 523-547. 

  22. Skamarock, W. C., Klemp, J. B., Dudhia, J., Gill, D. M., Baker, D., Duda, M. G.,, Huang, X., Wang, W., Powers, J. G.,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TN-475+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Colorado, USA. 

  23. Srinivas, C. V., Venkatesan, R., 2005, A simulation study of dispersion of air borne radionuclides from a nuclear power plant under a hypothetical accidental scenario at a tropical coastal site, Atmospheric Environment, 39, 1497-1511. 

  24. Srinivas, C. V., Venkatesan, R., Bskaran, R., Rajagopal, V., Venkatraman, B., 2012, Regional scale atmospheric dispersion simulation of accidental releases of radionuclides from Fukushima Dai-ichi reactor, Atmospheric Environment, 61, 66-84. 

  25. Stohl, A., Seibert, P., Wotawa, G., Arnold, D., Burkhart, J. F., Eckhardt, S., Tapia, C., Vargas, A., Yasunari, T. J., 2012, Xenon-133 and caesium-137 releases into the atmosphere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determination of the source term, atmospheric dispersion, and deposi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 2313-2343. 

  26. Suh, K.-S., Kim, E.-H., Han, M.-H., 2002, Development of long-rang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against a nucle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7(3), 171-179. 

  27. Thaning, L., Baklanov, A., 1997, Simulation of the atmospheric transport and deposition on a local/mesoand regional scale after hypothetical accidents at the Kola nuclear power plant,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 199-210. 

  28. Wilks, D. S., 1995,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 Academic Press, 419-4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