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근거이론적 접근
Professional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A Grounded Theory Approach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64 - 73  

권진옥 (부산광역시교육청 평생교육체육과)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하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한대동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보건교육에 대한 현장의 경험에 근거한 시각을 제공하고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행동과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직업정체성의 유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눈덩이표집법에 의해 편의추출된 초등학교 보건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반복적이고도 순환적으로 시행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도형화의 단계를 거쳤다. 결과 연구결과 15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핵심범주는 '간호를 베풀며 교사로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은 '보건교육중시형', '간호-교육 병행형', '간호제공위주형'의 3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으며, 참여자별로 한 가지의 유형으로 파악되지 않고, 세 유형이 조금씩 혼합되어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명확한 보건업무의 해석이 필요하며, 보건교사를 지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둘러싼 불평등한 제도 개선 즉 성과급제도와 승진 제도에 대해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were conducted from July 2010 to August 2012. Qualitative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er including transcrip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생활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교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내면의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직업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며, 그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가능하다.
  • 보건교육 후에 변화되어 가는 학생들의 모습으로 보람을 느끼고 보건수업에 전문성을 가져오기 위해 수업준비에 열정을 쏟으며 몰입하기도 하였다. 많은 역할도 즐겁게 수용하고 책무에 소극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주도적으로, 자율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등 간호-교육병행형은 간호를 베풀며 교육자로 살아가고자 간호사의 전문성과 교사의 전문성을 조화롭게 유지하고자 하였다.
  •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초기 만남에서 연구 참여자와의 신뢰 형성에 주력하였고 심층 면담 자료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종 관련 문서들을 수집하였다. 면담이 끝난 후에는 참여자의 태도와 특징적인 행동 그리고 면담 도중 특정 내용이나 생소한 단어 등을 메모하였으며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질문, 참여자의 부탁, 정확한 연락처 등에 대해 기록해 두었다.
  •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을 탐색한 질적연구이다. 근거이론은 상징적상호작용에 근거하여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직관력을 제공하고 이해를 강화함으로써 인간의 행위와 상호작용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해주며, 그것을 둘러싼 과정에 대한 추상적 개념화와 이론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질적 연구방법이다(Strauss & Corbin, 199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교사가 겪는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의 경험을 탐색하여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을 토대로 개념적 실체를 파악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핵심범주, 즉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은 ‘간호를 베풀며 교사로 살아가기’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을 그들의 입장과 관점에서 심층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보건교육에 대한 현장의 경험에 근거한 시각을 제공하고 보건교사의 행동과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직업정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사 역할이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이유는? 보건교사는 학생과 교직원들이 건전한 건강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NLIC], 2010). 이러한 보건교사의 역할은 간호처치라는 의료행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 전체의 보건에 대한 이해와 태도의 변화를 추구하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최근 학생들의 비만이 증가하고(Sung, Yoon, & Kim, 2013), 매체 중독(Koo, 2013), 성폭력, 흡연, 자살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Song & Shin, 2014), 학생들의 건강관리와 보건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보건교사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Green & Reffel, 2009; Oh, Gang, & Lee, 2012).
보건교사의 역할은? 보건교사는 학생과 교직원들이 건전한 건강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NLIC], 2010). 이러한 보건교사의 역할은 간호처치라는 의료행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 전체의 보건에 대한 이해와 태도의 변화를 추구하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초등 보건교사가 직업정체성에 혼란을 느낄 경우 일어나는 일은? 교사의 직업정체성은 그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과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점에서 중요하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정체성 혼란이나 낮은 자존감은 곧 학교보건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학생들의 건강과 학교교육을 저해하는 상황을 유발시킬 수 있다(Kim, 2009; Oh & Kwon, 2010). 따라서 보건교사가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정체성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학교보건의 주체인 보건교사를 이해하고 학교보건의 방향을 바로잡기 위한 필수적인 요청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 S. (2013, December 16). Parliamentary passage on legisla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promotion to vice-principal. EduYonhap News. Retrieved December 10, 2014, from http://www.eduyonhap.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4&no14919 

  2. Green, R., & Reffel, J. (2009). Comparison of administrator's and school nurses' perception of the school nurse role.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5, 62-71. 

  3. Guba, E. G., & Lincoln, Y. S. (1989).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4. Kang, I. S., Cho, S. Y., & Jung, H. J. (2010).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school nurses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 286-295. 

  5. Kim, J. H. (2009).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the work satisfa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ma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 Kim, J. H. (2012).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iency focused on school health teachers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7. Kim, K. K., Yoon, B., & Cheon, M. S. (2011). The effects of school health teach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9(2), 22-42. 

  8. Koo, H. Y. (2013).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media addiction on television addiction, internet addition, cellular addiction,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4), 270-281.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70 

  9. Kwon, J. O., & Oh, J. (2011).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in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36-43. 

  10. Kwon, S. J., Kim, N. H., Kim, Y. H., Park, N. H., Yang, M., Lee, K. H., et al. (2010). School Health. Paju: Soomoonsa. 

  11. Lee, D., & Kim, Y. (2012). An inquiry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2), 1-26. 

  12. Lee, J. H., & Lee, B. S. (2010). Self-rol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4), 398-408.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4.398 

  13. Lee, J. H., & Lee, B. S. (2014). Role adapt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Establishing their own posi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3), 305-316.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305 

  14. Libbus, M. K., Bullock, L. F. C., Brooks, C., Igoe, J., Beetem, N., & Cole, M. (2003). School nurses: Voices from the health room. Journal of School Health, 73(8), 322-324.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03.tb06590.x 

  15. Ministry of Education. (2013). Job training guide: An expectant of new regulation appointment. Retrieved December 10, 2014, from http://www.mest.go.kr/newsearch/search.jsp. 

  16. 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2010).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chool health rules. Seoul: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17. Oh, J., & Kwon, J. O. (2010).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41-350.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3.341 

  18. Oh, K., Gang, M., & Lee, S. (2012).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6(1), 60-71.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60 

  19. Park, K. S., & Bae, E. K. (2012). A Delphi study of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1). 1-12. 

  20. Song, H. S., & Shin, H. S. (2014). A predictive model of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 1-10. http://dx.doi.org/10.4094/chnr.2014.20.1.1 

  21. Song, Y. H. (2011). A study on support staffs in large class schools based on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2.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London, UK: Sage Publications. 

  23. Sung, K. S., Yoon, Y. M., & Kim, E. J. (2013).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4), 262-269.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62 

  24. Yang, S. O., Kwon, M. S., Jeong, G. H., & Lee, S. H. (2009).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96-104. 

  25. Yeo, S. Y., Kim, Y. S., & Kim, H. S.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performance based pay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4(2), 14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