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란계 복합화 무기물을 이용한 SPAES 복합막의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SPAES Composite Membrane Using Silane Based Inorganic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5 no.5, 2015년, pp.456 - 463  

우창화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  김득주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전해질막의 개발을 위하여 신규한 실란계 무기물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리막의 특성평가가 진행되었다. 탄화수소계열 고분자인 SPAES를 합성하여 고분자 물질로 사용하였으며,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지는 무기물의 제조를 위하여 silica, phosphate, zironium계 물질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복합화 시켰다. 각 조성의 몰비를 조절하여 세 가지 종류의 무기물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른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EDX 분석결과 제조된 무기물은 고분자 분리막 내에 고르게 분산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친수성을 가지는 무기물의 도입을 통하여 분리막 내에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수분채널이 형성되어 함수율이 증가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zirconium계 무기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고온에서 전도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복합화된 실리카는 저온 가습조건에서 이온전도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 novel silane based inorganics for preparation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ith high proton condu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developed membranes are characterized. SPAES, hydrocarbon based polymer are synthesized and used as main polymeric mat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촉매의 양과 반응 시간의 조절을 통해 제조된 sol의 상태 변화 및 혼탁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조성비의 변화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몰비를 이용하여 무기물 졸을 준비하였다. 간략한 합성 과정을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은 무엇인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기존의 석유자원 발전장치를 대신하여 현재 자동차 산업, 발전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를 위한 단계까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가전용, 항공 산업 등 그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으로 막-전극 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들수 있다. 실제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며, 현 시점에서 고가의 부품으로 상용화를 가로막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이기도 하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최근 들어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산업화를 통한 환경오염과 석유자원의 고갈로 친환경 에너지 자원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구동이 가능하며 타 연료전지 시스템에 비해 높은 효율과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 많은 각광을 받아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2]. 연료전지는 공급된 원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부산물로 물만 생성되므로 최근 들어 심화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로 접목하고자 세계적으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가 수송용 차량에 장착되어 구동될 경우의 이점은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공급된 원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부산물로 물만 생성되므로 최근 들어 심화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로 접목하고자 세계적으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송용 차량에 장착되어 구동될 경우 수소 또는 알코올류의 연료를 사용하며, 부산물로 이산화탄소, 메탄,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부산물들이 발생되지 않아 특히 대기환경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3,4].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기존의 석유자원 발전장치를 대신하여 현재 자동차 산업, 발전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를 위한 단계까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가전용, 항공 산업 등 그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 Gubler and G. G. Scherer, "Trends for fuel cell membrane development", Desalination, 250, 1034 (2010). 

  2. D. J. Kim and S. Y. Nam, "Research trend of organic/ inorganic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Membr. J., 22, 155 (2012). 

  3. D. J. Kim, H. Y. Hwang,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of hybrid membranes made from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and vermiculite with high cation exchange capacity for DMFC applications", Membr. J., 21, 389 (2011). 

  4. H. Huh, D. J. Kim, and S. Y. Nam,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of sulfonated poly(aryl ether sulfone)/modified graphene hybrid membranes", Membr. J., 21, 247 (2011). 

  5. D. J. Kim, M. J. Jo, and S. Y. Nam, "A review of polymer-nano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 J. Ind. Eng. Chem., 21, 36 (2015). 

  6. D. J Kim, M. K. Jeong, and S. Y. Nam, "Research trends in ion exchange membrane process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ppl. Chem. Eng., 26, 1 (2015). 

  7. M. Gil, X. Ji, X. Li, H. Na, J. E. Hampsey, and Y. Lu, "Direct synthesis of sulfonated aromatic poly (ether ether ketone)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J. Membr. Sci., 234, 75 (2004). 

  8. S. M. J. Zaidi, S. D. Mikhailenko, G. P. Robertson, M. D. Guiver, and S. Kaliaguine, "Proton conducting composite membranes from polyether ether ketone and heteropolyacids for fuel cell applications", J. Membr. Sci., 173, 17 (2000). 

  9. A. H. N. Rao, R. L. Thankamony, H.-J. Kim, S. Nam, and T.-H. Kim, "Imidazolium-functionaliz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block copolymer as an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ne fuel cell", Polymer, 54, 111 (2013). 

  10. B. Bae, T. Hoshi, K. Miyatake, and M. Watanabe, "Sulfonated block poly (arylene ether sulfon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via oligomeric sulfonation", Macromolecules, 44, 3884 (2011). 

  11. M. Tohidian, S. R. Ghaffarian, S. E. Shakeri, E. Dashtimoghadam, and M. M. Hasani-Sadrabadi,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and chitosan- phosphotungstic acid complex nanocomposites as high performanc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J. Solid State Electrochem., 17, 2123 (2013). 

  12. H. Dogan, T. Y. Inan, M. Koral, and M. Kaya, "Organo-montmorillonites and sulfonated PEEK nanocomposit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Appl. Clay Sci., 52, 285 (2011). 

  13. M. Linlin, A. K. Mishra, N. H. Kim, and J. H. Lee, "Poly (2, 5-benzimidazole)-silica nanocomposite membranes for high 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J. Membr. Sci., 411, 91 (2012). 

  14. J. A. Asensio, E. M. Sanchez, and P. Gomez- Romero, "Proton-conducting membranes based on benzimidazole polymers for high-temperature PEM fuel cells", Chem. Soc. Rev., 39, 3210 (2010). 

  15. R. K. Nagarale, W. Shin, and P. K. Singh, "Progress in ionic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Polym. Chem., 1, 388 (2010). 

  16. C. Arbizzani, A. Donnadio, M. Pica, M. Sganappa, A. Varzi, M. Casciola, and M. Mastragostino, "Methanol permeability and performance of Nafion-zirconium phosphate composite membranes in active and passive direct methanol fuel cells", J. Power Sources, 195, 7751 (2010). 

  17. K. A. Gross, C. S. Chai, G. S. K. Kannangara, B. Ben-Nissan, and L. Hanley, "Thin hydroxyapatite coatings via sol-gel synthesis", J. Mater. Sci. - Mater. M., 9, 839 (1998). 

  18. K. Onishi, S. Sewa, K. Asaka, N. Fujiwara, and K. Oguro, "Morphology of electrodes and bending response of the polymer electrolyte actuator", Electrochim. Acta, 46, 737 (2001). 

  19. A. A. Kornyshev, A. M. Kuznetsov, E. Spohr, and J. Ulstrup, "Kinetics of proton transport in water", J. Phys. Chem. B, 107, 3351 (2003). 

  20. J. Ramirez-Salgado, "Study of basic biopolymer as proton membrane for fuel cell systems", Electrochim. Acta, 52, 3766 (2007). 

  21. C. Yang, S. Srinivasan, A. S. Arico, P. Creti, V. Baglio, and V. Antonucci, "Composite Nafion/zirconium phospha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operation at high temperature", Electrochem. Solid-State Lett., 4, A31 (2001). 

  22. C. Yang, S. Srinivasan, A. B. Bocarsly, S. Tulyani, and J. B. Benziger, "A comparis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fuel cell performance of Nafion and zirconium phosphate/Nafion composite membranes", J. Membr. Sci. 237, 14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