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분해성 유기물 관리를 위한 산업폐수 TOC 기준 적용방안 연구
Application of TOC Standards for Managing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in Industrial Wastewater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1 no.1, 2015년, pp.29 - 34  

최익원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김재훈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임종권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박태진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김세영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기술센터) ,  손대희 (성균관대학교 무배출형환경기술센터) ,  허인애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류덕희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organic pollutant indexes ($BOD_5$, $COD_{Mn}$, $COD_{Cr}$) and estimate to set the TOC standard by comparing oxidation rates of $BOD_5$, $COD_{Mn}$, $COD_{Cr}$ and TOC bas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다양한 미지의 유기화합물질을 함유하는 산업폐수의 경우 기존의 유기물 지표의 한계와 그 대응으로 TOC 기준 설정의 타당성을 판단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질을 대상으로 CODMn, BOD5의 산화율 정도와 산업폐수에서 유기물 지표의 산화율을 조사하여 산업폐수의 유기물 관리에서 이들 지표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TOC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물은 무엇인가? 유기물은 수질오염의 원인물질 중의 하나이다. 수중에서 유기물의 농도가 높아지면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낮추기 때문에 수질을 악화시킨다.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지표로 이용하는 데에 있어 CODMn를 CODCr법으로 전환하는 방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같은 한계 뿐 아니라 BOD5와 CODMn는 신속·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지표로 이용하여 근본적인 원인규명과 관리대책 마련에 한계를 드러낸다는 의견들이 꾸준히 제기되어 1997년에는 환경기준에서 CODMn를 CODCr법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환경단체와 국회 등에서 검토한 바 있다(Kim and Cho, 1999; Lee, 2013; Yoon and Jung, 1998). 하지만 난분해성 유기물을 포함하는 시료의 유기물 지표로서 CODCr을 사용할 경우 CODMn에 비해서 산화력은 높지만, CODMn과 마찬가지로 실시간 측정이 곤란하고 실험과정에서 특정 수질유해물질이 배출되는 등 문제가 있어 점차 의견들이 산화력이 높고 신속·정확하고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TOC로 전환하자는 의견이 주를 이루어(Byoun et al., 2008; Kim et al.
수중에서 유기물의 농도가 높아지면 수질이 악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기물은 수질오염의 원인물질 중의 하나이다. 수중에서 유기물의 농도가 높아지면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낮추기 때문에 수질을 악화시킨다. 유기물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과 휴믹물질 등 여러 가지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유기물의 농도를 구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에 유기물 지표로서 산소요구량(BOD5, CODMn, CODCr)을 사용하여 유기물의 농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aun, G., Stock, H. D., and Furtmann, K. (1999). Improvement of the Wastewater Discharge Control by Establishing the New Methods TOC, TN and P-ICP, Umweltbundesamt, Bismarkplatz 1, 14193 Berlin, pp. 89-119. [German Literature] 

  2. Byoun, J., Kim, T., Lee, S., Hong, T., and Kim, H. (2008). Correlation between TOC, UVA and CODMn of Environmental Water Samp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1(4), pp. 286-291. [Korean Literature] 

  3. Choi, D., Jung, J., Yoon, K., Lee, K., Choi, W., Lee, S., Park, H., Yim, B., and Hwang, T. (2012). Estimation of TOC Concentration using BOD, COD in Runoff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28(6), pp. 813-818. [Korean Literature] 

  4. Choi, K., Kim, B., Kim, H. B., and Sa, S. H. (2000).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Carbon and CODM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4), pp. 328-335. 

  5. Han, D. H. and Choi, J. Y. (2011). Selection of the Optimum Organic Matter Index for Surface Water Quality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0(4), pp. 61-80. [Korean Literature] 

  6. Inoue, Z. (1972). Chemical Structures and Biodegradable of Various Organic, Journal of Water and Waste, 14(2), pp. 142-166. [Japanese Literature] 

  7. Kim, B., Jung, S., Jang, C., and Kim, J. K.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29(6), pp. 640-643. [Korean Literature] 

  8. Kim, H. S., Hong, J. J., Seong, J. U., Choi, K. S., and Park, J. C. (2013). Comparison of Organic Matter Distribution in Major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5), pp. 618-624. [Korean Literature] 

  9. Kim, S. J. and Park, C. K. (1982).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BOD, COD, TOD, and TOC Values for Food-processing Wastewa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4(1), pp. 8-22. [Korean Literature] 

  10. Kim, Y. K. and Cho, S. H. (1999). Relationship between Analytical Parameters of Organics in the Waste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21(12), pp. 2385-2395. [Korean Literature] 

  11. Lee, A Y., Park, M. J., Jo, D. J., and Kim, S. (2010a). Estimating BOD, COD and TOC Hydrologic Flux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32(9), pp. 830-839. [Korean Literature] 

  12. Lee, T. H., Lee, B., Hur, J., Jung, M. S., and Kang, T. G. (2010b). Conversion of CODMn into TOC and Refractory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for Treated Sewage using Regression Equ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6(6), pp. 969-975. [Korean Literature] 

  13. Lee, Y. G. (2013). Add to Living Environmental Standard and Health Protection Standard, Including Standards for Total Organic Carbon and 1,4-dioxane, Journal of Environmental Hi-technology, 21(1), pp. 38-41.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8). Study of Evaluation and Management Policy for Organic Matter in Public Water,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 Standard Methods for Water Qualit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 White Paper of Environmenta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Park, H. Y., Lee, J. K., Ha, H., Lee, H. B., Kim, Y. K., Park, C. O., and Park, S. I. (2006). A Correlation Study of Organic Matters by TOC,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2006 Proceeding of Spring Conference, pp. 834-842. [Korean Literature] 

  18. Visco, G., Campanella, L. and Nobili, V. (2005). Organic Carbons and TOC in Waters: An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Norm for its Measurements, Microchemical Journal, 79(1-2), pp. 185-191. 

  19. Yoon, Y. S. and Jung, I. H. (1998). Characteristics of Decolorization, and Removal of COD and TOC by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Dye-waste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2), pp. 133-140. [Korean Literature] 

  20. Yu, S. J., Hwang, J. Y., Yoon, Y. S., Cheon, S. U. and Han, E. J. (1999). Index of Organic Matter in Stream and Lak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8(1), pp. 81-92.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