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식위생 수행도 및 영유아 급식소 배식환경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전 동구,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Sanitation Status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6, 2015년, pp.447 - 459  

서유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민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sanitation performance and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after a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119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registered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지원하는 영유아 보육시설의 교사 대상 위생교육이 배식위생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영유아 보육시설을 선정하여 실질적 배식 담당자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대상자의 위생지식, 위생 수행도, 위생 중요도 인식 변화와 배식위생 측정항목의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위생교육이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식위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07년 2월 '어린이 먹거리 종합 대책'을 수립한 이유는 무엇인가? 영유아 급식위생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문적인 관리 방안 마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07년 2월 ‘어린이 먹거리 종합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듬해인 2008년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하고 2011년도부터 국가 차원의 영양, 위생·안전 지원기관인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립하였다.
국가에서의 보육시설의 확충으로 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최근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에서는 보육시설의 확충을 통해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대한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1]. 이러한 국가적 노력으로 1995년 9,085개에 불과하던 어린이집은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 28,367개를 거쳐 2014년 43,742개로 1995년 대비 4.8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1,496,671명의 유아가 교육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유치원은 1995년 8,960개, 2005년 8,275개, 2014년 8,826개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여 현재 652,546명의 유아가 교육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3], 국내에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이용하는 유아는 2,149,217명에 이른다.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위생적인 급식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집단급식소는 특정 다수의 대상을 위해 음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철저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대규모의 식중독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6]. 특히 영유아기는 면역체계의 발달이 불완전하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외부 자극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시기로, 급식 위생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환경에서는 미생물이나 오염물질로 인한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위생적인 급식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4]. 2009년 영유아 급식소 실태 조사를 보면, 주방을 갖춘 시설이 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eoh YJ, Kwon SY, Yoon JH. Teachers' participation and mealtime instruction in the food service at the Kwanak-gu childcare centers: comparis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caring different age groups,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and those three years or old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12-124.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hildcare statistic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updated 2015 Apr 6; cited 2015 Sep 21].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 

  3.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Education statistical year book [Internet].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5 [updated 2015 Aug 3; cited 2015 Sep 30].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 

  4. Bae HJ, Lee HY, Ryu K.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9; 25(3): 283-296.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poisoning statistics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updated 2015 Jan 30; cited 2015 Sep 11].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 

  6. Lee KA, Lee MY, Park IS. A surve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s serving food in a classroom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2009; 15(3): 220-231. 

  7. Park HS, Lee KM, Seol HR, Park KH, Ryu K. Evaluation of foodservice managers'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87-99. 

  8. Lee JY. A survey on hygienic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in Seoul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1. 

  9. Choi KS.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1): 137-148. 

  10. Choi DM. 2015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 1st revision. Cheongw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p. 3-9. 

  11.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enter introduction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updated 2011 Jun 24; cited 2015 Sep 30]. Available from: https://ccfsm.foodnara.go.kr/. 

  12. Kim JA, Lee YM. The effect of a periodic visiting education program on food safety knowledge of cooks i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4; 20(1): 36-49. 

  13. Kim HY, Yang IS, Chae IS, Yi BS, Park MK, Kim HY et al. Effectiveness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for menu management and dietary varie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43-256. 

  14. Jung HA, Kim AN, Joo NM, Paik JE.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1; 21(3): 385-391. 

  15. Jang JY. Teacher awareness and needs on dietary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2011. 

  16. Lee JE, Choi KS, Kwak TK. Assessment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eachers' performance degree of foodservice hygiene management and foodservice employees' hygiene knowledge. J Korean Diet Assoc 2012; 18(4): 308-325. 

  17. Choi NR. Survey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for sanitation in school meal service(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a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2010. 

  18. Seo SH, Moon SJ, Choi JH.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food service workers' sanitation performance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1; 17(2): 142-160. 

  19.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et al.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012; 27(1): 30-36. 

  20. Park SJ, Ha GS, Shim WB, Park MK, Chung DH. Envir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s at Elementary School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2003; 18(1): 14-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