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참치심장 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Tuna Hear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원문보기

KSBB Journal, v.30 no.6, 2015년, pp.326 - 331  

김민지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배난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박지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선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una heart water extract (THWE) was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effect was detected by the cell proliferation and the production levels of nitric oxid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참치 부산물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는 참치 정소 핵산 복합물질이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19], 참치 지느러미 추출물의 암세포 독성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20], 참치 자숙액의 항산화 활성에 감마선 조사가 미치는 영향 [21] 및 항염증 활성 [22]등 일부만이 보고가 되고 있어 다른 부산물에 대한 면역생리활성을 알아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치 부산물의 하나인 참치심장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LPS로 활성화 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매개물질들의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항염증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이는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성장이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염증반응 및 면역적 자극에 의해 대량생산될 경우 T cell을 활성화 시키고 B cell을 성숙시켜 증상을 악화시킨다 [42]. 본 연구에서는 염증반응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에 미치는 THWE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로부터 분비된 사이토카인의 분비량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THWE를 농도별 (0.
  • 본 연구에서는 참치심장 물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 (0.1, 1, 10, 50, 100 μg/mL)에서 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한 RAW 264.7 세포에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후, 배양액에 griess 시약을 반응시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치심장 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염증 매개성 물질들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S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참치심장 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출물의 최고 농도인 100 μg/mL에서 32%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THWE 의 최고 농도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00 μg/mL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은 무엇인가? 염증이란 오염물질, 내독소, 세균감염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비정상적인 세포분열 등의 발생을 방어하기 위한 내부 기작으로 조직의 손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일어나는 필수적인 반응이다 [1]. 인체는 정상적으로 염증 반응이 발생할 경우에는 염증촉진성 매개체 (pro-inflammatory)의 생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고 항염증성 매개체는 증가되며 체내 염증반응이 스스로 제한되는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2].
참치 부산물을 회수, 이용하는 방법의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어획된 참치는 주로 통조림으로써 제조되어 이용되는데 참치가 통조림으로 가공될 때, 자숙액, 꼬리, 심장, 혈합육, 복육, 내장, 두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산물들이 발생되며 이는 전체 원료의 30~35% 정도를 차지한다 [18]. 최근, 통조림의 제조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되는 부산물의 양이 많아져 폐기물로 인한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회수, 이용하는 방법의 개발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참치 부산물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는 참치 정소 핵산 복합물질이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19], 참치 지느러미 추출물의 암세포 독성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20], 참치 자숙액의 항산화 활성에 감마선 조사가 미치는 영향 [21] 및 항염증 활성 [22]등 일부만이 보고가 되고 있어 다른 부산물에 대한 면역생리활성을 알아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적절한 염증반응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7과 같은 대식세포 또는 단핵구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외 막에 존재하는 내독소인 lipopolysaccharide (LPS)의 자극에 의해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및 IL-6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과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를 비롯한 여러 염증매개 인자의 분비를 촉진한다 [4]. 염증반응은 인체 내에서 필수적인 반응이나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적절한 염증반응은 세포 성장과 발달에서 국소 만성 염증반응에 대한 조직 변성을 심화시키고 혈관내피의 손상과 복구 과정에서 병변을 심화시켜 암과 관절염, 천식,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6]. 현재 염증반응의 억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스테로이드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장기간 복용할 시 여러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최근 천연물 유래의 대체제를 찾으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Rocca, B. and G. A. FitzGerald (2002) Cyclooxygenases and prostaglandins: Shaping up the immune response. Int. Immunopharacol. 2: 603-630. 

  2. Lawrence, T., D. A. Willoughby, and D. W. Gilroy (2002)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o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 787-795. 

  3. Jeong, J. B., S. C. Hong, H. J. Jeong, and J. S. Koo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HP-1 cells. Korean J. Plant Res. 25: 299-307. 

  4. Jeong, D. H., K. B. W. R. Kim, M. J. Kim, B. K. Kang, and D. H. Ahn (2014)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nhexane fraction mojabanchromanol b from Myagropsis myagroides. Life Sci. 114: 12-19. 

  5. Rankin, J. A. (2004) Biological mediators of acute inflammation. AACN Clin. Issues 15: 3-17. 

  6. Guzik, T. J., R. Korbut, and T. Adamek-Guzik (2003) Nitric oxide and superoxide in inflammation and immune regulation. J. Physiol. Pharmacol. 54: 469-487. 

  7. Masaki, M., M. Matsushita, and K. Wakitani (1998) Inhibitory effect of JTE-522, a novel prostaglandin H synthase-2 inhibitor,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and bone changes in rats. Inflamm. Res. 47: 187-192. 

  8. Pedersen, M. H., C. Molgaard, L. I. Hellgren, and L. Lauritzen (2010)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markers of the metabolic syndrome. J. Pediatr. 157: 395-400. 

  9. Tenore, G. G., G. Calabrese, A. Ritieni, P. Campiglia, D. Gianetti, and E. Novellino (2014) functional food potentially safer than commercial fish oil bas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od Chem. Toxicol. 71: 231-235. 

  10. McGahon, B. M., D. S. D. Martin, D. F. Horrobin, and M. A. Lynch (1999) Age-related changes in synaptic funct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mega$ -3 fatty acids. Neurosci. 94: 315-314. 

  11. Jang, J. R., K. K. Kim, S. B. Mun, and S. Y. Lim (2009) In vitro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tuna dried at low temperature vacuum. J. Life Sci. 19: 633-638. 

  12. Hunter, E. (1987) PUFA and eicosanoid research. J. Anim. Oil Chem. Soc. 64: 1088-1092. 

  13. Hwang, W. I., N. G. Baik, Y. K. Hwang, and S. D. Lee (1992) Antitumor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tuna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1: 353-366. 

  14. Nestel, P. J. (198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3, n-6). Am. J. Clin. Nutr. 45: 1161-1167 

  15. Gnez-Guillnm, M. C., M. E. Lpez-Caballero, A. Alemn, A. Lpez de Lacey, B. Gimnez, and P. Montero (2010)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eptide fractions from squid and tuna skin gelatin. pp. 89-115. In: Le Bihan E. ed. Sea by-products as real material: New ways of application. Transworld Research Network, Trivandrum, India. 

  16. Kim, Y. M., I. H. Kim, J. W. Choi, M. K. Lee, and T. J. Nam (2015) The anti-obesity effects of a tuna peptide on 3T3-L1 adipocytes are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lipogenic and adipogenic genes and by the activation of the Wnt/ ${\beta}$ -catenin signaling pathway. Int. J. Mol. Med. 36:327-334. 

  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3) Fisheries statistics yearbook. pp. 150-172. Korea. 

  18. Kang, C. H., H. Y. Jung, D. H. Lee, J. K, Park, J. H. Ha, S. C. Lee, and Y. I. Hwang (2000) Analysis of chemical compounds on tuna processing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81-986. 

  19. Park, S. E., H. W. Kim, S. R. Lee, and B. K. Kim (2000) Effects of nucleic acids complex of tuna testis on immunological activities. J. Korean Assoc. Cancer Prev. 5: 15-23. 

  20. Shin, M. O., M. J. Ku, and S. J. Bae (2007)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fin of Thunnus thynnus extracts in various cancer cells. Korean J. Nutr. 40: 147-153. 

  21. Lee, H. S., H. J. Kim, J. I. Choi, J. H. Kim, J. G. Kim, B. S. Chun, D. H. Ahn, Y. J. Chung, Y. J. Kim, M. W. Byun, and J. W. Lee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oking drips of Thunnus thynnus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0-814. 

  22. Cheng, M. L., H. C. Wang, K. C. Hsu, and J. S. Hwang (2015) Anti-inflammatory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tuna cooking juice. Food Agric. Immunol. 26: 770-781. 

  23. Park, Y. M., J. H. Won, K. J. Yun, J. H. Ryu, Y. N. Han, S. K. Choi, and K. T. Lee (2006) Preventive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GBB) on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 ${\kappa}B$ in RAW 264.7 cells. Biol. Pharm. Bull. 29: 985-990. 

  24. Lee, S. T., Y. R. Jeong, M. H. Ha, S. H. Kim, M. W. Byun, and S. K. Jo (2000)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 ${\alpha}$ by herbal plant extracts in mouse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2-348. 

  25. Kang, B. K., M. J. Kim, K. B. W. R. Kim, N. K. Ahn, Y. U. Choi, S. W. Bark, W. M. Pak, B. R. Kim, J. H. Park, N. Y. Bae, and D. H. Ahn (2015)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oil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s.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45-55. 

  26. Kang, B. K., K. B. W. R. Kim, N. K. Ahn, Y. U. Choi, M. J. Kim, S. W. Bark, W. M. Pak, B. R. Kim, J. H. Park, N. Y. Bae, and D. H. Ahn (2014)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skipjack tuna Katsuwounus pelamis cooking juice concentrates on mouse macrophages and spleen cells. Kor. J. Fish. Aquat. Sci. 47: 776-784. 

  27. Evans, C. H. (1995) Nitric oxide: what role does it play in inflammation and tissue destruction. Agents Actions Suppl. 47: 107-116. 

  28. Kubes, P. and D. M. McCafferty (2000) Nitric oxide and intestinal inflammation. Am. J. Med. 109: 150-158. 

  29. Kim, J. Y., K. S. Jung, and H. G. Jeong (2004) Suppressive effects of the kahweol and cafestol on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ges. FEBS Lett. 569: 321-326. 

  30. Seo, J. S., T. H. Lee, S. M. Lee, S. E. Lee, N. S. Seong, and J. Y. Kim (2009)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ctiv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73-178. 

  31. Weisz, A., I. Cicatiello, and H. Esumi (1996)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 gamma,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 L-arginine. Biochem J. 316: 209-215. 

  32. Jeong, D. H. (201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tuna eyeball oil and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s.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3. Khair-El-Din, T., S. C. Sicher, M. A. Vazquez, G. W. Chung, K. A. Stallworth, K. Kitamura, R. T. Miller, and C. Y. Lu (1996) Transcription of the murine iNOS gene is inhibited by docosahexaenoic acid, a major constituent of fetal and neonatal sera as well as fish oils. J. Exp. Med. 183: 1241-1246. 

  34. Hwang, J. W., S. J. Lee, Y. S. Kim, E. K. Kim, C. B. Ahn, Y. J. Jeon, S. H. Moon, B. T. Jeon, and P. J. Park (201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eptide with inhibitory effects on colitis induced mice by dextran sulfate sodium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Crussostrea gigas. Fish Shellfish Immunol. 33: 993-999. 

  35. Lee, S. J., E. K. Kim, Y. S. Kim, J. W. Hwang, K. H. Lee, D. K. Choi, H. Kang, S. H. Moon, B. T. Jeon, and P. J. Park (201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itric oxide inhibitory peptide from Ruditupes philippinarum. Food Chem. Toxicol. 50: 1660-1666. 

  36. Majdalawieh, A. and H. S. Ro (2010) Regulation of $I{\kappa}B{\alpha}$ function and NF- ${\kappa}B$ signaling: AEBP1 is a novel proinflammatory mediator in macrophages. Mediators Inflamm. 2010: 1-27. 

  37. Tizard, I. R. (1988) Immunology: An introduction. 2nd ed., pp. 423-441. Saunders College Publishing, New York, NY, USA. 

  38. Delgado, A. V., A. T. McManus, and J. P. Chambers (2003)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 Neuropeptides. 37: 355-361. 

  39.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40. Walsh, L. J., G. Trinchieri, H. A. Waldorf, D. Whitaker, and G. F. Murphy (1991) Human dermal mast cells contain and releas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which induces endothelial leukocyte adhesion molecule 1. Proc. Natl. Acad. Sci. USA 88: 4220-4224. 

  41. Dinarello, C. A. (1999) Cytokines as endogenous pyrogens. J. Infect. Dis. 179: 294-304. 

  42. Lebovic, D. I., F. Bentzien, V. A. Chao, E. N. Garrett, Y. G. Meng and R. N. Taylor (2000) Induction of an angiogenic phenotype in endometriotic stromal cell cultures by interleukin-1beta. Mol. Hum. Reprod. 6: 269-275. 

  43. Lin, M. C., S. B. Lin, S. C. Lee, C. C. Lin, C. F. Hui, and J. Y. Chen (2010) Antimicrobial peptide of an antilipopolysaccharide factor modulates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RAW264.7 cells. Peptides 31: 1262-1272. 

  44. Kang, B. K. (201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rgassum fulvellum an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heart ethanol extract and purification of grasshopper ketone.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