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satisfaction and need on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1, 2015년, pp.169 - 177  

이내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한지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허미진 (부민병원 간호부)

초록

본 연구는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 105명과 간호사 105명을 대상자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간호요구도는 환자는 $3.73{\pm}0.76$, 간호사는 $3.88{\pm}0.60$였다 (t=9.23, p<.001). 하위영역은 치료 영역이 환자와 간호사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신체 영역이 두 집단 모두 가장 낮았고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환자는 $3.35{\pm}0.74$, 간호사는 $3.31{\pm}0.44$였다 (t=3.88, p<.001). 하위영역은 두 집단 모두 치료 영역이 가장 높고 신체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 차이는 환자 (t=3.77, p<.001)와 간호사 (t=9.23, p<.001) 모두 간호요구도가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았다. 즉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요구도가 환자보다 높아 간호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두 집단 모두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요구에 못 미치는 간호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환자와 간호사 모두 만족하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of nursing (NN) and satisfaction on nursing service (SNS) in patients and nurse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05 patients and 105 nurses in one hospital. The mean score of NN was $3.73{\pm}0.76$ for patients and $3.88{\pm}0.60$ for nurse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와 환자들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여 간호서비스 품질 향상을 기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병원 환자들과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일반적 특성, 선행연구결과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구분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고,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간호요구도는 간호사가 환자보다 총점, 신체 영역, 사회정서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환자가 간호사보다 총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입원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간호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확인하고 비교함으로써, 외부고객인 환자와 내부고객인 간호사를 모두 만족시키고 궁극적으로 간호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는 의료서비스 질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간호사는 병원에서 환자와 가장 직접적이면서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집단으로 환자들이 지각하는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Kim 등, 2014). 특히 의료서비스에서 소비자 평가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간호사들이 수행하는 간호서비스는 다른 의료서비스와 분명하게 차별되고 가시화되어야 하며 그 생산성과 전문적인 면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간호사들이 환자들을 위해 수행 할 수 있는 업무 영역과 역할들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소비자인 환자들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Kotler, 1997).
환자의 기대와 만족도가 병원 경영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또한 전통적으로 의료진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왔던 의료서비스 질이 소비자들에 의해서도 평가되기 시작하면서 각 의료기관들은 생존과 발전을 위해 고객증심의 마케팅과 의료서비스 질 개선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Lim과 Tang, 2000). 특히, 환자의 기대와 만족도는 서비스 구매에 대한 소비자 평가로, 그 평가 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는 재구매 및 긍정적 구전활동 등 구매 후 행동이 병원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병원 경영 및 마케팅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이다 (Hwang, 2014).
간호사가 환자의 세부 요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함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다음으로는 간호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간호의 측면과 환자가 요구하는 간호의 측면을 세밀하게 일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환자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했을 때 총점, 교육 및 치료 영역에서 간호요구도가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은데 비해, 간호사는 총점, 신체 영역, 사회정서 영역, 교육 영역, 치료 영역 전체에서 간호요구도가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았다. 이는 간호사가 전체 간호를 중요하게 생각하나 환자의 세부 요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E. S. (2009). Comparison of satisfaction in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the nurses, M. 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2. Bae, M. H. (2008). A study on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of inpatients, M. 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3. Cho, Y. J. and Mung, S. A. (2013). Development of brand equity index model and a strategy to improve brand equity: Focus on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231-1239. 

  4. Choi, E. J. (2007). A study on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of elderly inpatients, M. 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5. Fox, J. G. and Storms, D. M. (1981). A different approach to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5, 557-564. 

  6. Hwang, E. J. (2014).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on medical profit at public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9, 12-21. 

  7. Kim, K. B., Lee, H. K. and Sok, S. H. (2009).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11. 

  8. Kim, K. S., Kim, J. A., Choi, Y. K., Kim, E. M., Kim, Y. J., Kim, M. A., Kim, K. O. and Kim, E. S. (2011).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nursing process for admission and discharge car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123-137. 

  9. Kim, Y. S., Eo, Y. S. and Lee, N. Y. (2014).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 437-445. 

  10. Kotler, P. (1997). Marketing management :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Prentice Hall, New Jersey. 

  11. La Monica, E. L., Oberst, M. T., Madea, A. R. andWolf, R. M. (1987). Development of a patient satisfaction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9, 43-50. 

  12. Lee, C. S. (2012). An implementation of the sample size and the power for testing mean and propor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53-61. 

  13. Lim, P. C. and Tang, N. K. H. (2000).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otal quality healthcare. Managing Service Qu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10, 103 -111. 

  14. Pak, K. S. (2009).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etween patients and nurses on the nursing service and intention of nursing the hospital, M. 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5. Park, B. I. (2012). Study on the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service of small and medium size hospital, M. 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Korea. 

  16. Park, J. W., So, H. and Kim, C. H. (2011). Comparison of patient need with nurs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 47-69. 

  17. Risser, N. L. (1975).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es and nursing care in primary care settings. Nursing Research, 24, 45-52. 

  18. Wang, M. S., Lee, I. D., Kang, M. S., Cha, E. K., Choi, D. H. and Jeong, H. C. (2014). Analysis on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s for elderly hospitalized in attended ward and general war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301-3024. 

  19. Yang, E. J. (2002). The comparison of contentment and its importance in nurse service which both patients and nurses can feel , M. 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 Yoon, S. H. (2011).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service, M. 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