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적 숙의 거버넌스'로서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2015 in Korea as a 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5 no.2, 2015년, pp.1 - 31  

이영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  정인경 (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6월 6일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이라는 이름의 전 세계적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세계 77개국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다. 세계시민회의는 올해 말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상을 겨냥하여 지구촌 곳곳의 시민들의 목소리를 집약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범지구적 기후변화 공론장인데, 한국도 올해 처음으로 여기에 참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세계시민회의의 배경과 목적이 무엇이고, 한국에서는 세계시민회의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그것이 '지구적 숙의 거버넌스'(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는 또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지구적 숙의 거버넌스'의 구축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숙의 민주주의, 과학기술 시민참여, 지구적 시티즌십이라는 개념들을 지적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는 기후변화라는 지구적인 문제에 대해 지구적인 차원에서 숙의하는 '지구적 숙의 거버넌스'로 파악될 수 있으며, 거기에 참여한 한국의 시민들은 지구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지구적 시티즌십을 형성할 기회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ld Wide Views on Climate and Energy held on 6 June 2015 was a structured citizens' deliberative consultation forum involving 10,000 citizens in 77 countries, and South Korea was one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Citizen participants, selected to reflect the demographic diversity in their cou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BT는 2007년부터 세계시민회의의 조직을 준비하여(Bedsted, Gram & Kluver, 2012) 드디어 2009년에 코펜하겐에서 열린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15)를 겨냥하여 ʻ지구온난화ʼ를 주제로 하여 전 세계 38개국에서6) 44개의 세계시민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Rask, Worthington & Lammi, 2012). 당시 DBT는 세계시민회의의 의의를 ʻʻ지구 전역에서 선발된 다양한 시민들에게 전지구적 기후정책에 영향을 미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전지구적 규모의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 유익함을 입증함으로써 획기적인 선례를 만드는 것이었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세계시민회의가 누구에 의해, 어떠한 목적으로 조직되었고, 한국에서는 세계시민회의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그것이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global deliberative governance)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는 또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ʻ지구적 숙의 거버넌스ʼ의 구축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숙의 민주주의, 과학기술 시민참여, 지구적 시티즌십이라는 이론적, 실천적 개념들을 지적 자원으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 이 세계시민회의가 종료되면 본부는 그 결과를 사회적ㆍ정치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력한다. 본부는 세계시민회의 결과를 국가별, 대륙별, 소득수준별 등의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당해 말 유엔에서 이루어질 당사국총회 참가국 대표들에게 전달하고, 언론에 공표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적, 국제적 공론화를 일으켜 궁극적으로는 곧이어 전개될 해당 주제에 대한 유엔당사국간의 협상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것이다.12)
  • 시민사회의 목소리와 사회 운동의 요구들이 주변화되지 않고 의사 결정의 정당한 요소들로 취급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를 핀버그(Feenberg, 2011)의 기술 시티즌십 논의와 관련지어보고자 한다.26)
  • 참가 시민들에 의한 투표 결과는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입력되어 다른 나라의 상황과 약간의 시차를 두고 비교할 수 있게 되는데, 2009년 지구온난화를 주제로 한 세계시민회의의 경우 9월 26일 오전 9시에 호주에서 시작하여 36시간 뒤에 미국의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종료되었다고 한다. 이 세계시민회의가 종료되면 본부는 그 결과를 사회적ㆍ정치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력한다. 본부는 세계시민회의 결과를 국가별, 대륙별, 소득수준별 등의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당해 말 유엔에서 이루어질 당사국총회 참가국 대표들에게 전달하고, 언론에 공표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적, 국제적 공론화를 일으켜 궁극적으로는 곧이어 전개될 해당 주제에 대한 유엔당사국간의 협상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 구체적으로 이 행사가 충분하고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숙의의 장이 되었는지, 참여자의 판단을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는지, 참여자들은 인구통계학적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발되었는지, 숙의 과정 자체가 민주적으로 조직되었는지, 그리고 숙의의 결과로 도출된 시민의 의견이 실제 기후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등은 시민회의의 진행 과정과 결과에 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는 이어지는 별도의 두 논문들에서 체계적으로 다뤄질 것이며 이 절에서는 상기의 평가를 위한 이론적인 쟁점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시민회의의 목적은 무엇인가? ʼʼ고 밝힌 바 있다(Rask & Worthington, 2012). 세계시민회의의 목적이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에 세계시민들이 공론장에 나서서 영향을 미치도록 하자는 데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DBT는 첫 번째 세계시민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에 힘입어 2012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ʻ생물다양성ʼ 문제에 대한 유엔 당사국총회(COP11)을 겨냥하여 전 세계 25개국에서7) 34개의 세계시민회의를 동일한 방식으로 조직하는 데 앞장서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Rask & Worthington, 2015).
기후 거버넌스에 있어서 주류 지속가능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을 비롯한 지구적 기후 거버넌스 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기구들은 기후변화 공론장의 상이한 목소리들을 대표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주류 지속가능성(mainstream sustainability)으로 요약되는데 이는 기존의 성장 모형에 적절한 규제를 둠으로써 기후변화의 완화와 적응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Dryzek & Stevenson, 2013). 예컨대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목표 하에 신규 원전을 건설하고 청정 기술을 도입하는 등 규제의 시장 효과에 주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올해 열리는 기후변화 당사국총회에 참가하는 각 국가 대표들이 정부와 기업의 입장을 과잉 대변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덴마크기술위원회재단이 수행한 것은 무엇인가? 4) 그런데 올해 열리는 기후변화 당사국총회에 참가하는 각 국가의 대표들은 정부의 고위층 인사들이므로 이들이 정부와 기업의 입장을 과잉 대변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자아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덴마크 소재 덴마크기술위원회재단(Danish Board of Technology Foundation)5)이 기후변화와 에너지전환에 대해 전 세계 시민들의 숙의적 의견을 모아 제출함으로써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총회가 상층부만의 논의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 시민사회와 소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올해 6월 6일에 세계적 규모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전 세계에서 동시에 진행한 것이다. 이 행사는 DBT 재단이 기획하고 전 세계 77개국의 파트너들이 실행하게 되었는데,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프랑스 국가공공논쟁위원회(French National Commission for Public Debate), 그리고 미숑 퍼블리크(Missions Publiques, 프랑스 소재 시민참여 컨설팅 전문기업) 등이 주관하고 프랑스 환경부와 외무부, 파리 시정부, 독일 연방환경부 등이 재정적으로 후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의영 (2010), 지구시민사회: 연구동향과 쟁점, 국제정치논총, 제50집 1호. 

  2. 김춘석 (2015), 한국 공론조사 성과와 전망, 공론조사 및 공공토론 한.일 공동토론회 자료집.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3. 박주형.이윤정 (2015),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숙의 과정 평가: 글로벌 프 레이밍, 로컬 셋팅,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2호, pp. 33-64. 

  4.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제14권 2호. pp. 1-47. 

  5. 이유진 (2015), 파리(COP 21)로 가는 길의 쟁점과 전망, 국가 감축목표에 대한 시민사회의 제안. 

  6. 이영희 (2011),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문학과 지성사. 

  7. 이영희 (2013), 서울시의 참여적 시정개혁 평가: 서울플랜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98호, pp. 106-133. 

  8. 조현석 (2006), 숙의적 시민참여 모델 연구: 울산시 북구 음식물자원화 시설 건립 사례, 과학기술학연구, 제6권 제1호, pp. 1-30. 

  9. 한겨레신문(2005.6.10), 한국, 기후변화 국제 대응에 더 책임 있게 나서야 

  10. 현재환.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3호, pp. 33-79. 

  11. Arnstein, Sherry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216-224. 

  12. Bedsted, B., Gram, S. & Kl ver, L. (2012), "The Story of WWviews", in Rask, Mikko, Worthington Richard & Lammi, Minna ed., Citizen Participation i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Abingdon: Earthscan. 

  13. Blue, Gwendolyn (2015), "Public Participation and Climate Governance: Opening up or Closing down Policy Options", Public Participation and Climate Governance Working Paper Series. 

  14. Cohen, Joshua (1998), "Democracy and Liberty" in Elster, Jon ed., Deliberative Democracy, Cambridge Univ. Press. 

  15. Dryzek, J. S. (2000), Deliberative Democracy and Beyond: Liberals, Critics and Contest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6. Dryzek, J. S. (2006), Deliberative Global Politics: Discourse and Democracy in a Divided World, Polity Press. 

  17. Dryzek, John S. and Stevenson, Hayley (2013), "Democratizing Global Climate Governance: A Deliberative Systems Approach", Paper prepared for the 8th Pan-European Conference on International Relations. Warsaw, 18-21 September 2013. 

  18. Elster, Jon (1998), "Introduction" in Jon Elster ed. Deliberative Democracy. Cambridge Univ. Press. 

  19. Feenberg, Andrew (2011), "Agency and Citizenship in a Technological Society", Lecture presented to the Course on Digital Citizenship, IT University of Copenhagen. 

  20. Fishikin, James S. (1993), Democracy a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Democratic Reform. Yale University Press. 

  21. Gutmann, A. and Thompson, D. (1996), Democracy and Disagreement. Cambridge: Belknap Press. 

  22. Hagendijk, Rob & Irwin, Alan (2006), "Public Deliberation and Governance: Engaging with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emporary Europe", Minerva 44: 167-184. 

  23. Held, David, McGrew, Anthony, Goldblatt, David & Perraton, Jonathan (1999), Global Transformations. Blackwell. 

  24. Held, D. & Hervey, Angus Fane (2009), "Democracy, Climate Change and Global Governance", Policy Network Paper. 

  25. Irwin, Alan (1995), Citizen Science: A Study of People, Experti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outledge. 

  26. Irwin, Alan (2001), "Constructing the Scientific Citizen: Science and Democracy in the Bioscienc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1. pp. 1-18. 

  27. Levi-Faur, David (2012), "From Big Government to Big Governance?", in David Levi-Faur. ed.,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28. Manin, Bernard (1987), "On Legitimacy and Political Deliberation", Political Theory 15(3), 338-368. 

  29. Rhodes, R. A. (2012), "Waves of Governance". in David Levi-Faur. ed.,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30. Rask, Mikko and Worthington, Richard (2012), "Towards a New Concept of Global Governance", in Rask, Mikko, Worthington, Richard & Lammi,, Minna ed., Citizen Participation i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Abingdon: Earthscan. pp. 3-29. 

  31. Rask, Mikko, Worthington, Richard & Lammi, Minna ed. (2012), Citizen Participation i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Abingdon: Earthscan. 

  32. Rask, Mikko and Richard Worthington eds. (2015), Governing Biodiversity through Democratic Deliberation, London: Routledge. 

  33. Smith, William (2013), "Anticipating Transnational Publics: On the Use of Mini-Publics in Transnational Governance", Politics & Society 41(3): 461-484. 

  34. Stevensen, H. & Dryzek, John S. (2014), Democratizing Global Climate Govern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Stirling, Andy (2008), "'Opening up' and 'closing down': Power, Participation and Pluralism in the Social Appraisal of Technology",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262 

  36. UNFCCC (1992),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ited Nations. 

  37. Young, Iris Marion (2004), "The Deliberative Model." in Farrelly, Colin ed.,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 A Reader.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